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0A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틀:당진시 직행좌석버스| 좌석 ]] [[틀:당진시 일반시내버스|일반 ]] [[틀:당진시 시내순환버스|순환 ]] [[틀:당진시 수요응답형 시내버스|수요응답 ]] [[틀:당진시 폐선된 시내버스|폐선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colbgcolor=#0050A2> 고대 석문 | ||
송악 신평 | |||
송산 | |||
면천 합덕 | |||
순성 합덕 | |||
정미 대호지 | |||
합덕터미널 출발 |
1. 노선 정보
당진시 시내버스 251번 | |||||
기점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운산리(합덕버스터미널) | 종점 | 충청남도 당진시 채운동(당진보건소)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07:25 |
막차 | 20:25 | 막차 | 21:25 | ||
운수사명 | 당진여객 | 배차간격 | 60분(1일 15회) | ||
합덕출발 | 합덕버스터미널 → 남원포 → 세한대학교 → 신평시장 → 거산(신평정류장) → 동진아파트 → 기지시정류장 → 당진공영버스터미널 → 구터미널→ 당진보건소 | ||||
당진출발 | 구 터미널 → 당진공영버스터미널 → 기지시정류장 → 동진아파트 → 거산(신평정류장)→ 신평시장 → 세한대학교 → 남원포 → 합덕버스터미널 |
2. 개요
당진여객에서 운행하고 있는 시내버스 노선. 시내와 기지시, 거산리, 신평, 합덕버스터미널을 잇는다.3. 역사
25-1번 시절 |
- 2020년 10월 26일 노선번호 대개편으로 인해 노선 번호가 25-1번에서 251번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2018년 7월까지는 BS106L F/L 2대가 고정으로 운행했다. 이 차량들이 대차되면서, 현재는 고정으로 운행하는 차량이 없다.
- 일부 시간대의 경우 기지시 방향 앞차와 구터미널 기준 약 25분 가량 간격이 있는데 해당 시간대의 경우 만석은 기본이고 입석까지 꽉 차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4.1. 노선
당진시 시내버스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노선들중 하나다. 당진부터 신평까지 구간을 지나며 아파트 단지들을 많이 경유하고 선형도 좋아서 1시간 간격 상시 운행한다.[1]- 구터미널~기지시 구간
이용객이 제일 많은 구간이다. 기점인 구터미널부터 좌석이 거의 꽉찬 상태로 출발하고 당진버스터미널을 지나며 만석이 된다. 앉아가려면 최소한 주공그린빌에서는 타야 하며 위에 언급한 일부 혼잡한 시간대에는 구터미널부터 입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2] 바로 서해로를 이용하지 않고 청구아파트를 경유한 뒤 잠깐 서해로로 진입한다. 다시 나와서 우민늘사랑아파트를 경유하나 당진방향은 미경유한다. 현대아파트와 당진종합병원, 성황당을 지나며 입석 승객이 많이 빠진다.
- 기지시~거산 구간
2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구간. 시내에서 멀어질수록 승객도 줄어든다. 신평으로 가기전 마지막 동진아파트를 지나면 쭉 뻗은 서해로로 진입하며 기사님이 밟으시기 시작한다. 특히 거산1리 정류장 이후로는 거의 레이싱 경기장 급인데다 승하차 승객도 거의 없어서 빠르게 정류장을 통과하니 버스를 타려면 승차의사를 분명히 해야한다. 신평정류장을 지나면 많은 아파트 단지들을 지난다. 타는 사람도 꽤 있는 편이다.
- 거산~신평 구간
승하차 승객이 거의 없는 구간이다. 아파트 단지는 커녕 민가 몇 채가 전부라 그렇다. 리가아파트를 지나면 거의 다 합덕 가는 승객이다.
- 신평~합덕 구간
가장 많이 밟는 구간. 아까는 맛보기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엄청나게 밟는다. 특히 공포리 구간은 진짜 공포스러울 정도로 밟는다. 몇 년전부터 이 구간에 과속방지턱이 점점 설치되며 평균 속도도 줄어들었다. 해당 구간은 당진시내로 향하는 노선이 240번대와 이 노선밖에 없는데 240번대는 하루 3번 운행하고 본당리로 돌아가니 사실상 이 노선밖에 없는 꼴이다. 이 다사다난한 노선을 거치며 버스는 합덕버스터미널에 도착하게 된다.
5. 연계 철도역
없음.[1] 당진시 시내버스가 농어촌버스와 거의 다르지 않은 점을 보면 상당히 좋은 배차간격이다.[2] 단, 첫막차 시간대에는 완전 딴 나라 이야기다. 오히려 승객이 너무 없어서 놀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