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2 23:20:07

꽃비녀

1. Dynax(나카니혼)의 오락실 화투 게임
1.1. 시스템1.2. 미니게임1.3. 사기스러운 난이도
2.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코바야카와 사에의 노래

1. Dynax(나카니혼)의 오락실 화투 게임

파일:hanakanzashi_original.png 파일:hanakanzashi_korean.png
원작 한국판

테크노 탑(Nakanihon, Dynax)[1]에서 제작, 1996년에 출시한 오락실 게임이다. 원제는 花かんざし이며, 한국에는 꽃비녀라는 제목으로 한국어로 번역되어 들어왔다.

코이코이 게임이며, 한국판은 패 모양이 화투패가 아닌 12지 동물모양 패로 바뀌었다. 다만 11과 12는 한국이 아닌 일본식을 따랐다. (하지만 王자 표시(원래 화투패의 '광'에 대응되는)라든가 붉은띠 파란띠로 원래 화투인 것을 다들 눈치챘다) 또한 원래는 화투게임 전용 컨트롤러[2]를 사용했는데, 한국판은 일반 스틱기기에서 사용하도록 수정되어 있다(물론, 전용 컨트롤러 버전 한국어판도 존재한다). 이 계열 게임이 그렇듯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서비스 신이 있으며, 스테이지와 스테이지 사이에 미니게임을 플레이할 수도 있다.

원래는 음성지원이 되지만, 한국판에는 음성이 삭제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華陽炎(하나 카게로우)'라는 속편이 출시되었으며, 한국에는 꽃비녀 SPECIAL이 출시되기도 했다.
파일:external/www.gameplanet.co.kr/0ddddf3753d0fcf4b68bd692fc5b3734.png
꽃비녀 SPECIAL
꽃비녀 SPECIAL은 등장 여성들을 Dynax의 마작 게임인 '마작 판타직 러브'의 여성들로 교체한 버전. 이쪽에서는 한국어 음성을 새로 녹음했지만, 돈덴러버 한국어판과 마찬가지로 국어책 읽기. 등장인물들이 현대 복장으로 바뀌었다.

1.1. 시스템

  • 기본적으로 코이코이의 룰을 따르나 일부는 다르게 적용되어 있다.
  • 고스톱에서 적용된 룰을 여기서 적용되지 않는 것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스톱과는 진행이 다르다. 뻑, 쪽, 쓸, 초단, 따닥, 비3광[3]등이 있으며, 광이나 피로 점수가 났을 때 상대측은 일정 패 이하를 소유했을 때 발생하는 광박, 피박도 적용이 되지 않는다.
  • 점수가 1점이라도 날 경우 바로 판을 끝낼 여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역으로 CPU가 1점이라도 먹고 바로 끝내버리는 일이 매우 흔하다. 이 때문에 연승 쌓기가 극도로 어렵다.
  • 9월 열끗패의 경우 열끗패, 피 모두 1장씩 계산한다. 피 9개 소유하고 있고 9월 열끗패도 소유하고 있다면 피는 총 10개로 계산된다.
<rowcolor=white,black> 원어
(일본어 발음)
한국어 발음 역패 조합
추가 조건
점수
광(光)역[4]
五光
(고코)
오광 송학(1월), 벚꽃(3월), 억새(8월), 오동(12월), 비(11월) 광패
(광패 5장)
15
四光
(시코)
사광 송학(1월), 벚꽃(3월), 억새(8월), 오동(12월) 광패
(비(11월) 광패를 제외한 광패 4장)
10
雨四光
(아메시코)
비사광 사광패 중 3장 및 비(11월) 광패
(비(11월) 광패를 포함한 광패 4장)
8
三光
(산코)
삼광 사광패 중 3장
(비(11월) 광패를 제외한 광패 3장)
6
타네(동물)역[e]
花見酒
(하나미자케)
화견주[6] 국화(9월) 열끗패, 벚꽃(3월) 광패[a]
월견주와 중첩 가능
5[b]
月見酒
(츠키미자케)
월견주[9] 국화(9월) 열끗패, 억새(8월) 광패[a]
화견주와 중첩 가능
5[b]
猪鹿蝶
(이노시카쵸)
저록접 싸리(7월), 단풍(10월), 모란(6월) 열끗패
(멧돼지, 사슴, 나비)[12]
추가 열끗패당 +1점
5
タネ
(타네)
열끗
(동물/씨앗)[e]
열끗패 5장
추가 열끗패당 +1점
1
단주역[14]
赤短
(아카탄)
홍단[15] 송학(1월), 매조(2월), 벚꽃(3월) 띠패
(시가 적힌 빨강색 띠패 3장)
추가 띠패(청단패 포함)당 +1점
6
青短
(아오탄)
청단 모란(6월), 국화(9월), 단풍(10월) 띠패
(파랑색 띠패 3장)
추가 띠패(홍단패 포함)당 +1점
6
短冊
(탄자쿠)

