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01:31:51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파일:슈퍼글로벌대학_투명.png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25690><colcolor=#fff>슈퍼글로벌대학 《TOP형》 지정교
국립홋카이도대학도호쿠대학쓰쿠바대학
도쿄대학도쿄의과치과대학
도쿄공업대학나고야대학교토대학
오사카대학히로시마대학규슈대학
사립와세다대학게이오기주쿠대학
슈퍼글로벌대학 《글로벌화 견인형》 지정교
국립치바대학도쿄외국어대학도쿄예술대학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가나자와대학토요하시기술과학대학
교토공예섬유대학오카야마대학구마모토대학
나라선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
공립국제교양대학아이즈대학
사립국제기독교대학시바우라공업대학조치대학
토요대학호세이대학메이지대학
릿쿄대학소카대학국제대학
리츠메이칸대학간세이가쿠인대학APU}}}}}}}}}

1. 개요2. 역사
2.1. 헤이세이2.2. 레이와

1. 개요

일본의 국립 기술과학대학이다. 니가타현 나가오카 소재. #

오사카공립대학, 국제교양대학, 니가타약과대학을 연계대학으로 지역중핵 및 특색 있는 연구대학(J-PEAKS)[1]의 2차 지정교에 채택되었다.

2. 역사

  • 쇼와 47년 8월 15일: 문부성에 “기술과학대학원(가칭) 관련 조사연구회의” 설치
  • 쇼와 48년 12월 27일: 쇼와 49년도 예산 정부안에서 기술과학대학원(가칭)의 나가오카시 설치 결정
  • 쇼와 49년 4월 11일: 도쿄공업대에 “기술과학대학원(가칭) 창설 준비실” 설치
  • 쇼와 49년 8월 29일: 문부성에 “기술과학대학원(가칭) 교육과정 및 시설 등 조사회” 설치
  • 쇼와 51년 5월 25일: 국립학교설치법 일부 개정을 위한 법률(쇼와 51년 법률 제26호) 시행에 따라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신설 공포
  • 쇼와 51년 10월 1일: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개교 및 사무국을 나가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내에 설치
  • 쇼와 52년 4월 18일: 공학부에 기계시스템공학과정, 창조설계공학과정, 전기·전자시스템공학과정, 전자기기공학과정, 재료개발공학과정, 건설공학과정 설치
  • 쇼와 52년 12월 1일: 사무국을 나가오카시 카미토미오카초 1603-1(현재 위치)으로 이전
  • 쇼와 53년 4월 1일: 어학센터 설치
  • 쇼와 53년 4월 18일: 제1회 학부 입학식 실시
  • 쇼와 54년 4월 1일: 체육·보건센터 설치
  • 55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석사과정) 설치 (기계시스템공학전공, 창조설계공학전공, 전기·전자시스템공학전공, 전자기기공학전공, 재료개발공학전공, 건설공학전공) 및 분석측정센터 설치
  • 쇼와 55년 4월 3일: 제1회 대학원 입학식 실시
  • 쇼와 56년 4월 1일: 기술개발센터 및 계산기센터 설치
  • 쇼와 57년 1월 30일: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기술개발 교육연구진흥회” 설치
  • 쇼와 57년 3월 1일: 라디오동위원소센터 설치
  • 쇼와 57년 4월 1일: 공작센터 설치
  • 쇼와 59년 4월 1일: 음향진동공학센터 설치
  • 쇼와 59년 11월 1일: 입자빔공학센터 설치 (헤이세이 11년 4월 1일 폐지)
  • 쇼와 61년 3월 25일: 국제교류회관 준공
  • 쇼와 61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박사과정 설치 (재료공학전공, 에너지·환경공학전공) 및 이학센터 설치
  • 쇼와 61년 4월 23일: 쇼와 61년도 대학원 공학연구과 박사후기과정 입학식 실시
  • 쇼와 61년 10월 1일: 개교 10주년 기념식 실시
  • 쇼와 62년 3월 25일: 본 학과 공학박사 학위 수여 (제1호)
  • 쇼와 62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정보·제어공학전공(박사후기과정) 설치
  • 쇼와 63년 4월 8일: 계산기센터를 정보처리센터로 개칭

