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19:18:40

Memorize

그림자(버즈)에서 넘어옴


[[버즈|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nopad>
파일:버즈 로고.svg
버즈

BUZZ
||
]]

{{{#!folding [ 음반 목록 ]
{{{#!folding [ 참여 음반 ]
{{{#!folding [ 관련 문서 ]

파일:버즈 로고.svg의 음반 (발매일순)
,정규 4집,
Memorize
2014
Train
2014
남자라면
2015

<colbgcolor=#003da6,#003da6><colcolor=#fff> Memorize
The 4th Album
<nopad>파일:Memorize.jpg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14년 11월 26일
아티스트 버즈
기획사 롱플레이뮤직
유통사 드림어스컴퍼니
곡 정보 11곡39분 39초
타이틀곡
#!if 앵커 == null
[[Memorize|{{{#!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003da6;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003d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Memorize{{{-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if 앵커 != null
[[Memorize#안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003da6;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003d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안녕{{{-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if 앵커 == null
[[Memorize|{{{#!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003da6;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003d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Memorize{{{-1 ,,|03,,}}}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3,,}}}
}}}
}}}]]
#!if 앵커 != null
[[Memorize#나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003da6;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003d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나무{{{-1 ,,|03,,}}}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3,,}}}
}}}
}}}]]

1. 개요2. 앨범 소개3. 수록곡
3.1. Memorize3.2. Train
3.2.1. 뮤직 비디오
3.3. 안녕3.4. 나무
3.4.1. 뮤직 비디오
3.5. Good Day3.6. 그대여3.7. 그림자3.8. 8년만의 여름
3.8.1. 뮤직 비디오
3.9. 너는 나의 꽃이야
3.9.1. 콜라보 뮤직 비디오
3.10. 나무 (Original Ver.)3.11. Star
4. 앨범 사양5. 평가6. 앨범 콘셉트 티저
6.1. 이미지
7. 활동
7.1. 음악 방송7.2. TV 방송7.3. 라디오
8. 여담

1. 개요

2014년 11월 26일에 발매한 버즈의 네 번째 정규 앨범.

2. 앨범 소개

파일:버즈 로고.svg
The 4th Albu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음반 소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MemorizeThe 4th Album
2014. 11. 26. (수) 00:00 발매
지금을 기억하다
}}}}}}}}}

3. 수록곡

Memorize
The 4th Album
2014. 11. 26. (수) 00:00 발매
[ TRACK LIST ]
파일:버즈 4집 트랙리스트.jpg
<rowcolor=#fff> 트랙 프로듀싱
1 Memorize 작사 | -
작곡버즈
편곡버즈
2 Trai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00px; border: 1px solid #003da6; background: #003da6; color: #ffffff;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3 안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00px; border: 1px solid #003da6; background: #003da6; color: #ffffff;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4 나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00px; border: 1px solid #003da6; background: #003da6; color: #ffffff;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5 Good Day 작사 | 톰과 제리
작곡 | Andreas Stone Johansson, Marcus Liliequist, Alexander Holmgren, Anders Grahn
편곡버즈
6 그대여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7 그림자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8 8년만의 여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00px; border: 1px solid #003da6; background: #003da6; color: #ffffff;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9 너는 나의 꽃이야 작사 | 최갑원
작곡 | Tom Andrews, Gary Clark
편곡버즈
10 나무 (Original Version)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11 Star 작사버즈
작곡버즈
편곡버즈

3.1. Memorize

Memorize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1'''}}}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1:00'''}}}}}}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연주곡'''}}}}}}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1'''}}}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1:00'''}}}}}}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연주곡'''}}}}}}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3.2. Train

Train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2'''}}}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4:05'''}}}}}}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선공개'''}}}}}}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2'''}}}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4:05'''}}}}}}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선공개'''}}}}}}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곡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정갈함이다.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반복, 스트레이트하게 흐름이 전개된다. 하지만 곡의 곳곳에 담겨 있는 디테일이 곡이 스토리를 확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빠른 템포와 폭발하는 고음 없이도 역동적으로 흘러간다. 정갈함 속에서 역동성을 이끌어 낼 만큼 이들의 음악이 성숙해졌다는 반증이다. 따뜻하게 마음을 이끄는 도입부의 LP 노이즈, 가성을 활용한 감정의 절제, 기차 기적 소리 삽입, 슬라이드 주법으로 연주한 기타 솔로 등 ‘Train' 한 곡에서 여러 세심한 고민들을 캐치할 수 있다.

