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9:26:08

데니 햄린

파일:NASCAR_Cup_Series_logo.png
2025 NASCAR 컵 시리즈 팀 및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조사 국적 성명 No.
풀타임 드라이버
쉐보레 리처드 칠드레스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딜런 3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부시 8
스파이어 모터스포츠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헤일리 7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맥도웰 71
파일:미국 국기.svg 카슨 호세바 77
콜리그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딜런 10
파일:미국 국기.svg A.J. 올멘딩거 16
트랙하우스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 채스테인 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셰인 반 기스버겐[R] 88
파일:멕시코 국기.svg 다니엘 수아레스 99
하이악 모터스포츠 파일:미국 국기.svg 리키 스텐하우스 주니어 47
헨드릭 모터스포츠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라슨 5
파일:미국 국기.svg 체이스 엘리엇 9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바이런 24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보우먼 48
포드 RFK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드 케셀로우스키 6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부셔 17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프리스 60
릭 웨어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코디 웨어 51
우드 브라더스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베리 21
팀 펜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신드릭 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블레이니 12
파일:미국 국기.svg 조이 로가노 22
프런트 로 모터스포츠 파일:미국 국기.svg 노아 그랙슨 4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길리랜드 34
파일:미국 국기.svg 제인 스미스 38
하스 팩토리 팀 파일:미국 국기.svg 콜 커스터 41
토요타 23XI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버바 월러스 2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일리 헙스트[R] 35
파일:미국 국기.svg 타일러 레딕 45
레거시 모터 클럽 파일:미국 국기.svg 존 헌터 니메체크 42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존스 43
조 깁스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데니 햄린 11
파일:미국 국기.svg 체이스 브리스코 19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벨 20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깁스 54
파트타임 드라이버
쉐보레 JR 모터스포츠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얼가이어 40
NY 레이싱 팀 파일:미국 국기.svg J.J. 옐리 44
라이브 패스트 모터스포츠 파일:미국 국기.svg B.J. 매클라우드 78
리처드 칠드레스 레이싱 파일:국기.svg 미정 33
파일:호주 국기.svg 윌리엄 브라운 미정
비어드 모터스포츠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알프레도 62
스파이어 모터스포츠 파일:국기.svg 미정 07
트랙하우스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질리시 87
파일:브라질 국기.svg 헬리오 카스트로네베스 91
팀 아메리벳 파일:국기.svg 미정 50
포드 개러지 66 파일:미국 국기.svg 챈들러 스미스 66
릭 웨어 레이싱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라조이 01
토요타 레거시 모터 클럽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존슨 84
트리콘 개러지 파일:미국 국기.svg 마틴 트루엑스 주니어 56

[R] 올해의 루키 후보[R]

}}}}}}}}} ||
파일:조 깁스 레이싱 2025 로고 배경 없음.webp
<nopad> 파일:denny_hamlin_2023.jpg
이름 데니 햄린
Denny Hamlin
본명 제임스 데니스 앨런 햄린
James Dennis Alan Hamlin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생 1980년 11월 18일 ([age(1980-11-18)]세)
플로리다탬파
신체 183cm, 70kg
소속팀 조 깁스 레이싱
번호 파일:11@10x-350x290.png
제조사 파일:토요타 로고.svg
NASCAR 컵 시리즈
우승 : 51회 / TOP 10 : 341회
NASCAR 엑스피니티 시리즈
우승 : 18회 / TOP 10 : 101회
NASCAR 크래프트맨 트럭 시리즈
우승 : 2회 / TOP 10 : 10회
차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6px"
파일:NASCAR_Cup_Series_logo.png
<nopad> 파일:데니 햄린 2024 페덱스.jpg
제조사 파일:토요타 로고.svg
메인 스폰서 페덱스, 야후!
}}}}}} ||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경력4. 평판

1. 개요

미국의 NASCAR 드라이버. 현재 조 깁스 레이싱 소속으로 NASCAR 컵 시리즈에 출전하고 있으며, 마이클 조던과 공동으로 23XI 레이싱을 소유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3. 수상 경력

