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rowbgcolor=#F4F8FD,#F4F8FD><tablebordercolor=#F4F8FD,#F4F8FD><tablecolor=#57538B,#57538B><width=50%>
||<(> 악곡 & 음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81E2F5,#C3AFFE,#FFB1E1); color: #fff; letter-spacing: -0.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81E2F5,#C3AFFE,#FFB1E1); color: #fff; letter-spacing: -0.5px;"'''
SINCE 2018. 4. 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E2F2FA,#E8EEFC,#ECEAFD,#F1EAFA,#F8EBF6)" {{{#!wiki style="margin: 0px 0px;"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border-bottom: solid 5px #D0E0F0; border-radius: 20px; background: #fff; color: #615F90" {{{#!folding # 정기 음반 {{{#!wiki style="margin: 0px 0px; font-size: .8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BRILLINT | <tablebordercolor=#fff,#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FRGMENT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GRDAT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LYERED | <tablebordercolor=#fff,#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PANORMA {{{#!wiki style="margin: 0px 0px;" | <tablebordercolor=#fff,#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CANVAS | <tablebordercolor=#D0E0F0,#D0E0F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ECHOES | <tablebordercolor=#fff,#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min-width: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color: #615F90" Halo | <tablebordercolor=#fff,#fff> | }}}}}}}}} | <tablebordercolor=#fff,#fff> | ||||||||||||||||||
#######################################################################################################################
- # 비정기 음반
- ##ST'width:95%; 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2px; margin: 10px 0px; border-radius: 10px 0px 10px 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E2F2FA,#E8EEFC,#ECEAFD,#F1EAFA,#F8EBF6); color: #615F90; text-align:left;'>
비정규 앨범 시리즈 - 앨범 "#이름"을 눌러 펼치기 & 접기
OTHERS- # 미분류
- #####################################################################미분류 - OTHERS
FE'wikiFolding'>- # 솔로곡
- #####################################################################솔로곡-COLORFUL FETHERS
기존 유닛 - 녹칠 & 코메틱 이전
추가 유닛 - 녹칠 & 코메틱
Synthe- # 유닛 합동곡
- #####################################################################Synthe-Side
Animation- # 애니메이션
- #####################################################################Animation
애니메이션 1기 - 기존곡 외 신곡만 표기
애니메이션 2기 - 기존곡 외 신곡만 표기
#######################################################################################################################
- # 샤니송 음반
- ##STRT
샤니송 앨범 시리즈 - 앨범 "#이름"을 눌러 펼치기 & 접기
PRISM- # EVENT1
- #####################################################################EVENT1
신곡 이벤트 1차 - 2024. 1. 24. ~ 2024. 7. 24.
PRISM- # EVENT2
- #####################################################################EVENT2
신곡 이벤트 2차 - 2024. 9. 25. ~ 2025. 3. 26.
PRISM- # EVENT3
- #####################################################################EVENT2
신곡 이벤트 3차 - 2025. 9. 3. ~
PRISM
| <colbgcolor=#7967C3><colcolor=#fff> THE IDOLM@STER SHINY COLORS COLORFUL FE@THERS -Luna- Track 03. わたしの主人公はわたしだから! 나의 주인공은 나니까! | |
| <nopad> | |
| 노래 | 후쿠마루 코이토 |
| 작사 | 秋浦智裕 |
| 작곡 | 本多友紀(Arte Refact) |
| 편곡 | 矢鴇つかさ(Arte Refact) |
1. 개요
| <colbgcolor=#7967C3><colcolor=#fff> | |
| Sample Ver. | |
| Game MV | |
| Full Ver. |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에 등장하는 유닛, noctchill 소속 아이돌 후쿠마루 코이토의 솔로곡.
곡의 제목이 워낙 길다 보니 일본 팬들 사이에서는 제목을 'わたわた(와타와타)'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단순히 앞글자를 따온 것 외에도, 마침 와타와타는 코이토가 흔히 보여주듯 당황해서 허둥대는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이기도 하다.
