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5 19:18:27

맡을 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미배정
[1]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か-ぐ
-
표준 중국어
xiù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嗅는 '맡을 후'라는 한자로, '냄새를 맡다'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맡다
중국어 표준어 xiù
광동어 cau3[文] / hung3[白]
객가어 chhu
민북어 hiu̿
민동어 chéu
민남어 hiù
오어 xieu (T2)[文] / hon (T2)[白]
일본어 음독 キュウ
훈독 か-ぐ
베트남어 khứu

유니코드에는 U+55C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HUK(口竹山大)로 입력한다.

(입 구)와 (냄새 취)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㗜(U+35DC)
  • 齅(U+9F45)
  • 𪖻[⿰鼻臰](U+2A5BB)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들 구)
  • 𩈸[⿰面臭](못생길 구)
  • (미숫가루 구)
  • 𩝠[⿰𩙿臭](상할 구, 볶은쌀 후)
  • 𦤣[⿰孛臭](썩는냄새 발)
  • 𦤟[⿰囟臭](암내 신)
  • 𨞑[⿰邕臭](구린내 옹)
  • 𦒥[⿰翁臭](향내날 옹)[6]
  • (누린내 전)[7]
  • (물기운 추, 취소 취)
  • (썩은냄새 추)
  • (꿈틀거릴 후)
  • (냄새맡을 후)
  • 𤚯[⿰牛臭](짐승이름 후)
  • (쉴 휴)
  • (뛸 흉, 비틀거릴 규)
  • 𡏣[⿰土臭]
  • 𨻬[⿰⻖臭]
  • 𣗬[⿰木臭]
  • 𭵩[⿰火臭]
  • 𮴪[⿰⺩臭]
  • 𮀹[⿰石臭]
  • 𱶜[⿰禾臭]
  • 𦤪[⿰曷臭]
  • 𦤮[⿰退臭]
  • 𥽙[⿰畨臭]
  • 𲇙[⿰金臭]
  • 𩡗

[1] (냄새 취)의 아랫부분이 (개 견)이 아닌 (큰 대)이다.[文] 문독[白] 백독[文] [白] [6] 𩡓(향내날 옹)의 동자[7] (누린내 전)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