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0 19:06:12

부릅떠볼 휴, 물이름 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미배정
특급
-
일본어 음독
キ, スイ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su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睢는 '부릅떠볼 휴' 또는 '물이름 수'라는 한자로, '부릅떠 보다' 또는 '물의 이름' 등을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눈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새 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76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UOG(月山人土)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방아 대)
  • 𤽼[⿰白隹](흴 락)
  • (꽁무니 수, 땅이름 주/추)
  • (누구 수)
  • (새한쌍 수)
  • (새 애)
  • 𪏌[⿰黃隹](빛날 요)[1]
  • (고기든술 유)
  • (미쳐내달릴 유)
  • (벼리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옥돌 유)
  • (원숭이 유)
  • (휘장/장막 유)
  • 𩜑[⿰𩙿隹](엿 이)[2]
  • (횃불 작)
  • (정할/찧을 정)
  • 𧚮[⿰衤隹](짧은옷 조)
  • (준할 준)
  • 𦩏[⿰舟隹](나루 진)[3]
  • 𪘮[⿰齒隹](악착할 착)[4]
  • 𪍇[⿰麥隹](볶은보리 초)
  • 𡹐[⿰山隹](높고클 최)
  • (늙은쥐 추)
  • (밀 추)
  • (복어 추)
  • (비둘기 추)
  • (송곳 추)
  • (쇠몽치/등골 추)
  • (푸르고흰얼룩말 추)
  • 𨲈[⿰镸隹](비슷할 출)
  • (어릴 치)
  • (높을 퇴)
  • 𨌴[⿰車隹](수레의성대한모양 퇴)
  • (쌓을 퇴)
  • 𩋘[⿰革隹](신 혜)[5]
  • (물이름 회)
  • 𧣽[⿰角隹](뿔송곳 휴)[6]
  • /(추할 휴)
  • 𣨫[⿰歹隹](아/추)
  • 㫿(유)
  • 𪟦[⿰男隹]
  • 𢜐[⿰心隹]
  • 𤙵[⿰牛隹]
  • 𦑏[⿰羽隹]
  • 𫄻[⿰缶隹]
  • 𬚟[⿰耳隹]
  • 𧳞[⿰豸隹]
  • 𲄦[⿰身隹]
  • 𱀜[⿰阜隹]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물이름 수, 노려볼 휴)
  • 𧾕[⿺走睢](머뭇거릴 자)[7]

[1] (빛날 요)의 동자[2] (엿 이)의 동자[3] (나루 진)의 고자[4] (악착할 착)의 동자[5] (신 혜)의 동자[6] 觿(뿔송곳 휴)의 동자[7] (머뭇거릴 자)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