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0:25:20

그대 어이가리

그대 어이가리 (2023)
A Song for My Dear
파일:그대 어이가리 포스터.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드라마, 가족
감독 이창열[A]
각본
제작
주연 선동혁, 정아미, 김유미, 장태훈
촬영 김정호
음악 이수홍, 이건희
제작사 영화사 순수
배급사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4월(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3월 8일
상영 시간 120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9,147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10. 수상11. 기타

1. 개요

대한민국의 2023년 영화. 감독은 이창열[A]이고, 선동혁, 정아미, 김유미, 장태훈 등이 출연했다.

중.소규모의 국제영화제에서 51관왕 수상을 하며 독립장편영화의 최다수상기록을 남겼다.

2022년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섹션에서 상영했다.

2. 포스터

3. 예고편

<nopad>
티저 예고편
<nopad>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30년 넘게 남편 ‘동혁’과 가족들을 위해 살아온 아내 ‘연희’.
국악인으로 전국을 떠돌던 ‘동혁’은
아내의 부탁에 고향에 정착하기로 한다.

행복한 전원 생활도 잠시,
‘동혁’은 ‘연희’의 행동이 이상하다는 걸 깨닫는다.

“나한테는 당신 밖에 없잖아. 약속해줘”

평범한 일상이 무너지고,
‘동혁’은 모든 것이 자신의 탓만 같은데…
출처: 네이버 영화

5. 등장인물

  • 선동혁[1인2역] - 동혁 역
    본업은 국악인이고, 대학에서 강의도 뛰었다. 노 여사라고 부르는 30년 넘게 같이 살아온 아내가 고향으로 가자고 해서 고향에 정착했는데, 어느 날 그녀의 행동이 뭔가 이상해졌다.
  • 정아미 - 연희 역
    남편이 노 여사라고 부른다. 남편을 졸라서 고향으로 가자고 해서 갔는데, 행동이 이상해졌다. 늘 예쁘게 살다 죽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못하게 될 것 같아서 불안하다.
  • 장태훈 - 태훈 역
    수경의 아내이고, 동혁의 사위.
  • 민경진 - 광재 역
    동혁의 어렸을 적 불알친구.
  • 박종진 - 박 선생 역
    동혁의 국악계의 후배.
  • 이승철 - 태식 역
    연희의 고향 후배.
  • 선동혁[1인2역] - 종렬 역
    동혁의 어린 시절, 장례식장에서 구음을 하는 사람.
  • 강주상(우정출연) - 시골병원 원장 역
    고향에서 연희의 행동이 이상해서 가본 병원의 원장. 동혁 부부에게 병에 대한 어려운 이야기를 꺼낼 때, 팩소주를 물병에 넣은 것을 마신 뒤 술기운으로 이야기한 것이 인상적.
  • 이주은(우정출연) - 미친 여자 역
    동혁의 어렸을 적의 장례식 장면에서 잠시 지나가다가 동네 아낙네한테 혼나는 장면에 출연했다.
  • 박정우(특별출연) - 요양병원 원장 역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 영화에는 선동혁이 직접 구음한 남도 민요, 만가, 흥타령, 육자배기, 씻김굿 소리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 특히 아내와 헤어지는 장면에서 부른 소리는 진도 씻김굿의 '제보살'이라고 한다. 씻김굿이 천도(薦度)를 목적으로 불리웠던 것이기에 이 장면에서 이 소리를 삽입한 것으로 보인다. 선동혁은 영화 촬영하기 전에 과거 인간문화재 박병천으로부터 사사한 바 있는데, 마침 이 영화에서 실력 발휘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8. 평가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ffffff,#fff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합계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5]

10. 수상

  • 제5회 벤쿠버국제 독립영화제 장편 최우수 작품상
  • 제2회 할리우드 국제골든어워즈 장편 최우수 작품상
  • 제5회 칸국제시네마페스티벌 남우주연상(선동혁)
  • 제19회 어콜레이드세계영화콩쿠르 메리트필름피처상
  • 제50회 남부영화예술아카데미영화제
    •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감독상(이창열)
    • 최우수 각본상(이창열)
    • 최우수 독립영화상
    • 남우주연상(선동혁)
    • 촬영상(김정호.이석환)
  • 제3회 캔자스아트하우스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 42회 파이브콘티넨츠국제영화제
    •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독립영화상
    • 최우수 각본상(이창열)
    • 최우수 촬영상(김정호.이석환)
    • 의상상(이유숙)
    • 최우수 남우주연상(선동혁)
    • 최우수 여우주연상(정아미)
    • 사운드 디자인상(이승철)
    • 감독상(이창열)
    • 최우수 팀퍼포먼스상(임준형.정선희)
    • 최우수 포스터상
  • 제13회 포트블레어국제영화제 최우수국제장편영화상
  • 제17회 베스트이스탄불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 제8회 블랙스완국제영화제 서사장편영화상
  • 제29회 마운틴뷰국제영화제 서사장편영화상
  • 제14회 오스틴국제영화제 작품상
  • 제49회 컬트비평가어워드 장편영화상
  • 제26회 월드필름카니발싱가포르 비평가초이스상
  • 제50회 버진스프링 시네메이트 장편영화상
  • 제9회 노디아국제영화제 최우수각본상(이창열)
  • 제29회 타고르국제영화제 우수장편영화제
  • 제2회 런던뉴웨이브필름페스티벌
    • 최우수서사장편상
    • 남우주연상(선동혁)
  • 제30회 두루쿠국제영화제 장편비평가초이스상
  • 제11회 뉴욕독립영화제 남우주연상(선동혁)
  • 제14회 강톡국제영화제 비평가초이스상
  • 제5회 캐나다독립영화제 최우수아시아장편영화상
  • 제39회 루이스뷰뉴엘영화제 장편영화 탁월한 성과상
  • 제7회 자르살라메국제영화제 특별공로상
  • 제2회코름폴리탄도쿄국제영화제 장편영화상
  • 제22회 갠지스국제영화제 장편영화상
  • 제11회 리치몬드국제영화제
  • 제14회 내쉬빌독립영화제 최우수장편영화상
  • 제6회 캘커터국제컬트영화제 우수장편영화상
  • 제17회 토로토영화및각본상어워즈 최우수장편영화상
  • 제20회 LA인디영화제 최우수장편영화상
  • 제6회 샌디에고예술영화제 최우수장편영화상
  • 2023년 제43회 황금촬영상 촬영상-동상(김정호)

11. 기타



[A] 트릭의 감독이다.[A] [1인2역] [1인2역] [5] ~ 20XX/XX/XX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