2.1. 헤이세이

  • 헤이세이 원년 4월 1일: 공학부에 생물기능공학과정 설치
  • 헤이세이 원년 12월 1일: 논문 제출에 의한 공학박사 학위 수여 (제1호)
  • 헤이세이 4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생물기능공학전공(석사과정) 설치
  • 헤이세이 6년 4월 1일: 공학부에 환경시스템공학과정 설치
  • 헤이세이 8년 10월 4일: 개교 20주년 기념식 실시
  • 헤이세이 9년 6월 1일: 멀티미디어시스템센터 설치
  • 헤이세이 10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환경시스템공학전공(석사과정) 설치
  • 헤이세이 11년 4월 1일: 극한 에너지 밀도 공학연구센터 설치
  • 헤이세이 12년 4월 1일: 공학부 기계시스템공학과정 및 창조설계공학과정을 기계창조공학과정으로 개편; 공학부 전기·전자시스템공학과정 및 전자기기공학과정을 전기전자정보공학과정으로 개편; 공학부에 경영정보시스템공학과정 설치
  • 헤이세이 14년 4월 1일: 유학생센터 및 테크노인큐베이션센터 설치
  • 헤이세이 15년 4월 1일: e러닝 연구실천센터 설치
  • 헤이세이 16년 4월 1일: 국립대학법인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설립; 대학원 공학연구과 기계시스템공학전공 및 창조설계공학전공을 기계창조공학전공으로, 전기·전자시스템공학전공 및 전자기기공학전공을 전기전자정보공학전공으로 개편;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경영정보시스템공학전공(석사과정) 설치
  • 헤이세이 17년 4월 1일: 고성능 마그네슘공학연구센터 및 지적재산센터 설치
  • 헤이세이 18년 4월 1일: 대학원 기술경영연구과 시스템안전전공(전문직 대학원) 설치
  • 헤이세이 18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생물통합공학전공(박사후기과정) 설치 및 아시아 그린테크 개발센터 설치
  • 헤이세이 18년 10월 1일: 개교 30주년 기념식 실시
  • 헤이세이 19년 4월 1일: 교육방법개발센터 및 공통교육센터 설치
  • 헤이세이 19년 10월 1일: 산학융합 톱러너 양성센터 설치
  • 헤이세이 20년 3월 27일: 30주년 기념 학생 기숙사 준공
  • 헤이세이 20년 4월 1일: 유학생센터를 국제센터로 개명 및 안전안심사회연구센터 설치
  • 헤이세이 21년 5월 1일: 메탄 고도 이용 기술연구센터 설치
  • 헤이세이 23년 4월 1일: 국제센터를 국제연계센터로 개편
  • 헤이세이 23년 11월 1일: 기술지원센터 설치
  • 헤이세이 24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원자력 시스템 안전공학전공 설치
  • 헤이세이 25년 9월 1일: 기학 이노베이션 추진센터 설치
  • 헤이세이 27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5년 일괄제 박사과정(기술과학 이노베이션 전공) 설치; 대학원 공학연구과 건설공학전공 및 환경시스템공학전공을 환경사회기반공학전공으로 개편; 대학원 공학연구과 재료개발공학전공을 물질재료공학전공으로, 경영정보시스템공학전공을 정보·경영시스템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공학부 건설공학과정 및 환경시스템공학과정을 환경사회기반공학과정으로 개편; 공학부 재료개발공학과정을 물질재료공학과정으로, 경영정보시스템공학과정을 정보·경영시스템공학과정으로 명칭 변경
  • 헤이세이 28년 10월 7일: 개교 40주년 기념식 실시

2.2. 레이와

  • 레이와 원년 7월 1일: 테크노인큐베이션센터와 지적재산센터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국제산학연계센터(신설)로 이관; 수리·데이터 사이언스 교육연구센터 설치
  • 레이와 2년 4월 1일: 학생종합지원센터 설치
  • 레이와 3년 3월 1일: e러닝 연구실천센터, 정보처리센터, 멀티미디어시스템센터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종합정보센터로 이관
  • 레이와 3년 4월 1일: 시스템안전전공(전문직 대학원)을 시스템안전공학전공(석사과정)으로 개편
  • 레이와 3년 9월 1일: 지역방재실천연구센터 설치
  • 레이와 4년 4월 1일:
  • 공학부의 기계창조공학과정, 전기전자정보공학과정, 물질재료공학과정, 환경사회기반공학과정, 생물기능공학과정, 정보경영시스템공학과정을 공학부 공학과정으로 개편;
  • 대학원 공학연구과 석사과정의 기계창조공학전공, 전기전자정보공학전공, 물질재료공학전공, 환경사회기반공학전공, 생물기능공학전공, 정보·경영시스템공학전공, 원자력시스템안전공학전공을 공학전공으로 개편;
  • 대학원 공학연구과 박사후기과정의 정보·제어공학전공, 재료공학전공, 에너지·환경공학전공, 생물통합공학전공을 선단공학전공으로 개편;
  • 교원 조직을 기계계, 전기전자정보계, 정보·경영시스템계, 물질생물계, 환경사회기반계, 양자원자력계, 시스템안전계, 기술과학이노베이션계, 기초공통교육계로 개편;
  • 아시아그린테크개발센터와 메탄고도이용기술연구센터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글로벌·지역자원순환센터(신설)로 이관
#

[1] 슈퍼글로벌대학의 지원이 끝난 이후, 문부과학성이 연구력 강화를 위해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