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11:30:35

노략질할 략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リャク, リョウ
일본어 훈독
かす-める, かす-る, かす-れる,
さら-う, むちう-つ
-
표준 중국어
lüè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掠은 '노략질할 략'이라는 한자로, '노략(擄掠)질하다'를 뜻한다. 다만 '노략(擄掠)질'이라는 단어 뜻이 어렵다 보니 주로 '빼앗다'는 뜻으로 사용된다.[1]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3A0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手卜口火(QYRF)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서울 경)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말 그대로 서울을 손으로 털어버린다고 외우면 쉽다.

일본에서는 이 글자가 발음이 같은 (간략할/약할 략)으로 대체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4. 유의자

  • (노략질할 로)
  • (빼앗을 탈)
  • (빼앗을 찬)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한국기준으로 擄자체가 잘 쓰이지 않는 한자라는 것을 감안해서 1급한자로 분류되었다.[2] 약탈(掠奪)과 같으나 약탈(掠奪)에 비해 잘 쓰이지 않는다.[3] 힘이나 권위 등으로 빼앗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