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15:29:35

에서 넘어옴
수나라 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일본어 음독
ズイ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suí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

1. 개요

隋는 '수나라 수'라는 한자로, 중국의 통일 왕조인 수(隋)나라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68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中大一月(NLKMB)로 입력한다.

원래 춘추전국시대의 소국 '수나라'의 이름에는 (따를 수)를 썼고 수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도 황제가 되기 전까지는 북주에서 수왕(隨王)의 작위에 있었다. 그러나 선양을 받고 제위에 오를 때 隨 자에 있는 (쉬엄쉬엄 갈 착)이 나라를 불안정하게 한다고 꺼려 辵을 뗀 隋를 새롭게 국명으로 삼았다.

수문제가 고치기 전의 원래의 隋는 '떨어질 타', '제사 지내고 남은 고기 휴·수'로 쓰였는데, 뜻을 나타내는 (고기 육)과 소리를 나타내는 (무너진 성 휴)가 합쳐진 형성자였다. '떨어질 타'로서는 형부인 (흙 토)가 덧붙은 (떨어질 타)와 상통한다. 수문제가 고친 이후에는 통일제국 수나라를 뜻하는 용법만 남아 훈음도 '수나라 수'가 되었다.

속자로 工이 없는 陏가 있다. 이 한자를 구성 요소로 쓰는 한자 대부분이 이렇게 간략화되었다(-椭, -堕, -随, -髄). 단, 隋와 惰는 한중일 모두 工을 생략하지 않고, 髓의 경우 일본에서만 工을 빼고 쓴다.

3. 용례

3.1. 단어

3.2. 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