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5 14:35:49

고유진(축구선수)

1 성서울서라벌 · 5 고유진 · 6 문하연 · 7 이소희 · 8 장창(C) · 9 서지연 · 10 최지나 · 11 김소은
13 김성미 · 14 오연희 · 16 박예은 · 17 정유진 · 18 김정미 · 19 윤혜인 · 20 임희은 · 21 김명진 · 22 이덕주
23 최유리 · 26 임선주 · 27 남궁예지 · 28 김민서 · 29 강예진 · 30 박아현 · 32 토리 · 33 김민정 · 39 하루히 · 46 배예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정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민성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고유진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우승
2023
}}} ||
파일:고유진_현대제철_2025.png
<colbgcolor=#ca001a>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No. 5
<colcolor=#ffffff> 고유진
高瑜珍 | Ko Yoo-Jin
출생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0cm, 62kg
포지션 수비수
학력 심원초등학교 (졸업)
현대청운중학교 (졸업)
현대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학사)[1]
소속 구단 화천 KSPO (2020~2022)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023~ )
국가대표 2경기 (대한민국 / 2025~ )[2]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기록4. 둘러보기

1. 개요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소속 대한민국의 여자 축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2.1.1. 아마추어 시절

경기 심원초에서 공을 차기 시작해 서울 오주중에 진학했다. 지금은 중앙수비수지만 당시에는 공격수가 주 포지션이였다. 3학년이던 2012년 등번호 10번을 달고 팀의 춘계연맹전 우승을 이끌고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고 여왕기 때는 9골을 기록하며 대회 득점상을 수상했다.

울산현대고로 진학해서도 공격수와 미드필더로 주로 활약했고 3학년이던 2015년 역시 등번호 10번을 달고 팀의 춘계연맹전 우승을 이끌어 대회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이때 활약으로 2016년 대학여자축구 최강인 고려대에 진학한다.

고려대에 진학해서도 1학년 때부터 팀내 최다출장을 기록할 정도로 비중이 높은 선수였다. 그러던 중 2016 전국체전 때 팀 사정상 중앙수비수를 볼 선수가 부족해지자 감독의 권유로 중앙수비로 포지션을 바꿨다. 중앙수비로 포지션을 바꾼 다음에도 팀내에서 부동의 주전으로 활약했다.

특히 4학년이던 2019년에는 중앙수비수임에도 등번호 10번을 달고 팀의 춘계연맹전, 여왕기 우승을 이끌어 두 대회에서 모두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세트피스에서는 놀라운 득점력을 보여 총 8골을 기록했다. 이중 직접 프리킥 득점이 5골, 페널티킥이 1골, 코너킥 상황에서 헤더가 2골이었다. #

시즌을 마치고 2020 WK리그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화천KSPO에 지명 받았다.

2.1.2. 화천 KSPO

2020 시즌 신인인데도 입단하자마자 주전 중앙 수비수로 자리 잡았다. 베테랑 황보람의 파트너로 활약하는 경우가 잦았다. 2021 시즌에도 주전 중앙 수비수로 활약했다. 2022 시즌에도 주전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화천에서 최다출전 2위를 기록했다.

2.1.3.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023 시즌을 앞두고 FA자격을 얻어 인천현대제철로 이적했다.
이적 이후에도 꾸준히 주전 수비수로 활약 중이며 2025년 5월 WK리그 통산 100경기 출전을 달성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2.2.1.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U-12 대표팀부터 꾸준히 청소년 대표에 발탁됐다. 2015 AFC U-19 챔피언십에서 팀의 3위 등극에 기여했고 이듬해 2016 FIFA U-20 월드컵 최종 명단에도 포함되어 베네수엘라전과 독일전에서 주전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2.2.2.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22년 4월 9일 베트남과의 친선 경기를 앞두고 처음으로 국가대표팀에 뽑혔다.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르지는 못했고 파주에서 비공개로 치러진 연습경기에만 출전했다. 콜린벨호에서는 대표팀에 더 뽑히지 못했다.

