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9:00:37

ケロッ!とマーチ


1. 개요2. 케롯!하고 행진(ケロッ!とマーチ)
2.1. ケロッ!とマーチ 2.2. 帰ってきたケロッ!とマーチ2.3. ケロッ!とマーチ20082.4. ケロッ!とマーチ <小隊Ver.>2.5. KERO'T MARCH (카툰네트워크 한국어 OP)
3. 케로로 행진곡
3.1. 케로로 행진곡3.2. 케로로 행진곡 Final ver.

1. 개요

애니메이션 개구리 중사 케로로오프닝 테마곡.

2. 케롯!하고 행진(ケロッ!とマーチ)

원곡. 일본판 케로로의 대표적인 테마곡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도 카툰네트워크에서 KERO'T MARCH라는 이름으로 번안된 바가 있으나 투니버스에서 케로로 행진곡이라는 이름으로 아예 리메이크를 해버린 버전이 더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원곡 기준 이 노래에 상당히 불호 의견이 상당히 큰데, 케로로 행진곡이라는 리메이크 곡이 먼저 선점 효과를 발휘하는 문제도 있긴 하지만 다른 걸 다 떠나 일본 제국주의를 연상시키는 듯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

제목은 <ケロッ!とマーチ>. ケロ(케로)는 개굴하는 의성어의 변형이며, と는 동작·상태 따위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격조사로, 상황에 따라 ~ 하고, ~하며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그리고 マーチ는 March를 가타카나로 그대로 쓴 것이며, 행진 혹은 행진곡을 의미한다. 따라서 번역해보자면 "개굴!하고 행진(곡)"이 가장 자연스러운 번역.

하지만 이 만화의 제목이 케로로인데다, 케로로가 웃거나 공명하는 부분 등에서도 개굴개굴이 아닌 케로케로 같은식으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관행적으로 "케로"는 발음 그대로 써서 '케롯!하고 행진(곡)'이라는 번역도 많이 쓰인다. 영문 표기 KERO'T MARCH에서는 と에 해당하는 표현이 빠졌다는 점과 국내 번안곡 '케로로 행진곡'의 영향을 받아 그냥 '케롯! 행진곡'이라는 이름도 꽤 많이 쓰인다.

그냥 번역 없이 일본 제목 그대로 '케롯토 마치'라고도 많이 불린다.

영어로 표기할 때는 Kerot! to march나 KERO! to March 라는 식으로 일반적으로 표기한다. 공식영문 표기로는 KERO'T MARCH라는 의미불명의 제목으로 명명하기도 했다.ッ!と를 나름대로 영어로 표기해서 'T로 쓴 것 같은데 원문이 전혀 연상되지 않는다. 한국판 카툰네트워크에서도 이 표기를 채택했다.

가사의 주제는 한마디로 머피의 법칙. 내용이 모두 '내가 우산을 들고 나올 때마다 해가 쨍쨍하네', '카레는 했는데 밥을 안 했네(...)', '급하게 올라탔더니 이 버스가 아니네', '문이 닫히면 새끼 발가락이 끼네(!)', '보니까 저녁 사먹는 게 더 낫네' 이다. 나머지는 가끔 랜덤한 가사도 나온다.

2.1. ケロッ!とマーチ

ケロッ!とマーチ
케롯!하고 행진
<colbgcolor=#6fbd69,#6fbd69> 가수 <colbgcolor=#ffffff,#191919> 카쿠다 노부아키(角田信朗)&이하타 쥬리(井端珠里)
작사 모리 치요코(もりちよこ)
작곡 사와다 칸(沢田完)
편곡
발매 시기 2004.05.21.
[ 펼치기 · 접기 ]
THREE, TWO, ONE, FIRE!!

