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50%>
||김경호
Kim Kyung Ho ||
Kim Kyung Ho ||
- [ 음반 목록 ]
- ||<-4><tablewidth=100%><width=10000px><bgcolor=#009dec> 정규 음반 ||
KIM KYUNG HO
{{{#!wiki style="background-color: #73726B; border-color: #73726B;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1994.10.01kim:kyungho 1997
{{{#!wiki style="background-color: #808080; border-color: #80808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1997.06.0600:00:1998 KYUNG-HO KIM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border-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1998.05.26KYUNG-HO KIM IV
{{{#!wiki style="background-color: #BAC4C6; border-color: #BAC4C6;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1999.04.22kim kyungho-5th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border-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0.07.13The Life
{{{#!wiki style="background-color: #CAD5E4; border-color: #CAD5E4;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1.08.10Open Your Eye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border-color: #B1C0C1;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3.08.11Unlimite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border-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6.02.23Infinit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border-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7.11.28그대는 아직도
나를 설레게 한다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border-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19.05.16THE ROCKER
{{{#!wiki style="background-color: #ef2335; border-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24.05.20비정규 음반 시작(始作)
{{{#!wiki style="background-color: #DCE1E7; border-color: #DCE1E7;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4.07.12Alive
{{{#!wiki style="background-color: #908F8C; border-color: #908F8C;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9.06.25공존 Part.01 Sunse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border-color: #EEE8AA;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13.02.22공존 Part.02 시간의 숲
{{{#!wiki style="background-color: #9370DB; border-color: #9370DB;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17.05.13라이브 음반 Kim Kyung Ho Live
{{{#!wiki style="background-color:#5A1F1D; border-color: #5A1F1D;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1998.03.09Kim Kyung Ho
Best & Live
{{{#!wiki style="background-color:#966231; border-color: #966231;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2.01.08일본 음반 Chapter Zero
{{{#!wiki style="background-color: #96561C; border-color: #96561C;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2009.04.10표기되지 않은 음반은 음반의 각 문단 참고
- [ 노래 목록 ]
- ||<tablewidth=100%><width=10000px><bgcolor=#009dec> 앨범 ||<bgcolor=#009dec><width=40%> 타이틀곡 ||<bgcolor=#009dec><width=40%> 수록곡 ||
1. 개요
| ||||
kim kyungho-5th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9 | 나의 그리움은 너의 뒤에... | 김경호 | 이현석 |
kim kyungho-5th의 9번 트랙.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락발라드로 분류 시 김경호 발라드 곡들 중 아름답게 사랑하는 날까지를 압살하는 가장 높은 난이도를 가진 곡이다.
2. 음원 및 라이브
음원 | 5집 발매 기념 콘서트(2000.08.17)[1][2] |
충남대 콘서트(2000.10.14)[3] |
3. 가사
나의 그리움은 너의 뒤에... |
길고 긴 한숨 끝에 홀로 서 있는 것이 사랑인 거야 무심한 네 눈빛에 없던 외로움들이 더해만 가네 이런 내 맘 알고 있는 것인지 애써 무시하려 하는 것인지 아 애타하는 나의 그리움들을 차마 감당할수 없어 돌아가는 것인가 하염없이 흐르는 너의 영상들 속에서ㅡㅡ 무력해져 버린 나ㅡㅡㅡ 채워지지 못하는 허기진 마음 주체할 길 없어서 외면하는 너를 또 맴돌면 그리움이 더해만 가네 해맑은 너의 웃음은 왜 이토록 힘들게 할까 멀어져 가는 흐린 그림자가[4] 유일한 나의 쉴곳이 될 수 있을거야ㅡ 기억해 우리가 함께한 시간[코러스1] 무엇도 이보단 소중하진 않을테니[코러스2] 다시는 이러한 사랑은 없어 [코러스3] 마지막 사랑이라 생각해[코러스4] 처음에 느꼈던 사랑의 느낌[코러스5] 아직도 여전히 아름다운 우리의 것[코러스6] 너도 날 떨쳐내 버릴 순 없어 [코러스7] 마지막 사랑이라 생각해ㅡㅡ[코러스8] 애타하는 나의 그리움들을 차마 감당할수 없어 돌아가는 것인가 하염없이 흐르는 추억들 속에 무력해져 간 나ㅡㅡ 야 |
2옥타브 솔(G4) : 파란색 2옥타브 솔#(G#4) : 연파란색 2옥타브 라(A4) : 하늘색 2옥타브 라#(A4) : 청록색 2옥타브 시(B4) : 초록색 3옥타브 도(C5) : 노란색 3옥타브 레(D5) : 주황색 3옥타브 미(E5) : 빨간색 3옥타브 파(F5) : 보라색 |
4. 곡 분석
- 조성 : Am(가 단조)
- 최고음 : 3옥타브 미(E5)(애드립, 코러스 3옥타브 파(F5))
전술한대로, 기존 최악의 헬곡으로 알려졌었던 아름답게 사랑하는 날까지 보다 한 차원 더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는 김경호 커리어에 있어서 최악의 헬곡이다.[13]
일단 1절 부터 매우 잔인하기 짝이 없는 난이도를 자랑한다. 3옥타브 레(D5)가 시작부터 등장하고, 이것도 모자라 [하염없이 흐르는 영상들 속에서] 파트에서는 3옥타브 중반에 해당하는 3옥타브 미(E5)를 어려운 발음으로 내기 때문에, 어지간한 음역대로는 1절 조차 완창할 수 없을 것이다.
