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4 10:18:47

문득 훌, 다급한 소리 촤[1]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クツ, たちまち[2]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chuā, x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여담

1. 개요

欻은 '문득 훌, 다급한 소리 촤'라는 한자로, '문득', '갑자기' 등을 뜻하고, '촤'로 읽을 경우 현대 중국어 한정으로 쓰이는 글자로 '다급한 소리', '숨가쁜 소리', '율동적이고 규칙적인 소리 (척척, 쿵쿵 따위)' 등 의성어로 쓰인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B3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火火弓人(FFNO)로 입력한다.

(하품 흠)과 (불꽃 염)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원래는 의 이체자였던 것으로 보인다.[3]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한한대사전> 제7권, p.740[2]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 제6권, p.628[3] 《文選·張衡〈西京賦〉》:“神山崔巍,欻從背見。” 薛綜注:“欻之言忽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