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000><table bordercolor=#000> 파일:NASA 로고.svg | NASA 산하 시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에임스 연구 센터 (ARC) | 암스트롱 비행 연구 센터 (AFRC) | 글렌 연구 센터 (GRC) |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GSFC) | 제트추진연구소 (JPL) |
| <rowcolor=#fff> 존슨 우주 센터 (JSC) | 케네디 우주센터 (KSC) | 랭글 연구 센터 (LaRC) | 마셜 우주 비행 센터 (MSFC) | 스테니스 우주 센터 (SSC) |
|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Goddard Space Flight Center | ||
| | ||
| 설립 | 1959년 5월 1일 | |
| 소재 | 메릴랜드주 Goddard | |
| 디렉터 | Makenzie Lystrup | |
| 웹사이트 | ||
| 위치 | ||
1. 개요
Goddard Space Flight Center (GSFC)는 NASA의 주요 우주 연구소이다. 이 연구소는 1959년 5월 1일에 설립된 최초의 우주 센터이다. 약 1만명의 공무원 및 관련 민간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의 수도 근방(메릴랜드주 그린벨트)에 위치하고 있다. 공학자와 과학자의 대략적인 구성비는 6:4정도로, 상당히 많은 숫자의 기상, 천문, 기타 지구과학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많은 수의 한인 과학자들이 박사 후 연구원 자격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2. 설명
잘 알려진 캘리포니아 칼텍의 JPL과 경쟁관계이며, GSFC는 SOHO 등 지구 궤도권에서 지구 궤도권 내에서의 근지구 과학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지구 관측 프로젝트와 관측소들을 맡고, 화성 탐사 등 심우주 탐사 임무 같은 태양계 내외 탐사 프로젝트는 제트추진연구소에서 관리한다. 서로 연방정부 예산을 따내기 위하여 경쟁하는 관계이다.한편, 여러 유용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배포하고 있기도 하다. 우주개발 소프트웨어의 상업화 측면에서 AGI[1]가 정점에 있다면, 우주 임무 소프트웨어의 무료 배포 및 전파에는 NASA/GSFC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NASA의 구조적 특성 상, 오픈소스 개발이 아니면 국제 협력이 불가능하고, 국제 협력 없이 자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특성에 기인한다.
2.1. 수행한 임무
2.2. 여담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의 타이베리움 사가 3편인 커맨드 앤 컨커 3 타이베리움 워에서 나오지만, 여기에서는 지구에 타이베리움이라는 자가복제 동적 양성자 결정이 떨어지는 바람에 지구가 1990년대부터 난리가 나 우주 탐사보다는 방위 기구의 역할을 담당한다. 타이베리움 피해로부터 회복된 블루 존에 거점을 둔 국제방위기구의 A-SAT Defense System이라는 국제방위기구의 이온 캐논, 신의 지팡이, 드랍 포드, 미사일 방어 플랫폼 같은 우주 자산 운용을 담당하는 곳으로 나온다.
그러나 2차 타이베리움 전쟁과 파이어스톰 크라이시스 이후 타이베리움 확산에 적극적인 Nod 형제단이 쇠퇴했다고 생각해 군비 절감을 위해서 북동부 A-SAT 방어 시스템을 전부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한 곳에 몰아넣고 운용해버리는 바람에 숨어지내다 궐기한 Nod 형제단의 최우선 공격 목표가 돼 3차 타이베리움 전쟁의 시작점이 됐다. 이곳이 파괴된 후에 타이베리움 추가 박멸을 위한 정상회담이 진행 중인 국제방위기구의 궤도 사령부 필라델피아를 Nod 형제단이 핵미사일을 쏴서 격추시켜 대혼란과 함께 제 3차 타이베리움 전쟁이 시작된다.
[1] Analytical Graphics Inc. STK와 ODTK를 각국에 판매하면서 돈을 쓸어 담고 있다. 다만, 주 고객은 미국 국방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