ケロッ!ケロッ!ケロッ! いざ進め~ッ 地球侵略せよ
(케롯! 케롯! 케롯! 이자스스메~ 치큐우신랴쿠세요)
개굴! 개굴! 개굴! 자 나아가자~ 지구를 침략하라

ケッケロッケロ~! 傘持って 出かけた日にはいつも晴れ
(켓케롯케로~! 카사못테 데카케타 히니와 이츠모하레)
개개굴개굴~! 우산들고 외출한 날엔 언제나 맑아

「気をつけ~ッ, 目をくい縛れェェ!」カレーのライスを炊き忘れ
(「키오쯔케~엣, 메오 쿠이시바레!」카레-노라이스오 타키와스레)
"정신차려, 눈 꽉깨물어!" 카레에 밥하는 걸 잊어버렸네

閉まるドア 小指はさんだ 飛びのったら 行き先ちがう
(시마루도아 코유비하산다 토비놋타라 유키사키치가우)
닫히는 문에 새끼 발가락이 찝히고 급히 탔더니 가는 방향이 틀리네

社員旅行はケロン あ, 買った方が安いね晩のおかずッ!
(샤인료코오와 케론 아, 캇타호오가 야스이네 반노오카즛!)
직원여행은 케론으로 아, 사 먹는 편이 저렴했네 저녁 반찬!


ケロッ!ケロッ!ケロッ! 高らかに~ッ 勝利のオタケビを
(케롯! 케롯! 케롯! 타카라카니~잇 쇼오리노 오타케비오)
개굴! 개굴! 개굴! 드높여라~ 승리의 외침을

ケッケロッケロ~! はりきって電話に出たらファクシミリ
(켓케롯케로~! 하리킷테 뎅와니데타라 화쿠시미리)
개개굴개굴~! 열심히 전화받으러 나갔더니 팩스였네

「“平成"は本日より” ケロロ元年 “でありま~~すッッ!!」 四角いトコロは丸く掃け
(「“헤이세이” 와 혼지츠요리 “케로로간넨” 데 아리마~~스!!」 시카쿠이토코로와 마루쿠하케)
「“헤이세이”[1]는 오늘부로 “케로로 1년”입니다!!」 각진 곳은 둥글게 칠해

水かき汗っかきベソっかき 歯みがきならイチゴの香り
(미즈카키 아셋카키 베솟카키 하미가키나라 이치고노카오리)
물범벅 땀범벅 눈물범벅 양치질할때는 딸기향으로

ケロンは宇宙一, たぶん あ, 駅から5分は実は15分!
(케론와 우츄우이치 타분 아, 에키카라 고훈와 지츠와쥬우고훈!)
케론은 우주제일이야 아마도 아, 역에서 5분이란건 사실 15분이야!

それじゃーソルジャーど疲れさん!
(소레쟈-소루쟈-도츠카레상!)
그럼 이만 군인 여러분 욕보십쇼![2]

일본판 1기에서 사용된 첫 OP. 1화부터 51화까지 사용되었다.

국내 투니버스 방영판에선 후술할 '케로로 행진곡'이라는 자체 창작곡을 제작했기 때문에 들을 수 없지만 예고편 BGM으로 남아있다.자위대 군악대가 연주하기도 했다.

2021년 7월 28일, 이 노래를 직접 불렀던 카쿠다 노부아키이하타 쥬리가 다시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

2.2. 帰ってきたケロッ!とマーチ

帰ってきたケロッ!とマーチ
돌아온 케롯!하고 행진
<colbgcolor=#6fbd69,#6fbd69> 가수 <colbgcolor=#ffffff,#191919> 자이츠 이치로(財津 一郎)[3]&오구라 유코(小倉 優子)
작사 모리 치요코(もりちよこ)
작곡 사와다 칸(沢田完)
편곡
발매 시기 2007.03.17.
[ 펼치기 · 접기 ]
THREE, TWO, ONE, FIRE!!

ケロッ!ケロッ!ケロッ! いざ進め~ッ 地球再侵略
(케롯! 케롯! 케롯! 이자스스메~ 치큐우사이신랴쿠)
개굴! 개굴! 개굴! 자 나아가자~ 지구재침략해보자

ケッケロッケロ~! シャーペンの芯は最後まで使えない
(켓케롯케로~! 샤아펜노 신와 사이고마데 츠카에나이)
개개굴개굴~! 샤프 펜슬의 심은 마지막까지 사용한 적 없어

「うれしはずかしながら帰って参りましたァァ!!!」すきやきの肉も買い忘れ エーンッ!
(「우레시 하즈카시나가라 카에테 마이리마시타아아!!!」스키야키-노니쿠모 카이와스레)
"기쁘기도 부끄럽기도 하지만 되돌아왔습니다아!" 스키야키용 고기도 깜빡 안샀네에!

