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6:21:28

노성숙

<colbgcolor=#000><colcolor=#fff> 노성숙
No Sung-Sook
파일:노성숙 교수.jpg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배우자 박승찬[1]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 /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철학 / 석사)[2]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대학원 (철학 / 박사)[3]
현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교수
종교 천주교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시간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중앙대학교 시간강사
가톨릭대학교 시간강사
단국대학교 시간강사
성신여자대학교 시간강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학술연구교수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교수
한국현상학회 및 한국가톨릭철학회 감사
가톨릭대학교 김수환추기경연구소 운영집행위원회 위원
한국여성철학회 이사
독일 철학상담학회(IGPP) 정회원
한국가톨릭철학회 이사
한국여성철학회 회장
1. 개요2. 생애3. 저서

1. 개요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철학상담 전공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여성철학회 회장, 한국가톨릭철학회 이사, 김수환추기경연구소 위원을 맡고 있다.

2. 생애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 진학하여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현대 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를 위해 독일로 유학을 떠나 생활하던 중, 사제를 꿈꾸며 철학을 공부하러 온 박승찬 교수를 만나게 되었다. 두 사람은 연을 맺은 뒤, 깊은 고민 끝에 결혼하게 되었다. 박사 후 한국으로 돌아와 대학에서 강사를 거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생각 사이_다라는 인문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등 철학상담, 철학실천과 관련한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3. 저서

저서
  • 『심리치료와 철학상담』, 학지사, 2021
  • 『철학상담으로 가는 길』, 학지사, 2018
  • 『상담철학과 윤리』(공저), 학지사, 2018
  • 『생각사이-다: 청소년을 위한 인문상담』(공저), 학지사, 2017
  • 『페미니즘의 개념들』(공저), 동녘, 2015
  •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공저), 가톨릭대 출판부, 2013
  • 『왜 철학상담인가?』(공저), 학이시습, 2012
  • 『신화/탈신화와 우리』(공저),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9
  • 『사이렌의 침묵과 노래: 여성주의 문화철학과 오디세이 신화』, 여이연, 2008 (2009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 『근대의 끝에서 다시 읽는 문화』(공저), 지허, 2006
  • 『정보매체의 지구화와 여성』(공저), 이대출판부, 2002
  • 『사람과 사람』(공저), 가톨릭대출판부, 2002
  • Die Selbstkritik und 'Rettung' der Aufklärung: Untersuchungen zum Begriff der Aufklärung i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von Adorno und Horkheimer, Peter Lang, 2000

번역
  • 『여성주의철학 1 & 2』(공역), 서광사, 2005


[1] 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독일 유학 시절 만나 결혼하였다. 두 사람의 결혼 소식을 독일 친구들에게 전했을 때, 다들 의아해했다고 한다. 그 당시 한국은 평균 결혼 연령이 낮았고, 연애 결혼도 드물었지만 독일은 그때에도 동거가 자연스러웠다. 노성숙 교수에게 사람들이 "엘리야(박승찬 교수)랑 살아보지도 않고 결혼해도 되겠어?"라며 물어봤다고 한다.[2] 현대철학 전공[3] 현대철학 및 철학상담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