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21:03:08

기계설계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의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2 {{{#FFFFFF 기계제작 분야 자격증}}}}}}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기술사
기계가공기능장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기계조립산업기사 - -
- - 일반기계기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계설계산업기사 - -
정밀측정기능사 정밀측정산업기사 - -


{{{+2 {{{#FFFFFF 기계공학 관련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161. 기계제작 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사 일반기계기사
기술사 기계기술사

{{{+2 {{{#FFFFFF 캐드 관련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141. 건축 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지도제작기능사
지적기능사
161. 기계제작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산업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사 일반기계기사
기능장 기계가공기능장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기능사 자동화설비기능사
산업기사 자동화설비산업기사
164. 조선 기능사 선체설계기능사
167. 금형ㆍ공작기계 기능사 금형기능사
기능장 금형기능장

기계설계산업기사
機械設備産業技士
Industrial Engineer Machinery Design
Industrial Engineer Mechanical Design
중분류 161. 기계제작
관련부처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시험
2.1. 필기
2.1.1. 각 과목 별 공부법
2.2. 실기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최근 기계설계분야는 생산성 향상, 비용절감, 품질개선 및 신뢰도 향상을 목적으로 컴퓨터에 의한 설계 및 생산(CAD/CAM)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산업체 자체의 생산제품에 적합한 패키지의 설계, 수정, 보완을 담당할 인력은 부족한 편이다. 이에 따라 '기계설계분야에 필요한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을 제정.
-Q넷 과정평가형자격 시행종목 상세정보

일반기계기사의 하위 자격증으로, 주로 전문대 졸업 예정자(2학년)가 취업을 위해, 혹은 재직자가 승진 시 이점을 위해 취득한다. (특성화고등학교 진학이후 산업기능요원 2년차), (지방기능경기대회 입상자)[1], (과정평가형 기계설계산업기사 자격 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2][3]

2. 시험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뉘며, 과정평가로도 응시할 수 있다.

2.1. 필기

필기는 기계제도, 기계요소설계, 기계재료 및 측정이다. 과목 당 40점 미만인 경우 과락이며, 과락 없이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예로 한 과목 빼고 나머지 과목에서 만점을 받아도 그 한 과목이 39점이면 과락이므로 불합격이다. 과락이 없어도 평균이 60이어야 하는 즉슨 모든 과목에서 반타작은 넘기는게 안정적이다.

2022년부터 치공구설계산업기사와 합쳐지면서, 응시 과목이 3과목(기계제도, 기계요소설계, 기계재료 및 측정)으로 개편된다.

2.1.1. 각 과목 별 공부법

  • 1.기계제도 : 이 과목은 실기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과목 만큼은 이론을 공부하는게 좋다. 주로 투상도 종류, 선 종류(가는 실선 굵은 실선), 여러 기계요소 제도법, 올바른 투상선택 등이 나온다.
  • 2.기계요소설계 : 제일 어려운 과목으로 불합격한 응시생에 대부분이 이 과목에서 과락이 나온다. 제일 외울게 많고 이론도 어렵기 때문이다. 기출문제만으로는 약간 부족하니 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한다.
  • 3.기계재료 및 측정 : 기계요소설계가 이론이 어렵다면 재료와 측정은 외울 량이 많다. fe c상태도 열처리, 금속의 성질등 외울 게 많다.

전문학사과정에서 충실히 공부했다면 기계요소만큼 점수받기 쉬운과목이 없다. 이론을 아는 상태에서 공부하면 다른 두 과목보다 고득점하기 쉽다. 왜냐하면 이론을 알면 식의 유도를 알아 외우는 때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기계요소설게 와 기계제도(외울 것이 있지만 많지는 않다.)는 16점 받고 기계재료는 과략만 벗어나자는 전략으로 가면 된다.
만약 학교에서 재료역학을 안 배웠다면(c+ = 안 배움) 이론의 베이스가 없기 때문에 상당히 어렵다. 기계제도는 거의 만점을 받을 각오를 하면서 공부하고 기계재료와 측정은 70점 정도 받을 정도로 공부하고 기계요소설계는 과락을 넘길 정도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

기계설계산업기사는 2022년부로 과목면제가 종료되어 기계조립산업기사 등을 취득한지 2년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모든 과목을 다시 봐야 한다.

2.2. 실기

실기는 CAD 작업이다. 실기는 대체로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와 유사하다. 하지만 설계 변경도 추가 되어서 답안을 꼼꼼히 살펴보면서 할 필요가 있다.

설계변경은 간단하게 지시사항대로 단일에 치수만 변경해주면 되는 유형(이하 1유형)과 지시에 따라 여러 치수를 바꾸어 줘야하는 유형이 있다(이하 2유형). 1유형은 그대로 하면 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고, 2유형은 다음 예시와 같이 하면 된다.
2유형 예시
1. 베어링, 키, 부시, 스프로킷(단순 변경 유형) : 보통 약간의 치수 변화를 주라고 하나 베어링 종류를 변경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 예) 6800을 6801로 변경하시오.
  • 풀이 : 원래는 d=10, D=19, B=5 r=3인데, B와 r은 거의 바꿀 필요 없고 d=12, D=21로 변경하면 된다.
2.기어 : 공식만 알면 된다.
  • 예) 기어 모듈(이의 크기)를 M=2을 M=3으로 변경 하시오.
  • 풀이: 이끝원= (잇수+2)x모듈

    • 이뿌리원= (잇수-2)×모듈
      피치원= 잇수×모듈

3. 관련 문서



[1] 지방기능경기대회 관련종목 입상 시 자격요건이 충족되므로 고등학생도 취득이 가능하다. 단 도에서 3명뽑는다는건 알아두자. 여담으로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시 실기가 면제되는데, 딱히 의미가 없다. 기계설계같은경우 지방대회 과제만 해도 산업기사 실기는 껌으로 보일정도로 어려우며, 굳이 실기면제의 메리트를 찾자면 실기시험 지원할때 드는 돈 3만원정도를 아낄 수 있다.[2] 대부분 고등학생이 산업기사를 취득했다고 하면 저런식으로 교육을 받았을 확률이 높다. 가장 빠른방법은 위에 서술한 지방기능대회로 취득하는것이다.[3] 이 방법또한 취득자가 얼마 안되는 모양이다. 뉴스에 가끔 몇명 나오는것을 보면 알수있다. 물론 한 해에 수십명씩 합격자를 내보내는 학교도 존재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