イビキかく人、先に寝てヒツジを数えて夜が明ける
(이비키 카쿠 히토 사키니 네테, 히츠지오 카조에테 요가 아케루)
코골이 하는 사람 먼저 잠들고, 양을 하나둘 세다보니 밤이 끝나가

修学旅行もケロン あ、招待券と思ったら割引券!!!
(슈가쿠료코오와 케론. 아, 쇼타이켄토 오못타라 와리비키켄!!!)
수학여행은 케론으로. 아, 초대권이라고 생각했더니 할인권이네!!!


ケロッ!ケロッ!ケロッ! 高らかに~ッ アクビよりオタケビ
((케롯! 케롯! 케롯! 타카라카니~잇 아쿠비요리 오타케비)
개굴! 개굴! 개굴! 드높여라~ 하품보다는 우렁찬 외침

ケッケロッケロ~! ここだけの話をみんなが知っている
(켓케롯케로~! 코코다케노 하나시오 민나가 싯테이루)
개개굴개굴~! 여기서만의 이야기를 모두가 알아

「本日より”ニッポン”は ”ケロポン”と改めま~~~すッ!!!」 迷惑メールが300通 「やめてちょうだいっ!」
(「혼지츠요리 "닛뽄"와 "케로뽄"토 아라타메 마~~~슷!!!」 메이와쿠 메이루[4]가 산뱌쿠츠 「야메테쵸우다잇!」)
「오늘부터 "일본"은 "케로본"으로 고치겠습니다!!!」 스팸 메일이 300통 「제발 그만둬엇!」

パソコン叩いても直らない 携帯は振っても通じない
(파소콤타다이테모 나오라나이 케이타이와 훗테모 츠지나이)
컴퓨터를 때려봐도 안고쳐지네 핸드폰은 흔들어도 안통하네

ケロンはエンドレス、かも あ、水金地火木土天海ケロンッ!!!
(케론와 엔도레스 카모 아, 스이킨 치카모쿠 도텐카이 케론!!!)
케론은 영원할거야 아마 아, 수금지화목토천해케론!!!

それじゃーソルジャーど疲れさん!
(소레쟈-소루쟈-도츠카레상!)
그럼 이만 군인 여러분 욕보십쇼!

「非ッ常にキビシ~~ッ!!!!」
(「힛죠우니 키비시이잇!!!!」)
「이상할 정도로 가혹해!!!!!」

일본판 4기에서 사용된 6번째 OP. 제155화 - 제183화 동안 사용되었다.

영상이나 가사나 1기를 오마주하면서도 바뀐 부분이 많다. 약간 1기버전의 후속 버전같은 느낌을 많이 담고 있다. 지구를 침략하자를 지구 다시 침략해보자는 식으로 바뀐다던가, 1기의 "카레용 밥을 안했네!"라는 가사에 이어서 "스키야끼용 고기' 안샀네!"라는 가사로 이어진다. 또한 영상에서도 히나타 일가의 인물들이 모이는 장면에서 더 많은 캐릭터들이 모인다던가 하는 식으로 오마주가 이어진다.

OP로 사용되기 전에 미리 발매되었으며, 시즌 2,3,5의 OP는 3분기를 끝으로 교체된 반면에 이번에는 4분기를 넘겼다.

2.3. ケロッ!とマーチ2008

ケロッ!とマーチ2008
케롯!하고 행진 2008
<colbgcolor=#6fbd69,#6fbd69> 가수 <colbgcolor=#ffffff,#191919> 츠치다 테루유키&야나기하라 카나코
작사 모리 치요코(もりちよこ)
작곡 사와다 칸(沢田完)
편곡
발매 시기 2008년 02.27.

케로로 더 무비: 케로로 VS 케로로 천공대결전의 오프닝 곡. 본 영화 개봉 전에 미리 발매되었다.