가사 역시 ‘스스로’와 ‘성숙’을 이야기하기 충분하다. 집으로 돌아가는 기차를 모티브로 만들었다는 ‘Train'의 가사들은 많은 단어를 쓰지 않았음에도 의미심장함이 전달된다. 자신들이 바라보고 나아가야 할 방향이 어디인지를 ’이제껏 달려왔던 시간들‘을 통해 깨닫고 바로잡아 가는 과정을 담은 것으로 보인다. ’견딜 수 없었던 헤어짐‘, ’날 향해 찢겨진 부서진 sound'는 가사의 주인공이 버즈 본인들임을 짐작케 하며, ‘날 위한 순간 날 위한 delight'는 이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음악을 만들고 만끽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문장이 직접적이지 않지만 자신들의 새로운 여정이 어디로 어떻게 가고 있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 가사 보기 ]
----
Train oh train

3.2.1. 뮤직 비디오

Train
MV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0 -10px -5px; min-width: 50%; min-height: 27px"
{{{#!folding [ TEASER ]
{{{#!wiki style="margin: -5px -1px 0px"
}}}}}}}}}

3.3. 안녕

안녕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3'''}}}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3:12'''}}}}}}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TITLE'''}}}}}}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3'''}}}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3:12'''}}}}}}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TITLE'''}}}}}}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더블 타이틀로 정해진 '안녕'은 댄서블한 사운드와 사운드를 감싸는 일렉 사운드가 특징적이다. 현재 글로벌 록씬의 트렌드인 일렉트로닉과 결합된 흥겨운 록사운드를 버즈의 색을 담아 재해석했다.

[ 가사 보기 ]
----
다시 노래 부르는 이 밤

3.4. 나무

나무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4'''}}}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3:39'''}}}}}}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TITLE'''}}}}}}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4'''}}}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3:39'''}}}}}}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TITLE'''}}}}}}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타이틀곡으로 낙점된 '나무'는 대표적인 발라드 트랙이다. 건반 베이스에 현악이 은은하게 얹혀 있으며 슬픔을 억누르듯 던져내는 민경훈의 보컬이 두드러진다. 드라마틱하게 고조되는 곡의 후반부에서는 버즈 특유의 센티멘탈리즘을 경험할 수 있다.

[ 가사 보기 ]
----
왜 자꾸 그래

3.4.1. 뮤직 비디오

나무
MV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0 -10px -5px; min-width: 50%; min-height: 27px"
{{{#!folding [ TEASER ]
{{{#!wiki style="margin: -5px -1px 0px"
}}}}}}}}}

3.5. Good Day

Good Day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5'''}}}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2:46'''}}}}}}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5'''}}}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2:46'''}}}}}}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외국곡에 가사를 더한 'Good Day'는 가볍고 친근한 접근이 인상적이다. 특히 예전 자신들의 히트곡 제목들을 가사 안에 담아 완성한 부분에서는 버즈 멤버들의 재기와 장난기를 엿볼 수 있다. '겁쟁이', '가시', '남자를 몰라', '사랑 뒤의 사랑'이 가사에 녹아 있다.

[ 가사 보기 ]
----
wake up 난 겁쟁이라고

3.6. 그대여

그대여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6'''}}}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4:37'''}}}}}}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6'''}}}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4:37'''}}}}}}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반대로 '그대여'는 버즈표 발라드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곡이다. 고맙고 여린 엄마의 모습을 진지하게 그리고 있으며, 오케스트레이션과 함께 폭발하는 후반부의 사운드에서는 강렬하고 세련된 록발라드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 가사 보기 ]
----
사진 속 엣 되었던

3.7. 그림자

그림자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7'''}}}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4:35'''}}}}}}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7'''}}}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4:35'''}}}}}}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그림자'에서는 한층 강렬해진 버즈를 만날 수 있다. 강력한 사운드와 창법은 물론, 날 선 가사에서도 버즈의 거칠고 날카로운 감정선이 살아있다. '다 감싸도 소용없이. 모두 알아 위선자. 너는 그림자. You lost control'과 같은 가사는 심히 직접적이고 공격적이다.