  • 2006 NASCAR 컵 시리즈[1] 올해의 루키
  • 부시 라이트 클래시 우승
    • 2006, 2014, 2016, 2024
  • 쿡 아웃 서던 500 우승
    • 2010, 2017, 2021
  • 코카콜라 600 우승
    • 2022
  • NASCAR 올스타 레이스 우승
    • 2015
  • 데이토나 500 우승
    • 2016, 2019, 2020

4. 평판

현역 선수들 중 독보적인 안티를 거느리고 있는 NASCAR의 손꼽히는 빌런이다. 2020 데이토나 500에서 라이언 뉴먼이 중태에 빠졌는데 눈치 없이 빅토리 레인에서 세레머니를 한 것도 있고, 2017년 마틴스빌 플레이오프 경기에선 데뷔 첫 우승을 거머쥘 수 있었던 체이스 엘리엇을 건드려 보내버리고 무진장 욕을 먹었으며, 그 외에도 기본적인 스포츠맨십이 결여된 행태들을 워낙 많이 보여준 탓에 전부터 나스카의 대표적인 비호감 선수들 중 하나였다.

이에 정점을 찍은 사건은 2024년 봄 리치먼드 레이스웨이에서 리스타트 때 속도 규정을 명백히 어기고 마틴 트루엑스 주니어의 우승을 강탈해간 사건이다. 정말로 햄린이 부정행위를 한 것이 확실하나, 나스카 측에서 리치먼드 홈보이[2]인 햄린을 감싸주어 우승을 확정지어 주자[3] 전 나스카 팬들에게 물론 욕을 먹었고 홈타운 경기장인 리치먼드에서마저 야유가 쏟아져 나오며 원조 빌런 자리에 있던 카일 부시조이 로가노가 좀 얌전해진 사이 독보적인 빌런 자리에 올랐다. 이 사건이 더 심각한 이유는 햄린과 트루엑스가 같은 팀 소속인 것도 있지만 트루엑스가 2024시즌을 마지막으로 풀타임 출장 은퇴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당장 다음 경기에서 차지하는 우승이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인기 드라이버의 우승을 팀메이트가 꼼수까지 써가며 빼앗아 갔다는 건 그 하나만으로 평생 까일만한 일이다.

또한 언급된 엘리엇이나 트루엑스, 부시와 로가노는 챔피언 타이틀이 있지만 햄린은 우승만 많이 거머쥐고 정작 챔피언 자리에 오른 적이 없어 안티팬들의 많은 조롱을 받는다.

그러다 햄린의 이미지를 극적으로 돌려놓게 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그가 NASCAR를, 정확히는 회장 짐 프랑스 일가와 대표 스티브 펠프스를 반독점 소송으로 고소한 것이다. 상술한 대로 그는 23XI 레이싱의 공동 소유주인데, NASCAR의 현재 미디어 판권 계약이 본인 소유의 팀을 포함한 참가팀 전반에게 충분한 자금을 제공하지 않자 이에 대해 고소를 감행한 것이다. 연방 판사의 헌장 승인이 없었다면 23XI 레이싱이 2025년 시즌을 통으로 날렸을 수도 있었기에 상당히 위험한 선택이었지만 법원 측에서 NASCAR의 소송 기각 신청을 기각하는 등 햄린의 편을 들어주고 있기에 23XI 레이싱 뿐만 아니라 프론트 로우 모터스포츠 등 다른 팀도 이에 동참해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이전부터 NASCAR가 매경기마다 입장이 바뀌고 판정이 오락가락하는 등 줏대 없는 모습을 쭉 보인데다가 갈수록 차량의 질은 떨어지는 데다가 이해 못할 규정까지 만들며 팬들의 불만이 협회 측에 많이 쌓여있던 상태에서 햄린이 일련의 소송의 도화선에 불을 붙이자 그에 대한 여론도 많이 반전되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그렇다고 햄린의 성질머리나 드라이빙 스타일이 바뀌지는 않았기에 여전히 그를 꼴보기 싫어하는 팬들이 더 많지만 소송 이후 첫 우승을 거머쥔 마틴스빌 경기에서 그를 향한 야유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이 이를 체감하게 했다.

[1] 당시 NASCAR 넥스텔 컵 시리즈.[2] 햄린은 탬파 출신이나 버지니아 주 리치먼드 근교인 체스터필드에서 자랐다.[3] 정확히는 햄린의 부정행위가 문제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