2.4. ケロッ!とマーチ <小隊Ver.>

ケロッ!とマーチ <小隊Ver.>
케롯!하고 행진 <소대 Ver.>
<colbgcolor=#6fbd69,#6fbd69> 가수 케로로 소대
작사 <colbgcolor=#ffffff,#191919> 모리 치요코(もりちよこ)
작곡 사와다 칸(沢田完)
편곡
발매 시기 2009.06.24.
[ 펼치기 · 접기 ]
THREE, TWO, ONE, FIRE!!

ケロッ!ケロッ!ケロッ! いざ進め~ッ[ruby(地球,ruby=ペコポン)]侵略せよ
(케롯! 케롯! 케롯! 이자스스메~ 페코폰신랴쿠세요)
개굴! 개굴! 개굴! 자 나아가자~ 퍼렁별을 침략하라

ケッケロッケロ~! 傘持って 出かけた日にはいつも晴れ
(켓케롯케로~! 카사못테 데카케타 히니와 이츠모하레)
개개굴개굴~! 우산들고 외출한 날엔 언제나 맑아

「気をつけ~ッ, 目をくい縛れェェ!」カレーのライスを炊き忘れ
(「키오쯔케~엣, 메오 쿠이시바레!」카레-노라이스오 타키와스레)
"정신차려, 눈 꽉깨물어!" 카레에 밥하는 걸 잊어버렸네

閉まるドア 小指はさんだ 飛びのったら 行き先ちがう
(시마루도아 코유비하산다 토비놋타라 유키사키치가우)
닫히는 문에 새끼 발가락이 찝히고 급히 탔더니 가는 방향이 틀리네

社員旅行はケロン あ, 買った方が安いね晩のおかずッ!
(샤인료코오와 케론 아, 캇타호오가 야스이네 반노오카즛!)
직원여행은 케론으로 아, 사 먹는 편이 저렴했네 저녁 반찬!


ケロッ!ケロッ!ケロッ! 高らかに~ッ 勝利のオタケビを
((케롯! 케롯! 케롯! 타카라카니~잇 쇼오리노 오타케비오)
개굴! 개굴! 개굴! 드높여라~ 승리의 외침을

ケッケロッケロ~! はりきって電話に出たらファクシミリ
(켓케롯케로~! 하리킷테 뎅와니데타라 화쿠시미리)
개개굴개굴~! 열심히 전화받으러 나갔더니 팩스였네

「“平成"は本日より” ケロロ元年 “でありま~~すッッ!!」 四角いトコロは丸く掃け
(「“헤이세이” 와 혼지츠요리 “케로로간넨” 데 아리마~~스!!」 시카쿠이토코로와 마루쿠하케)
「“헤이세이”는 오늘부로 “케로로 1년”입니다!!」 각진 곳은 둥글게 칠해

水かき汗っかきベソっかき 歯みがきならイチゴの香り
(미즈카키 아셋카키 베솟카키 하미가키나라 이치고노카오리)
물범벅 땀범벅 눈물범벅 양치질할때는 딸기향으로

ケロンは宇宙一, たぶん あ, 駅から5分は実は15分!
(케론와 우츄우이치 타분 아, 에키카라 고훈와 지츠와쥬우고훈!)
케론은 우주제일이야 아마도 아, 역에서 5분이란건 사실 15분이야!

それじゃーソルジャーど疲れさん!
(소레쟈-소루쟈-도츠카레상!)
그럼 이만 군인 여러분 욕보십쇼!

일본판 6기에서 사용된 10번째 OP. 제257화 - 제307화동안 사용되었다.

다시 돌아온 케롯!하고 행진에서 가사가 많이 바뀌었던 것과 달리 다시 1기버전의 가사로 복귀했으며, 케로로 소대가 부르기 때문인지 지구라는 가사가 퍼렁별로 바뀌었다. 다만 가사집에서는 지구라고 쓰고 퍼렁별로 읽는다. 비교하자면 다시돌아온 케롯행진곡은 후속작같은 개념이고, 이 곡은 리마스터 개념에 가깝다.