(단(주))
종류에 상관없이 띠패 5장
추가 띠패당 +1점
1
기타역
カス
(카스)
[16] 일반패(피) 10장
추가 피당 +1점
1

1.2. 미니게임

랜덤으로 발생하는데 컨티뉴하거나 CPU를 이기면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두 종류로 나뉜다.
* CPU를 이긴 뒤에 하는 미니게임은 결과에 따라 보너스를 얻을 수 있다.
* 역전 : 1등상. CPU쪽에 점수가 났을 때 역전을 사용하면 CPU가 소유하고 있는 패와 가져간 패를 플레이어와 서로 바꾼다. 그러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시 CPU 승리로 판정하기 때문에 아깝다고 쓰지 않으면 보너스가 그대로 날아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뒤집어짐 : 2등상. 역전 다음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을 때. 뒤집어져 있는 패를 항상 보여진 상태가 된다.
* CPU 오픈 : 3등상. CPU가 소유한 패를 모두 보여준다.
* 퍼스트 찬스 : 4등상.
* 컨티뉴 시에 하는 미니게임은 결과에 따라 점수를 얻을 수 있다. 1등 10000점, 2등 5000점, 3등 3000점, 4등 2000점.

1.3. 사기스러운 난이도

이 게임의 인공지능은 플레이어에게 엿 먹이는 걸로 악명 높다. 초반에는 플레이어가 유리하도록 짜져 있으나, 문제는 중반부터. CPU 쪽에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패가 짜져 있으며 뒤집어질 때 나오는 패도 역시 CPU 쪽에 유리하게끔 되어 있고 플레이어가 낸 패에 따라 뒤집어지는 패의 그림도 수시로 바뀐다. 이것을 에뮬레이터로도 구동할 수 있는데, 세이브로드를 반복하면 확인할 수 있다. 이건 말 그대로 뒤집히는 패의 그림을 조작하는 것으로, 플레이어가 절대로 못 이기도록 패가 짜지게 한 것이다. 이쯤이면 CPU가 타짜를 치는 건가 의심스러울 정도.

이처럼 짜고 치는 난이도 때문에 이 게임을 컨티뉴 없이 전 세계에서 공식적으로 원코인 올 클리어를 한 자가 전무하다.

2.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코바야카와 사에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花簪 HANAKANZASHI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花簪 HANAKANZASH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花簪 HANAKANZASH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퀴즈 채널 퀘스천〉, 〈세계횡단 울트라 챔피언〉도 제작했다.[2] 좀 더 정확히는 마작게임 전용 컨트롤러에 화투게임에 쓰이는 기능을 대응시킨 컨트롤러. 마작 쪽의 컨트롤러가 버튼이 더 많기 때문에 화투 전용 게임으로 병용할 수 있게 만들기도 쉬었다.[3] 고스톱에서는 그나마 점수를 얻지만 여기서는 1점도 얻을 수 없다.[4] 영어: Light(s), Bright(s), Hikari(ひかり)[e] '씨앗(종자)'은 'タネ(타네, Seed(s))'를 직역한 것으로, 한국어로 부를 때는 패 이름은 '열끗패(10-Point Card, 영어로는 'Animal Card(동물패)'로도 많이 부른다.)', 역 이름은 '동물역(Animal Yaku)'으로 의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6] '꽃구경에 (술) 한잔 (Cherry Blossom Viewing)'으로 의역하기도 한다.[a] 모은 패 중에서 비(11월)패가 있는 경우 역으로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b] 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9] '달구경에 (술) 한잔 (Moon Viewing)'으로 의역하기도 한다.[a] [b] [12] 한국판에서는 고도리로 적용. 2월, 4월, 8월의 열끗패를 모두 수집[e] [14] 영어: Ribbon(s), Slip(s)[15] 글씨(시)가 적혀있다고 해서, 영어로는 'Red Ribbons' 대신 '(Red) Poetry Ribbons'로 부르기도 한다.[16] 영어: Cha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