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No Man's Land
1. 무인지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인지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인지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영화
2.1. 1987년
찰리 신, D. B. 스위니 주연의 영화로 한국에는 무인지대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
2.2. 2001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 맨스 랜드(2001)#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 맨스 랜드(200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2008년
노 맨스 랜드: 리커의 부활
2.4. 2018년
노맨스랜드옴니버스 형식의 독립 영화로 2018년 7월 18일에 개봉했다.
2.5. 2019년
크리스 루스, 로레나 앤드리아 주연의 영화.
2.6. 2021년
제이크 앨린, 프랭크 그릴로 주연의 영화로 한국에는 노 맨즈 랜드라는 제목으로 공개됐다.
3. 드라마
2020년에 공개한 훌루 오리지널 시리즈.
4. 게임
5. 노래
5.1. 시드 배럿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 Man's Land(시드 배럿)#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 Man's Land(시드 배럿)#|]]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밥 시거
5.3. DEEMO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 Man's Land(DEEMO)#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 Man's Land(DEEMO)#|]]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만화 트라이건의 배경
트라이건의 배경이 되는 행성으로, 이름은 트라이건 맥시멈 마지막 권이 되서야 나온다.[1] 3개의 위성이 존재하며 행성 전체가 사막으로 이루어져 원생생물인 웜을 제외한 어떤 생명체도 살지 않는 환경[2]으로 그나마 이런 곳에 사람들이 살 수 있는 것은 플랜트 덕분이다.마을을 비롯한 도시는 주로 발굴된 플랜트를 중심으로 건설됐고, 샌드 스팀이라는 거대한 차량을 이용해 마을과 마을 사이를 왕래한다. 돈 없는 인간들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으로 사막을 직접 횡단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사막의 가혹한 환경이나 범죄 조직들에게 살해당하는 게 일반적이다. 애니메이션에는 플랜트를 비롯해 이민선을 지키기 위한 메카닉들까지 사막 위를 돌아다녀 사막을 왕래하는 사람들에게 위협이 되기도 한다.
문명 수준은 다소 특이한 게, 군사 부문은 거의 21세기에 가까우나 나머지 부분은 18~19세기 정도라는 점이다. 사막 행성이라는 것과 각 마을에 상주하는 보안관 및 범인들에게 걸린 현상금을 쫓는 현상금 사냥꾼의 존재를 보면 서부극의 영향을 짙게 받았다는 걸 알 수 있다. 이외에 발굴된 플랜트의 규모나 그러한 플랜트를 조작할 수 있는 사람의 유무에 따라 마을과 도시의 격차가 큰 편이다.
하지만 그나마 존재하는 플랜트들도 서서히 죽어가며 플랜트 자체가 로스트 테크놀로지라 복구하는 데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어 플랜트에게 전적으로 의지하는 인간들 또한 어려움을 겪는다.
사실 노 맨즈 랜드에 인간이 정착하게 된 건 150년 전으로, 신천지를 찾으러 우주를 떠돌던 지구 출신 이민선 집단은 밀리온즈 나이브스에 의한 항해 시스템 오작동으로 이곳에 불시착했다. 이 과정에서 이민선 내 콜드 슬립에 잠든 인간을 비롯한 이민선의 대부분은 파괴됐으나, 렘 세이브렘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시스템을 조작하여 극히 일부는 살아남았다.
이후 살아남은 인간들은 이민선과 함께 불시착한 플랜트를 발견해 이를 사용하여 가까스로 살아갔으나, 플랜트를 인격이 지닌 존재로 생각하지 않고 라스트 런과 같은 착취에 가까운 형태로 사용했다. 가뜩이나 인간에 대한 증오심이 깊었던 나이브스는 이러한 사실에 분노하여 노 맨즈 랜드를 돌며 인간을 학살하는 한편 자신의 힘을 키우자, 밧슈 더 스탬피드는 오랜 기간 동안 이를 견제했다. 그 과정에서 밧슈는 어느 정도 힘을 각성한 나이브스에게 제압당하여 밧슈 또한 나이브스와 같은 힘을 각성했으나 힘이 폭주하여 로스트 줄라이라는 대참사를 일으켰다.
무인편 2권에서는 한 번 더 폭주한 밧슈에 의해 로스트 줄라이만큼의 대참사는 아니나 달에 구멍을 낼 정도의 재앙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바로 핍스문 사건이다. 하지만 노 맨즈 랜드의 인간에게 있어 진짜 재앙은 나이브스가 만든 방주로 노 맨즈 랜드를 돌며 플랜트를 흡수하기 시작한 것이다. 사실상 플랜트에 모든걸 의지한 인간은 이러한 나이브스의 활동이 개시된 6개월 동안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그야말로 원초적인 수준으로 돌아갈 정도로 피폐해졌다. 더구나 극적으로 노 맨즈 랜드에 도착한 사실상의 구세주인 지구 연합군의 함대 7척도 나이브스에 의하여 전부 격침당했다. 나이브스는 남은 플랜트들까지 남김 없이 흡수한 다음 노 맨즈 랜드가 아닌 다른 행성으로 이주할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밧슈를 통하여 인간들은 플랜트가 의지를 가진 존재라는 것과 공존해야 할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고, 나이브스와 융합한 수많은 플랜트들도 뒤늦게나마 자신들의 잘못을 뉘우친 인간의 존재를 인정하여 나이브스가 최종적으로 계획한 플랜트 이주 계획은 저지됐고 플랜트들은 노 맨즈 랜드로 돌아왔다.
이후 노 맨즈 랜드는 당시 나이브스에 의해 추락한 지구 연합군의 함대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과 같이 살게 되었다. 노 맨즈 랜드 현지인들과 그다지 친한 모습은 아니지만 그래도 플랜트에 대한 인식이 예전보다 훨씬 더 좋아졌고 플랜트 연구에 대해 정통한 지구측 사람들도 가세해 상황은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7. 애니메이션 하늘의 소리의 지역
황폐화된 지역으로 과거에는 대도시가 있었던 곳으로 보이나 작중에는 그저 먼 배경 정도로만 나온다.8. 게임 서울 2033의 인카운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 2033/랜덤 인카운터/노 맨즈 랜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 2033/랜덤 인카운터/노 맨즈 랜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