소대버전인 만큼 성우가 캐릭터 연기를 한 채 노래를 부르며, 덕분에 "정신차려! 눈 꽉깨물어!" "헤이세이는 오늘부터 케로로원년입니다!" 같은 케로로의 대사를 상정한 파트의 부분에서 상당히 자연스러워졌다.

2.5. KERO'T MARCH (카툰네트워크 한국어 OP)

KERO'T MARCH
<colbgcolor=#6fbd69,#6fbd69> 가수 <colbgcolor=#ffffff,#191919> 케로로(양정화), 김승회
작사 한국어 개사자 불명
(원곡: 모리 치요코(もりちよこ))
작곡 사와다 칸(沢田完)
편곡
음악 연출 김태진
녹음 및 믹싱 박지혜
[ 펼치기 · 접기 ]
THREE, TWO, ONE, FIRE!!

케롯, 케롯, 케롯 앞으로 진격! 지구를 침략하러 가자
켓케롯케로~! 룰루랄라 즐거운 소풍은 언제나 비가 와

(차렷! 눈을 크게 떠!)

맛이 좋은 카레에는 흰밥이 없어
닫히는 문에 끼인 새끼손가락
뛰어탔지만 반대방향 열차였다네
포상여행으로는 케~론별
아, 시켰는데 나왔구나, 치킨 할인쿠폰!


케롯, 케롯, 케롯 힘차게 불러 승리를 위한 노래하자
켓케롯케로~! 위풍당당 전화를 받지만 팩시밀리
(오늘은 케로로를 위한 케로로의 날입니다!)

네모난 모서리는 둥글둥글 닦아
치카치카 위로 아래 거품범벅
치약이라면 역시나 딸기 맛 최고
케론은 우주 최고 별, 아마
아, 역에서부터 5분 거리 실은 15분
그래서 중사는 늘 피곤하지!

한국어 번안 버전.

카툰네트워크 재더빙판에서 사용하였다. 케로로 행진곡의 원곡이 되는 노래인 만큼 이 노래도 그대로 한국판 케로로 성우인 양정화가 맡았다.