[ 가사 보기 ]
----
날 짓이겨 밟고 지나

3.8. 8년만의 여름

8년만의 여름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8'''}}}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3:46'''}}}}}}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선공개'''}}}}}}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8'''}}}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3:46'''}}}}}}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선공개'''}}}}}}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너무 오랜만에 발표하는 곡, 어떤 곡을 선택할지 그 고민이 오죽했을까? 이미 앨범에 담을 여러 곡을 작업해 둔 이들은 기획이 아닌 선택의 과정을 통해 첫 번째 싱글을 발표했다. 8월 무더위에 선보이는 이들의 재결합 첫 싱글은 ‘8년 만의 여름’. 2005년 히트했던 ‘나에게로 떠나는 여행’을 연상케 하는 밝고 흥겨운 댄서블 록 넘버다. 민경훈 특유의 음색이 추억을 돋우며 날카롭게 질주하는 기타와 두터운 사운드에서 음악적 성장을 엿볼 수 있다. 코러스를 통해 만날 수 있는 멤버들의 목소리는 친근함을 안긴다. 재회의 기쁨을 만끽하게 하는 여름 찬가라 할 수 있다.

가벼운 비치송으로 느껴지는 가사지만 가사 곳곳에서 버즈 본인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구겨진 사진 조각난 My dream’, ‘우리 함께 Sing along one more time’, ‘We can make everytime’ 등 반복되는 가사 속에서 다시 꿈을 만들어가는 버즈의 바람과 의지를 엿볼 수 있다.


[ 가사 보기 ]
----
피할 순 없어 다시 또 Monday

3.8.1. 뮤직 비디오

8년만의 여름
MV

3.9. 너는 나의 꽃이야

너는 나의 꽃이야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09'''}}}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3:37'''}}}}}}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09'''}}}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3:37'''}}}}}}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너는 나의 꽃이야' 역시 버즈 특유의 매력이 십분 발휘 된 발라드 곡이다. 특히 이 곡은 히트곡 '겁쟁이'를 만들어 낸 최갑원이 작사에 참여했다. 거부감 없는 곡 전개와 사랑을 주제로한 가사가 대중적이다.

[ 가사 보기 ]
----
넌 니가 왜 좋은지 물어

3.9.1. 콜라보 뮤직 비디오

너는 나의 꽃이야
Collabo MV
[1]
[navertv(599846)]

3.10. 나무 (Original Ver.)

나무 (Original Ver.)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1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3:41'''}}}}}}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1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3:41'''}}}}}}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관심을 끄는 건 10번 트랙에 수록되어 있는 '나무'의 오리지널 버전. 어쿠스틱 기타가 주도하는 오리지널 곡은 사운드의 두께를 줄이고 민경훈의 섬세한 감성과 현악의 슬픔을 강조했다. 같은 멜로디의 다른 느낌을 비교해서 들어볼 수 있으며, 버즈의 절제된 감성이 또한 매력적이다.

[ 가사 보기 ]
----
왜 자꾸 그래

3.11. Star

Star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dark-style="color: #000"
'''11'''}}}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dark-style="color: #fff"
'''5:03'''}}}}}}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dark-style="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color: #000"
''''''}}}}}}
#!if 글자색_다크 == null && 배경색_다크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fff 41.5%, transparent 0%); font-size: 0.65em; letter-spacing: -0.3px"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003da6"
'''11'''}}}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fff"
'''5:03'''}}}}}} {{{#!if 정보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if 정보2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15px; border: 1px solid #fff; font-size: 0.65em; background: #fff; letter-spacing: -0.3px; color: #003da6"
''''''}}}}}}


'Star'에서는 '그림자'의 공격성과 반대되는 감성적인 록사운드가 표현되어 있다. 좌절과 성찰을 내면적인 고민으로 풀어내고 있으며, 크랜베리스(The Cranberris)를 연상시키는 이색 창법과 희망적인 곡 전개가 특징이다.