신상우 감독 체제에서 2025년 3월 호주 원정 명단에 포함되며 3년만에 A대표팀에 복귀했다. 호주 원정 2연전 중 2차전에 교체 출전하며 A매치에 데뷔했고 그 경기에서 후반 프리킥 상황에서 헤더로 골망을 갈랐지만 오프사이드가 선언되어 데뷔골을 기록하지는 못했다.
이후 콜롬비아와의 친선경기 1차전에 선발 출전했고 E-1 챔피언십 3경기에도 모두 풀타임 활약하며 대표팀의 새로운 주전 중앙 수비수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3. 수상 기록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DCFF 2%, #0B090C 2%, #0B090C 4%, #e6002d 4%, #e6002d 96%, #0B090C 96%, #0B090C 98%, #00DCFF 9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득점 소속 구단
<colbgcolor=#0b090c> GK 21 김민정
(Kim Min-jung)
1996년 9월 12일 ([age(1996-09-12)]세) 14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18 류지수
(Ryu Ji-su)
1997년 9월 3일 ([age(1997-09-03)]세) 2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세종 스포츠토토
1 우서빈
(Woo Seo-bin)
2004년 4월 13일 ([age(2004-04-13)]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시청 WFC
DF 5 고유진
(Ko Yoo-jin)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2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3 구채현
(Koo Chae-hyeon)
2000년 11월 26일 ([age(2000-11-26)]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창녕 WFC
12 김미연
(Kim Mi-yeon)
1995년 3월 21일 ([age(1995-03-21)]세) 1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시청 WFC
13 김유리
(Kim Yu-ri)
2002년 6월 1일 ([age(2002-06-01)]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화천 KSPO
20 김혜리
(Kim Hye-ri)
1990년 6월 25일 ([age(1990-06-25)]세) 133 1 파일:중국 국기.svg 우한 처구 장다
2 맹다희
(Maeng Da-hee)
1997년 4월 8일 ([age(1997-04-08)]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화천 KSPO
25 이민화
(Lee Min-hwa)
1999년 10월 29일 ([age(1999-10-29)]세) 1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화천 KSPO
16 장슬기
(Jang Sel-gi)
1994년 5월 31일 ([age(1994-05-31)]세) 105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주 한수원 WFC
22 추효주
(Choo Hyo-joo)
2000년 7월 9일 ([age(2000-07-09)]세) 55 6 파일:캐나다 국기.svg 오타와 라피드 FC
MF 23 강채림
(Kang Chae-rim)
1998년 3월 23일 ([age(1998-03-23)]세) 39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FC 위민
26 김민지
(Kim Min-ji)
2003년 8월 21일 ([age(2003-08-21)]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시청 WFC
8 김신지
(Kim Shin-ji)
2004년 5월 3일 ([age(2004-05-03)]세) 8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위민
4 노진영
(Noh Jin-young)
2000년 6월 3일 ([age(2000-06-03)]세) 3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경 상무
9 문은주
(Mun Eun-ju)
2000년 9월 1일 ([age(2000-09-01)]세) 10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화천 KSPO
7 이금민 파일:주장 아이콘.svg
(Lee Geum-min)
1994년 4월 7일 ([age(1994-04-07)]세) 96 2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버밍엄 시티 WFC
24 이은영
(Lee Eun-young)
2002년 3월 31일 ([age(2002-03-31)]세) 20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창녕 WFC
14 정민영
(Jung Min-young)
2000년 9월 28일 ([age(2000-09-28)]세) 1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시청 WFC
10 지소연
(Ji So-yun)
1991년 2월 21일 ([age(1991-02-21)]세) 166 72 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레인 FC
11 현슬기
(Hyun Seul-gi)
2001년 1월 28일 ([age(2001-01-28)]세) 2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주 한수원 WFC
FW 15 전유경
(Jeon Yu-gyeong)
2004년 1월 20일 ([age(2004-01-20)]세) 1 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몰데 FK 위민
19 정다빈
(Jeong Da-bin)
2005년 9월 5일 ([age(2005-09-05)]세) 5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려대학교
6 케이시 유진 페어
(Casey Yujin Phair)
2007년 6월 29일 ([age(2007-06-29)]세) 15 4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 시티 FC
일정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5년 7월 9일(수)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2025년 7월 13일(일) 원정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2025년 7월 16일(수)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대만
출처: 대한축구협회
2025년 7월 7일 기준
}}}}}}}}} ||



[1] 국제스포츠학부 16학번[2] 2025년 6월 2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