투니버스판의 케로로 행진곡과 달리 일본판 원곡과 가사를 대부분 그대로 번역해 사용했다.[5] 그 밖에는 일본판을 거의 직역했다시피한 정도니까 일부를 제외하면 일본판과 가사가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가사 번역이 아쉽다는 평가도 많다. 뜯어보면 좋은 부분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아쉬운 부분이 많다는 평가. 아래와 같다.
  • 좋은 평가를 받은 번역
    • '우산들고 외출한 날엔 언제나 맑아'라는 가사를 '룰루랄라 즐거운 소풍은 언제나 비가 와'로 번안한 것. 원래는 소풍이라는 말은 없지만, 이는 투니버스판 케로로 행진곡에서 나온 '큰맘 먹고 세차하면 비오고 소풍가면 소나기'를 의식하여 번안한 부분이다.
    • 기껏 저녁 반찬을 했는데 사먹는 게 더 저렴했다는 가사를 치킨 시켰는데 쿠폰이 있었단 가사로 개사한 것. 다만 기존 가사도 나쁘지 않았는데 괜히 바꾼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 '“헤이세이”는 오늘부로 “케로로 1년”입니다!' 라는 가사를 '오늘은 케로로를 위한 케로로의 날입니다!'로 대체한 것. 우리나라는 연호를 더이상 쓰지않기 때문에 잘 번안한 부분이다.
    • '물범벅 땀범벅 눈물범벅'이라는 와닿지 않는 가사를 '치카치카 위로 아래 거품범벅'로 번안한 것.
    • 'それじゃーソルジャーど疲れさん!(그럼 이만 군인 여러분 욕보십쇼!)'라는 번역하기 난감한 말장난 가사를 '그래서 중사는 늘 피곤하지!'라는 가사로 대체한 것. 앞서 많은 머피의 법칙을 나열하고 이러한 이유로 자기가 피곤하다고 노래를 끝마치 대사이기 때문에 아주 멋지게 번역된 부분이다.
  • 아쉽다는 평가를 받은 번역
    • 전체적으로 번역한 문장 하나하나가 이어지는 느낌이 없어서 조금 어색하다.
    • 지구를 침략하러 가자라는 가사를 퍼렁별로 고치지 않고 그대로 번안한 것. 원곡 가사이긴 하지만, 원곡도 소대버전에서 케로로의 성우가 불렀을 땐 한국판의 퍼렁별에 대응하는 페코폰(ペコポン)이라는 단어로 고쳐서 불렀다. 한국판은 애초에 케로로 성우가 불렀기 때문에 퍼렁별로 충분히 개사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 눈을 크게 뜨라는 말과 이빨 꽉깨물어라는 말을 합쳐서 눈을 꽉깨물어라는 가사가 있는데, 그냥 눈을 크게 뜨라고만 번역되었다.
    • '맛이 좋은 카레에는 흰밥이 없어'라는 가사가 직관성이 떨어진다. 왜 맛이 좋은 카레에는 흰밥이 없는지 납득하기 어렵다. '카레를 잘했는데 밥을 안했네' 쪽이 훨씬 직관적이다.
    • '급히 탔더니 가는 방향이 틀리네'라는 가사를 투니버스판에서 '급하게 탄 버스 방향 틀리고'라고 번안한 바가 있는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뛰어탔지만 반대방향 열차였다네'라고 번안했다.
    • 거의 20년 전에 나온 곡이기에 가사 중 팩시밀리 같은건 현대 문물로 로컬라이징이라도 안하면 요새 애들은 못 알아들을텐데 그대로 옮겨왔다. 번역하기 어려운 부분도 아니다 전화인줄 알고 달려왔더니 팩스였다라는 가사니까 '진동울리길래 왔더니 스팸문자' 이런 식으로 충분히 번안 가능한 부분이다. 차라리 오히려 노래 자체를 직역했다면 원곡그대로 들여온것이다라고 납득하겠으나, 앞서 잘 번안한 좋은 번역들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아쉽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일본어가 보여지던 부분을 아예 새로 재작업하면서 일본어가 최대한 보여지지 않게 되었고 모두 한국어화가 되었다. 중간의 공명하는 장면이라던가 기존에 땜빵하듯이 편집되었던 부분들도 일본판 원작과 거의 동일하게 편집되었다.[6] 유일하게 원판과 달라진 부분이라면 경례하는 장면에서의 후광이 붉은 톤에서 흰색,노란색 톤으로 변했다는것 정도.

투니버스 더빙판 '케로로 행진곡'에 비해 평이 안좋은 편이다. 일반 케로로 행진곡이 너무나도 현지화를 뛰어나게 했기도 하고, 거기다 선점효과로 인해 이미 케로로행진곡이 익숙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초반부 케롯케롯케롯! 케케롯케롯!~ 부터 "차렷! 눈을 크게 떠!" 하는 부분까지는 한국 시청자들에게 있어서는 굉장히 낯선 음율인지라 평가가 상당히 안좋지만 그나마 하이라이트 파트는 꽤나 신나게 잘 작곡되었고, 기존 투니버스 판에서도 해당 부분은 다음회 예고에서 MR로 줄기차게 사용된 바가 있어서 그래도 나쁘지 않다는 평가도 많다.

덤으로 노래 부른사람 및 한국인 편집자들을 제외하고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마냥 크레딧을 영어로 넣어놨다.

3. 케로로 행진곡

이 곡을 베이스로 한국에서 리메이크한 노래.

제목은 원곡에서 ケロッ!と(케롯토)를 비슷한 발음인 '케로로'로 치환하고, マーチ(마치)를 행진곡으로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도입부는 원곡과 똑같고, 노래를 시작하면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노래로 바뀐다. 가사를 좀 더 한국 정서에 어울리게 변경했고, 군가같은 느낌을 지우고 동요같은 느낌을 좀 더 키웠다. 하지만 노래의 가사와 주제는 원곡과 일맥상통하다. 일본판이 군가 컨셉으로 머피의 법칙에 대해서 열심히 나열하는 노래라면 한국판은 머피의 법칙 같은 일이 우리를 힘들게 하더라도 힘을 합쳐서 이겨낼 수 있다라는 느낌이 더욱 강해졌다.

