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식물기관에서 관다발의 형태와 기능을 갖는 세포 조직이 있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관다발식물에는 양치식물, 종자식물(겉시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뉜다)등이 있다. 한편 관다발식물 중에서도 특히 꽃을 개화할 수 있는 기능과 형태를 갖춘 식물을 현화식물이라고 부른다.2. 목록
2.1. 석송문
2.2. 양치식물문
문 | 강 | 목 |
양치식물문(Pteridophyta) | 용비늘고사리강(Marattiopsida) | 용비늘고사리목 |
속새강(Equisetopsida) | 속새목 • 속새과 - 쇠뜨기 | |
솔잎란강(Psilotopsida) | 고사리삼목 | |
솔잎란목 • 솔잎란과 - 솔잎란 | ||
고사리강(Pteropsida) | 고비목 • 고비과 - 고비 | |
처녀이끼목 | ||
풀고사리목 | ||
실고사리목 | ||
생이가래목 | ||
나무고사리목 | ||
고사리목 • 고란초과 - 석위 • 고사리과 - 고사리 |
2.3. 소철문(Cycadophyta)
- 소철목
- 소철과
2.4. 은행나무문(Ginkgophyta)
- 은행나무강(Ginkgoopsida)
- 은행나무목
- 은행나무과
2.5. 구과식물문
문 | 강 | 목 |
구과식물문(Pinophyta) | 구과식물강(Pinopsida) | 구과목 • 소나무과 - 가문비나무·개잎갈나무·구상나무·소나무·솔송나무·일본잎갈나무·잣나무·전나무·종비나무·히말라야시다 • 나한송과 - 나한송 • 측백나무과 - 메타세콰이아·삼나무·율마·노간주나무·눈측백·세쿼이아·연필향나무·측백나무·편백나무·향나무 • 주목과 - 비자나무·주목 |
2.6. 마황문
문 | 강 | 목 |
마황문(Gnetophyta) | 마황강(Gnetophyta) | 네타목 • 네타과 - 네타 |
웰위치아목 • 웰위치아과 - 웰위치아 미라빌리스 | ||
마황목 • 마황과 - 마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