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고기(송곳니고기) common fangtooth | |
| |
학명 | Anoplogaster cornuta Valenciennes, 1833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조기어강 Actinopterygii |
목 | 납작금눈돔목 Trachichthyformes |
과 | 귀신고기과 Anoplogastridae |
속 | 귀신고기속 Anoplogaster |
종 | 귀신고기 A.cornuta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서 발견되는 심해 어류. 2~5,000m 깊이에서 발견되며 성체는 보통 500~5,000m 깊이에서 유생은 보통 표면에서 발견된다.2. 상세
몸길이는 최대 18cm이다. 성체는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이며 머리는 매우 크고 뼈가 정교하게 조각되었지만 가시가 없다. 눈은 작고 아가미 갈퀴에는 뼈로 된 기부가 있고 몸은 머리 바로 뒤에서 가장 깊고 꼬리자루로 빠르게 가늘어진다. 입은 날카로운 송곳니로 잘 무장되어 있고 피부는 거칠다. 등지느러미에는 가시가 없고 17~20개의 연조직이 있으며 뒷지느러미에는 가시가 없고 7~9개의 연조직이 있다. 옆줄은 열린 홈 형태를 띄고 있고 겹쳐진 비늘로 곳곳이 연결되어 있다. 대부분의 심해어와 달리 부레가 있다.어린 물고기가 성체와 매우 다르게 생겨 한동안 다른 종으로 여겨진 적도 있다. 1833년 프랑스 동물학자 아킬 발랑시엔이 처음 이 종을 명명하고 50년 후에 이 종의 성체가 발견되었을 때 카우롤레피스 롱기덴스(Caulolepis longidens)로 기술했다. 1955년이 되어서야 이 두 종이 같은 종이라는 게 밝혀졌다. 어린 물고기는 색깔이 훨씬 옅고 횡단면이 다소 삼각형 모양이다. 머리에 긴 가시가 여러 개 있고 눈이 크고 아가미 갈퀴는 가늘고 뾰족하지만 이빨은 작고 송곳니가 없다. 피부는 대부분 색소가 없는 비늘로 덮여 있지만 배에는 어두운 색의 컵 모양 비늘로 형성된 검은색 패치가 있다. 성체가 되면 검은색 비늘이 아직 색소가 없는 피부를 덮어서 더 어두워진다.
육식성으로 다른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를 잡아먹는다. 천적은 참다랑어, 청새치, 날개다랑어 등 대형 어류다. 뗴를 지어 다니며 작은 무리로 발견되지만 종종 단독으로 있기도 한다. 북아메리카 서해안에서는 여름에 번식하며 알을 낳아 번식하고 유생은 플랑크톤 형태다. 이석을 조사한 결과 수명은 3년 이상이다.
눈의 멜라닌 색소가 과립에 빽빽이 들어차 있고 과립은 진피 전체를 거의 덮는 멜라노포로 그룹화되며 이는 들어오는 빛을 거의 모두 흡수하고 옆으로 산란되는 나머지 빛은 인접한 과립에 흡수된다. 전체적으로 빛 흡수율은 99.5%로 생물 발광을 통해 스스로 빛을 만들어 내는 포식자의 눈에 띄지 않으며 자연 상태에서 사진을 찍기는 매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