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2:34:44

부끄러울 수에서 넘어옴
부끄러울 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シュウ
일본어 훈독
すす-める, はじ, は-じる, はずかし-める
[1]
표준 중국어
xi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羞는 '부끄러울 수'라는 한자로, '부끄럽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F9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QNG(廿手弓土)로 입력한다.

(양 양)과 (또 우)가 합쳐진 회의자로, 본래 양고기를 손에 들고 권한다는 뜻이었는데, 는 훗날 의 모양으로 바뀌었고, 훈도 '부끄럽다'로 확장되어 본래의 의미를 밀어내고 널리 쓰이고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음식', '음식을 올리다'라는 훈으로도 사용되는데, '진수성찬'이라는 사자성어가 이 의미로 쓰인 대표적인 사례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4. 유의자

  • (부끄러울 거)
  • (부끄러울 괴)
  • (부끄러울 참)
  • (부끄러울 치)

5. 상대자

  • (떳떳할 상)
  • (떳떳할 용)
  • (떳떳할 이)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생선젓 자)
  • (다를 차)
  • (붙을 착)

[1] 羊의 세로획과 왼쪽 아래 삐침이 이어져 있고, 丑의 가운데 가로획이 ㄱ의 오른쪽을 관통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