그리고 일본판과는 달리 처음부터 케로로의 성우가 직접 불렀다. 일본판도 케로로의 대사처럼 보이는 가사가 있으나 케로로가 직접 부르지는 않았다. 추후 케로로 소대 버전이 나오면서 일본판도 케로로 성우가 부른 버전이 나오기는 했다.

3.1. 케로로 행진곡

케로로 행진곡
<nopad>
<colbgcolor=#6fbd69,#6fbd69> 가수 <colbgcolor=#ffffff,#191919> 케로로(양정화)
작사 석종서
작곡 이용민
편곡
코러스 이용민, 석종서
[ 펼치기 · 접기 ]
THREE, TWO, ONE, FIRE!!

케로케로케로케로 힘차게 케로케로케로 나가자

우리 앞에 있는 모든 시련들 겁낼 필요 없다

케로로 소대 오늘도 출동을 하네

큰맘 먹고 세차하면 비오고 소풍가면 소나기

급하게 탄 버스 방향 틀리고 건널목에 가면 항상 내 앞에서 빨간불

케로케로케로케로 힘차게 케로케로케로 나가자

우리 앞에 있는 모든 시련들 겁낼 필요없다

모여서 공명을 하네

힘들어도 밝은 얼굴 웃어봐 우린 내일이 있어

세상 일이 힘이 들고 지쳐도 우리 모두 모여 하나 되면 해낼 수 있어!

이 세상에 두려운 건 없어 너와 함께면!

1기인만큼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케로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국민 주제가.

화면은 일본판에서 많이 가져왔지만, 창작곡을 사용함과 동시에 가사를 대부분 바꿨다. 기반이 되는 일본판 오프닝의 멜로디가 후렴구에 오마주 되어있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부분이 그것이다. 여타 애니메이션 주제가와 달리 도중에 장2도 위로 아예 전조되는 부분이 둘이나 등장하는 특이한 곡이다.[7] 맨 처음 가사가 '행진하자! 지구를 침략하자!' 였는데 처음 본 사람들에게서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내려졌는지 이 부분과 비슷한 부분은 다 자르고 '힘을 합치면 모든 시련도 견딜 수 있다' 라는 주제의 가사로 바꿨다. 그 외엔 일본판처럼 머피의 법칙을 주제로 삼은 가사가 있다. 급하게 탄 버스는 방향을 바꾸고 소풍을 가니 소나기가 오고 건널목에만 가면 항상 신호등은 빨간 불이고 큰 맘 먹고 세차했더니만 비가 쏟아진다는 내용이 있다.

2005년 첫 방영 당시 편집 기술의 한계로 2019년 카툰네트워크판 재더빙판 오프닝과 달리 화면수정을 최소화했다. 처음 로고 부분은 화면 수정 없이 배경 부분을 짙은 파란색으로 먹칠해버리는 편집이 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일본어 공명음이 나오는 장면들은 죄다 다른 장면으로 대체하였다. 중간에 쿠루루가 웃으면서 등장하는 장면에서는 쿠루루 얼굴 대신 타자치는 장면을 반복한다던지, 일본어로 등장인물들이 공명하는 부분[8]은 아예 앞전의 장면을 다시 쓰는 등. 이 직후 장면에서 모니터에 등장하는 한자는 별도 수정없이 그대로 보여지는 등 여러모로 당시 편집 기술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투니랜드/다음 케로로팡팡에도 이 노래가 사용된다.

한국프로농구고양 캐롯 점퍼스가 이 곡의 '케로케로케로케로' 부분을 '캐롯 캐롯 캐롯 캐롯'으로 약간 변형해 응원가로 사용한다. 발음이 비슷하기도 하고, 캐롯의 마스코트도 개구리인 만큼 나름대로 적절한 센스.

3.2. 케로로 행진곡 Final ver.

케로로 행진곡 Final ver.
<nopad>
<colbgcolor=#6fbd69,#6fbd69> 가수 <colbgcolor=#ffffff,#191919> 케로로 소대
(양정화, 류점희, 시영준, 김장, 강수진)
작사 석종서
작곡 이용민
편곡
[ 펼치기 · 접기 ]
(끄끄끄끄끄~ 자 이제 간다!)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 Go!)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반복]

케로케로케로케로 힘차게 케로케로케로 나가자

우리 앞에 있는 모든 시련들 겁낼 필요 없다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 Go!)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

케로로 소대 오늘도 출동을 하네

(One, Two, Three, Four, Five, Six, Yeah~!)

