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훈음의 한자 '炎'에 대한 내용은 炎 문서
, 같은 훈음의 한자 '焱'에 대한 내용은 焱 문서
, LiSA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炎(LiSA) 문서
참고하십시오. 焰 불꽃 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火,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미배정 | |||||||
焔 | |||||||
일본어 음독 | エン | ||||||
일본어 훈독 | ほのお, ほむら, も-える | ||||||
- | |||||||
표준 중국어 | y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焰은 '불꽃 염'이라는 한자로, '불꽃', '기세', '불'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130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NHX(火弓竹難)로 입력한다. 이체자로는 㷋이 있다.뜻을 나타내는 火(불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臽(함정 함)[1]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갑골문과 금문은 없고, 전서부터 나온 글자이다. 전서에서는 爓(火+閻), 혹은 燄(臽+炎) 등등의 다양한 이체자가 있었으나, 예서 때 焰 모양으로 정착했다.
炎(불꽃 염) 자와 훈과 한국한자음이 같지만 엄연히 다른 글자이다. 중고한어에서 炎은 云모에 평성, 焰 자는 以모에 거성이다. 따라서 표준중국어에서 炎 자는 yán으로, 焰은 yàn으로 읽는다. 두 글자는 쓰임새도 다른데, 炎은 주로 염증이나 더위를 나타내고, 불꽃을 뜻할 때는 주로 焰을 쓴다. 화염도 火焰으로 표기한다. 이 구분은 중국과 한국에서는 유효하지만, 일본에서는 '불꽃'을 나타내는 한자에도 炎을 써서 구분이 유의미하지 않다. 일본에서는 焰이 상용한자 범위 밖이기 때문. 예를 들어 '화염'은 일본어로 火炎으로 쓴다. 다만 한국에서도 간혹 더위나 염증이 아닌 불꽃을 표현하기 위해 炎을 쓰기도 한다(특히 창작물에서).
앞서 焰은 일본의 상용한자 범위 밖이라 하였으나 일본어 전산화 작업 도중 JIS(기본 일본어 문자 집합)에서 비공식적으로 焔(⿰火⿱⺈旧) 형태로 간략화하여 현대 일본에서도 간혹 사용될 때가 있다. 확장 신자체의 사례 중 하나이다. 일부 일본의 창작물에선 焔의 불꽃과 炎의 불꽃을 나란히 두고 焔이 더 상위의 존재 / 성장형인 것처럼 표현하기도 한다.
불꽃 말고도 기세의 뜻으로도 가끔 쓰이는데 대표적으로 기염을 토하다에서 기염(氣焰)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輡(가기 힘들 감)
- 埳/𡸞(구덩이 감)
- 惂(근심할 감)
- 䘓(선짓국 감)
- 𧯰(진할 감)
- 𪉦(짠맛 감)
- 掐(딸 겹)
- 𧚧(모자 겹)
- 啗(먹일 담)
- 𦁵(끈 도)
- 諂(아첨할 첨)
- 𤟅(개 짖는 소리 함)
- 𥓒(돌 이름 함)
- 餡(떡소 함)
- 䱤(물고기 이름 함)
- 陷(빠질 함)
- 錎(쇠사슬 함)
- 蜭(쐐기 함)
- 䐄(양이 차지 않을 함)
- 䶟(이를 갈 함)
- 淊(흙탕물 함)
- 㡊(모자 흡)
- 𤦆
- 𩤂
[1] 벽자(僻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