그나마 이 1절조차 이 곡에서 가장 쉬운 파트이다. 2절부터 3절 끝까지 곡 전체가 2옥타브 후반 ~ 3옥타브 중반에서 아예 안 내려온다!! 특히 이 곡의 최흉의 난이도 구간은 바로 2절 마지막 후렴구 브릿지 고음인데, [마지막 사랑이라 생각해] 파트에서 3옥타브 미(E5)를 또 어려운 발음으로 내면서 곧바로 이 곡의 최고음인 3옥타브 파(F5)를 애드립으로 길게 내야 한다. 문제의 2절 브릿지 고음을 넘기더라도, 3절 마지막 소절인 [무력해져 버린 나] 부분에서 2옥타브 솔#(G#4) 부터 무려 4단 고음으로 3옥타브 미(E5)를 내고 나서야, 이 잔혹한 난이도의 노래는 끝이 난다.
종합적으로, 이 곡은 2 ~ 3절을 통틀어 3옥타브 갯수가 42개, 곡 전체의 3옥타브 개수는 무려 58개나 되는데, 그냥 내기도 힘든 3옥타브 중반의 음역대를 지속적으로 스크래치를 내면서 계속 긁어대야 한다. 비단 3옥타브 뿐 아니라 2옥타브 구간에서도 스크래치를 내야하는데, 그 결과 2옥타브 솔(G4)~2옥타브 시(B4)의 중고음이 전체를 합쳐 무려 133개에 달하고, 이마저도 일반 남성들이 제대로 올리기 힘든 파사지오 음역대인 2옥타브 라(A4)~2옥타브 시(B4)가 거의 대다수이다. 즉 이 곡 전체를 통틀어 2옥타브 중반~3옥타브 중반의 고음들을 다 합치면 무려 191개이다. 이로 인해 2절부터는 전체적인 음역대가 2옥타브 라(A4) 이하로 내려오지 않으며, 평균적인 음역대는 아예 3옥타브에 달한다.
오죽하면 김경호 본인조차도 전성기 시절 이후론 완창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난이도도 난이도지만 당시 성대결절이기도 했고 곡 자체의 인지도가 거의 없었던 점이 가장 큰 이유이다. 그래서 전성기 시절[14] 이후로는 라이브 자체가 완전히 봉인되어 버렸으나 그 이후 19년이 흘러서 2019년 언플러그드 돌발 콘서트에서 다시 어쿠스틱하게 편곡하여 3키 내려서 다시 불러주었다. [15]
5. 기타
음원의 2:43[기억해 우리가]부터 3:14[마지막 사랑이라]까지 김경호가 3~4키를 올려서 직접 코러스를 불렀다.장르가 메탈로 바뀌는 곡의 후반부는 이현석이 편곡에 참여하고 연주한 곡답게 화려한 기타연주가 특징이다.
김경호의 인터뷰에 따르면 드라마 허준을 보고 예진아씨의 마음으로 곡을 썼다고 한다.
6. 관련 문서
[1] 난이도도 난이도지만 성대결절에 걸린 시기라 그런지 목소리가 갈라지고 성량이 작아진다.[2] 영상으로 남아있는 라이브 중 가장 컨디션 좋았던 라이브[3] 성대결절이 악화되어 위의 라이브보다 빈 소리가 심해졌다.[4] 이 부분부터 발라드에서 메탈로 넘어간다.[코러스1] 기억해 우리가 함께한 시간[코러스2] 무엇도 이보단 소중하진 않을테니[코러스3] 다시는 이러한 사랑은 없어[코러스4] 마지막 사랑이라 생각해[코러스5] 처음에 느꼈던 사랑의 느낌[코러스6] 아직도 여전히 아름다운 우리의 것[코러스7] 너도 날 떨쳐내 버릴 순 없어[코러스8] 마지막 사랑이라[13] 락 발라드만 한정 했을때 그런것이다. 메탈곡까지 포함하면 Rock The Night가 최악의 헬곡이다.[14] 그나마 그 라이브에서도 역대급으로 굉장히 힘겨워했다. 특히 이 라이브를 성대결절에 걸린 상태에서 완벽하게 완창했다는 것에서, 김경호의 전성기 시절의 대단함을 엿볼 수 있다.[15] 하지만 3키나 내려도 최고음은 3옥타브 레(D5)에 달한다. 특히 2025년 기준으로 김경호 나이가 50대 중반임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이 곡을 원키 라이브를 소화할 가능성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