큰맘 먹고 세차하면 비 오고 소풍 가면 소나기

급하게 탄 버스 방향 틀리고 건널목에 가면 항상 내 앞에서 빨간불
건널목에 가면 항상 내 앞에서 빨간불

(Love me tender kiss me forever! forever, forever~!!!)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 Go!)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반복]

케로케로케로케로 힘차게 케로케로케로 나가자

우리 앞에 있는 모든 시련들 겁낼 필요 없다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끄끄끄!)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끄! 끄!)

다섯 개구리 모여서 공명을 하네

(One, Two, Three, Four, Five, Six, Yeah~!)

힘들어도 밝은 얼굴 웃어 봐(웃지롱~) 우린 내일이 있어

세상 일이 힘이 들고 지쳐도 우리 모두 모여 하나 되면 해낼 수 있어

힘들어도 밝은 얼굴 웃어 봐 우린 내일이 있어

세상 일이 힘이 들고 지쳐도 우리 모두 모여 하나 되면 해낼 수 있어(해낼 수 있지롱~)

이 세상에 두려운 건 없어 너와 함께면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 Go!)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반복]

(게로게로게로게로~)


1기 오프닝의 리메이크이다. 한국판 시즌 7동안 사용되었다.

바꾼 가사는 별로 없고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 퍼렁별 침략 Go Go Go!' 가사가 계속 나온다. 화면은 일본판 ケロッ!とマーチ(小隊Ver.) 이 아니라 メンドク星マーチ 의 화면을 썼다. ケロッ!とマーチ(小隊Ver.) 처럼 케로로 소대 전체가 부르지만 솔로 부분은 케로로와 도로로만 있다. 풀버전에서 보면 기로로와 쿠루루 솔로 파트도 있다. 여기서 기로로는 파워드 한별과 대결했을 때의 명대사를 날린다.

본래 1기를 리메이크한 탓인지 새로운 개성이 없다는 것과 새로운 걸 기대한 사람들한테 실망을 안겨서 그런지 케로로 오프닝 중에서 호불호가 은근히 갈렸었다. 하지만 케로로가 종영된 이후,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다!라는 테마를 공표한데다가 최고의 추억인 1기 오프닝의 어레인지라는 점 때문에, 현재는 들으면 왠지 뭉클하고 아련하다는 느낌이 든다는 의견이 많다.


[1] 1989년 1월 8일 0시부터 2019년 4월 30일 23시 59분까지. 케로로가 연재된 것이 헤이세이다.[2] それじゃー(그럼)와 ソルジャー(솔져)가 발음이 비슷한 말장난이며,ど疲れ는 お疲れ의 간사이벤(간사이 사투리)이다.[3] 1934년 2월 22일 쿠마모토현 쿠마모토현에서 태어난 배우/개그맨/가수이다.[4] 비슷한 발음이 두번반복되는 말장난이다.[5] 일부 바뀐 부분도 있는데 헤이세이를 언급하는 부분을 케로로 최고의 날로 번역했다. 그리고 치킨 쿠폰도 언급되었다.[6] 오프닝 처음 부분 타이틀 로고 뒤에 깃발은 2D에서 3D 깃발로 새로이 렌더링하였기에 이질적이라는 느낌이 나는 것을 볼 수 있다.[7] 처음에는 바 장조(F Major)였다가 '소풍 가면 소나기' 부분에서 사 장조(G Major)로 전조한 뒤 지속되다가 '우린 내일이 있어' 부분에서 다시 가 장조(A Major)로 전조되고 그 조성으로 끝을 맺는다.[8] 원곡에서 '오늘부터 헤이세이를 폐기하고 케로로 원년으로 하겠다'라고 하는 부분. 한국어판은 "다섯 개구리 모여서 공명을 하네" 부분에 해당한다.[반복] 2회 반복[반복] 2회 반복[반복] 2회 반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