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사
結局- 일이 귀결되는 마당.
- 어떤 형편이나 국면을 완전히 갖춤.
2. 부사
인과 관계의 결과로서 이미 특정한 사건이 발생했음을 암시한다.- 결과에 이르러, 마침내, 이내
- 따지고 보면, 어쨌든, 정리하자면
중세 한국어 및 근대 한국어에서는 전자의 의미로 '드디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현대 한국어에서 '드디어'는 오랜 기다림이나 기대 끝에 특정한 사건이 발생했다는 어감으로 사용되는 반면, '결국'은 그런 함의가 없거나 '좋든 싫든,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예측대로 어떤 일이 일어났음'을 주로 전제한다.
3. 찌라시 언론에서의 용법
2011년 이래로 각종 가십성 인터넷 뉴스에서 기자들이 자주 써먹는 표현이 되었다. 문제는 이 단어의 본래 용법대로 어떤 원인에 따른 결과를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게 아니라 기사 내용과 정반대되는 내용을 제목에 써놓거나, 혹은 제목과 전혀 상관없는 일종의 제목낚시 용법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다.유사어로 그만, 끝내, 마침내 등등이 있다.
제목: 연예인 XXX, OOO하더니 결국...
그리고 내용은 정 반대 혹은 무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네티즌들의 기자에 대한 인식을 점점 더 안 좋게 만드는 신종 개드립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여기서도 백문이불여일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