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fff> | 칠레 국회 원내 구성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원 (좌) / 하원 (우) | |||
| 연립 여당 | ||||
| '''정부동맹 Alianza de Gobierno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광역전선 1 / 23 | 칠레 사회당 7 / 13 | 칠레 공산당 2 / 10 | |
| 민주주의를 위한 당 9 / 6 | 파일:칠레 자유당 로고.png 칠레 자유당 0 / 5 | 칠레 급진당 0 / 3 | ||
| 인본주의행동 0 / 2 | 녹색사회지역연맹 0 / 1 | 무소속 0 / 1 | ||
| 신임과 보완 | ||||
| '''교섭단체 없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기독교민주당 3 / 7 | |||
| 야당 | ||||
| '''가자 칠레 Chile Vamo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독립민주연합 9 / 22 | 국민혁신 10 / 21 | 정치적 진화 3 / 4 | |
| '''교섭단체 없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공화당 1 / 13 | 사회기독당 7 / 2 | 칠레 민주당 2 / 6 | |
| 칠레를 위한 황색운동 0 / 1 | 무소속 2 / 7 | |||
}}}}}}}}}}}} ||
| | |
| Partido Demócrata Cristiano (PDC) | |
| 영문 명칭 | Christian Democratic Party |
| 한글 명칭 | 기독교민주당 |
| 상징색 | 하늘색 |
| 창당일 | 1957년 7월 28일 |
| 이념 | 사회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제3의길 |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좌파 |
| 주소 | Av. Libertador Bernardo O'Higgins 1460, 산티아고 |
| 당수 | 캐롤라이나 고이치 |
| 당원 수 | 34,237명(2021년 기준) |
| 국제 조직 | |
| 청년 조직 | 청년 기독교민주당 |
| 당기 | |
| 당가 | 영원한 남십자성 |
| 상원 의석 수 | 5석 / 43석 |
| 하원 의석 수 | 8석 / 155석 |
| 웹사이트 | |
1. 개요
칠레의 사회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이다. 다만 중도 ~ 중도좌파 정당으로 분류된다.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와 파트리시오 아일윈,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가 기민당 출신 대통령이었다.
2. 성향
유럽에서나 남미에서나 대체로 기독교민주주의를 내세우는 정당들이 우파성향을 띠고 있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서 칠레 기독민주당은 중도좌파로 분류된다. 이에는 역사적인 이유가 있다.칠레의 기민당도 본래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같은 친시장적 중도우파 정당이였다. 1957년 당시에 중도파 기독교 사회보수당과 보수파 국가기독교당, 반공주의 정당 농업노동자당이 합당해서 탄생한 정당이었으며, 1964년부터 1970년까지 대통령을 지낸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도 원래 보수당과 국민 팔랑헤당 같은 보수정당 당원이었다가 따로 기독교 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1964년 대선에서 보수파의 지지를 얻어 대통령에 당선된 인물이었다.
특히 칠레 최초 민주사회주의정권인 살바도르 아옌데 시절에는 강경 우익진영과 연대하여 구리광산 국유화 반대 등 아옌데 정부에 반대하는 모습을 보였고, 1973년 총선에서 승리를 확신하여 탄핵을 준비하려고 했던 모습을 보이거나, 1973년 칠레 쿠데타 당시에 공식적으로 별 논평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몬탈바와 아일원을 비롯한 지도부는 물론이고 다수의 기독교민주당원들이 피노체트가 자신들에게 정권을 넘겨줄 것이라는 김칫국 먹는 반응을 보였을 정도였다.
그러나 아엔데 정권 축출 이후에 집권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은 민정 이양을 하지 않은 채 계속 철권 통치를 하면서 분위기는 급속히 얼어붙었고, 기독교민주당은 민정 이양을 요구하면서 피노체트와 척을 지기 시작하며 야당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독교 민주당도 역시 탄압 대상이 되었고, 결국 기독교 민주당 역시 좌파 정당과 연대를 시작했다. 심지어는 에두아르도 프라이 몬탈바가 1982년 의문사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1988년엔 아예 Concertación라는 사회민주주의 경향의 반독재/중도좌파 정당 연합체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게 되면서 국민투표에 승리하고 1989년에도 좌파 정당들과 연합해서 집권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현재까지 칠레 기준으로 중도~중도좌파, 진보진영 측의 정당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3. 여담
- 간혹 기독교 좌파 정당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그렇게 보기에는 중도적인 성격이 있어 애매하다.
- 사회보수주의 정당이긴 하지만 이것은 사회에 세속 자유주의를 존중하면서도 (소수자 차별하지 않는 선에서) 가톨릭 사회 가르침을 반영하겠다는 말로, 통상 말하는 사회보수주의와는 차이가 있다. 실제로 당 주류는 동성결혼을 지지하는 입장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