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3 19:49:28

거의 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キツ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汔은 '거의 흘'이라는 한자로, '거의'를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빌 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C5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EON(水人弓)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𣲁[⿰氵⿱⺊乙](U+23C81)

5. 유의자

  • (거의 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험할 개)
  • //𠄃[⿰⿱杳丂乞]/𠄄[⿰⿱沓丂乞]/𠄊[⿰⿳⿻十昍日丂乞]/𠄋[⿰⿳⿻工昍日丂乞](하늘/마를 건)
  • (발소리날 걸)
  • (잴 걸)
  • 𩨘[⿰骨乞](겨드랑이 격)
  • (돌 골)
  • (편편할 골)
  • (물고기이름 글)
  • 𢇓[⿰幾乞](위태로울 글)[1]
  • (기운 기)[2]
  • (성씨 기)
  • 𪐜[⿰黑乞](검을 안)[3]
  • 𤑓[⿰⿱炎㐭乞](불기운 약)
  • 𠚮[⿰刀乞](끊을 얼)
  • 𤣮[⿰⺩乞](높을 을/흘)
  • 𦨏[⿰舟乞](배움직일 을)
  • 𧆫[⿰虎乞](범모양 을)[4]
  • (흙더미우뚝할 을)
  • (졸라맬 홀)
  • (기뻐할 흘, 문지를 골)
  • (기쁠 흘, 싫어할 을)
  • (날랠 흘, 배흔들리는모양 올)
  • (말더듬을 흘)
  • (멍에 흘)
  • (몸흔들릴 흘)
  • /𥝖[⿰禾乞](무거리 흘)
  • (벼룩 흘)
  • (보리싸라기 흘)
  • (산우뚝할 흘)
  • (씹을/깨물 흘)
  • (이를 흘)
  • (질낮은실 흘)
  • (보낼 희)[5]
  • (오랑캐이름 힐)
  • (흘)
  • 𨊰[⿰車乞](흘)
  • 𠖯[⿰冫乞]
  • 𬼠[⿰乞乞]
  • 𬼪[⿰牟乞]
  • 𪟴[⿰⿳十口十乞]
  • 𫷔[⿰干乞]
  • 𪸏[⿰火乞]
  • 𱤾[⿰止乞]
  • 𭥡[⿰早乞]
  • 𤰢[⿰田乞]
  • 𤱘[⿰男乞]
  • 𰦛[⿰短乞]
  • 𮍵[⿰舌乞]
  • 𰫱[⿰緊乞]
  • 𫎐[⿰貝乞]
  • 𲊕[⿰靑乞]
  • 𩠓[⿰首乞]
  • 𮸱[⿰音乞]

[1] (위태로울 글)의 동자[2] (기운 기)의 고자[3] (검을 안)의 동자[4] 𧆦(범모양 을)의 동자[5] (보낼 희)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