[ 가사 보기 ]
----
음 길 잃은 어린새

4. 앨범 사양

<colbgcolor=#003da6,#003da6><colcolor=#fff> Memorize
파일:Memorize.jpg
가격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6,500 ₩13,400 19%(개당)
구성 - CD-R

5. 평가

파일:Rate Your Music 로고.svg Rate Your Music
2.40 / 5.00

파일:mb_logo1.png Musicboard
(Musicboard Top250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6. 앨범 콘셉트 티저

6.1. 이미지

Concept Photo #1
[ 단체 ]
파일:버즈 프로필-3.jpg
Concept Photo #2
[ 단체 ]
파일:버즈 4집 컨셉포토.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개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김예준 윤우현
파일:버즈 4집 컨셉포토_예준.jpg 파일:버즈 4집 컨셉포토_우현.jpg

신준기 손성희
파일:버즈 4집 컨셉포토_준기.jpg 파일:버즈 4집 컨셉포토_성희.jpg

민경훈 파일:버즈 로고 블랙.svg파일:버즈 로고.svg
파일:버즈 4집 컨셉포토_경훈.jpg
}}}}}}}}} ||

7. 활동

7.1. 음악 방송

Memorize
음악 방송
<rowcolor=#fff>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링크
<bgcolor=#003da6,#003da6> 2014년
11. 29. [[MBC TV|
파일:MBC 로고(2012-2023).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
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09~2015).jp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1. 30.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2.jp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2. 02. 파일:SBS MTV 로고.svg파일:SBS MTV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더 쇼 로고.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2. 05.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파일:뮤직뱅크 로고(2010~2015).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09. 파일:SBS MTV 로고.svg파일:SBS MTV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더 쇼 로고.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7.2. TV 방송

<rowcolor=#fff>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출연 링크
<bgcolor=#003da6,#003da6> 2014년
11. 29. 파일:K STAR.png 식신로드 신준기, 손성희, 민경훈
12. 19.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나는 남자다 민경훈
12. 29.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bgcolor=#003da6,#003da6> 2015년
01. 02.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유희열의 스케치북 전원
01. 04. [[JTBC|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JTBC
]]
백인백곡 - 끝까지 간다 민경훈
01. 11.

7.3. 라디오

<rowcolor=#fff>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출연 링크
<bgcolor=#003da6,#003da6> 2014년
12. 01. 파일:SBS 파워FM 로고.svg 김창열의 올드스쿨 전원
12. 02. 최화정의 파워타임
12. 04. 두시탈출 컬투쇼
12. 07. 파일:KBS CoolFM 로고.svg 사랑하기 좋은날 이금희입니다
12. 11.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Super K-POP
12. 12. 파일:MBC FM4U 로고.png 정오의 희망곡
써니의 FM데이트
12. 14. 파일:KBS CoolFM 로고.svg 사랑하기 좋은날 이금희입니다
12. 21.
12. 28.
<bgcolor=#003da6,#003da6> 2015년
02. 28.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김필원의 12시에 만납시다 전원

8. 여담

  • 2015년 11월 3일, 정오의 희망곡에 출연하여 멤버들은 4집 앨범에 대한 평가를 남겼다. 이 과정에서 "나무는 뿌리째 뽑히고 기차는 떠났다"라는 다소 웃픈 발언이 언급되었다.


[1] 음악영화 '재키 앤 라이언'과 콜라보를 통해 새로운 뮤직비디오로 재탄생됐다. 버즈 멤버들은 자신들의 곡과 인연을 맺은 이 영화에 대해 "올 가을 여러분들의 가슴을 설레게 만들어 줄 최고의 감성 음악 영화입니다. 특히 영화 속 주인공들이 실제 연주하고 부르는 음악이 너무 좋아서 저희 버즈도 참 많이 기대됩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