2.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Song for Prism
| 샤니송의 수록곡 추가 순서 | ||||
| 99. Another Rampage | → | 100. わたしの主人公はわたしだから! | → | 101. Fading Stars |
| <rowcolor=#000> 난이도 | EASY | NORMAL | HARD | EXPERT | MASTER |
| <colbgcolor=#d0c5fa><colcolor=#000> 레벨 | 8 | 13 | 17 | 24 | 29 |
| 노트 수 | 274 | 416 | 526 | 820 | 1267 |
| 악곡 정보 | |||||
| 길이 | - | BPM | - | ||
| 담당 아이돌 | 후쿠마루 코이토 | ||||
| 구현일 | 2025. 03. 21. | ||||
점수가 매우 높게 나오게 설정되어 있는 곡으로, MASTER의 경우 점수가 가장 많이 뽑혀 나오는 곡인 ツバサグラビティ(애니OP 버전) 다음 가는 수준의 높은 점수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심지어 스탯 보너스를 받는 코이토를 넣지 않아도 여전히 어지간한 전체곡을 능가하는 수준의 점수가 나온다. 게다가 츠바사 그래비티와는 달리 곡의 길이까지 길기 때문에, 이벤트 기간 중에 플레이하면 이벤트 포인트를 많이 받을 수 있는 곡으로 인기가 있다.
3. 가사
| Go!Go! Let's Go! ジャンプ!ジャンプ! もっと! Go!Go! Let's Go! 쟌푸!쟌푸! 못또! Go!Go! Let's Go! 점프!점프! 좀더! Go!Go! Let's Go! ジャンプ!ジャンプ! もっと! Go!Go! Let's Go! 쟌푸!쟌푸! 못또! Go!Go! Let's Go! 점프!점프! 좀더! 背伸びをしても 簡単にバレちゃう!? 세노비오시테모 칸탄니바레챠우!? 까치발을 서봐도 간단히 들켜버려!? だってみんなすごいでしょ 닷떼민나스고이데쇼 그야 다들 굉장하잖아 人1倍! いや2倍? 3倍!? 히토이치바이! 이야니바이? 산바이!? 남보다 1배 더! 아니 2배? 3배!? とにかく急がなくちゃ (待ってー) 토니카쿠이소가나쿠챠 (맛떼ー) 아무튼 서둘러야 돼 (기다려ー) 走って 走って また転んで 하싯떼 하싯떼 마타코론데 달리고 달리고 또 넘어지고 ダメダメなわたしだけど… (本当に) 다메다메나와타시다케도… (혼토니) 되는게 없는 나지만… (정말로) 大丈夫 大丈夫 言い聞かせて 다이죠우부 다이죠우부 이이키카세테 괜찮아 괜찮아 타일러주고서 気持ち落ち着けたら 頑張ろー!(せいいっぱい!) 키모치오치츠케타라 간바로ー!(세이잇빠이!) 기분이 진정된 뒤에는 힘내자ー!(있는 힘껏!) もっと ちゃんとそつなく こなしたい (パッと) 못또 챤토소츠나쿠 코나시타이 (팟또) 좀더 제대로 실수 없이 해내고 싶어 (퍼뜩) いつの日にか みんなみたいに (きっと) 이츠노히니카 민나미타이니 (킷또) 언젠가 훗날엔 모두랑 똑같이 (꼬옥) だから今日も居残り練習 (ファイト) 다카라쿄우모이노코리렌슈우 (화이토) 그러니까 오늘도 남아서 연습 (파이팅) 後悔だけは したくないから (絶対) 코우카이다케와 시타쿠나이카라 (젯따이) 후회 만큼은 하고 싶지 않으니까 (절대) どんなに遠くたって (ずっと) 돈나니토오쿠탓떼 (즛또) 아무리 멀다고 해도 (쭈욱) 追いかける 追いつくまで! 오이카케루 오이츠쿠마데! 따라갈 거야 따라잡을 때까지! Go!Go! Let's Go! ジャンプ!ジャンプ! もっと! Go!Go! Let's Go! 쟌푸!쟌푸! 못또! Go!Go! Let's Go! 점프!점프! 좀더! Go!Go! Let's Go! ジャンプ!ジャンプ! もっと! Go!Go! Let's Go! 쟌푸!쟌푸! 못또! Go!Go! Let's Go! 점프!점프! 좀더! ドキドキしたり そわそわしちゃうのは 도키도키시타리 소와소와시챠우노와 두근두근하거나 조마조마해지는 건 いつもわたしだけだ 何で!? 이츠모와타시다케다 난데!? 언제나 나 혼자 뿐이야 왜지!? ねぇどうして 堂々としてるの? 네-도우시테 도우도우토시테루노? 저기 어째서 당당하게 있는 거야? とにかく付いてかなきゃ (待ってー) 토니카쿠츠이테카나캬 (맛떼ー) 아무튼 따라가야 돼 (기다려ー) 理想は よゆーで 何でもできて 리소우와 요유-데 난데모데키테 이상은 여유롭고 뭐든지 해내고 憧れられちゃったりして (パーフェクト) 아코가레라레챳따리시테 (파-훼쿠토) 동경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퍼펙트) でもね でもね わかってるよ 데모네 데모네 와캇떼루요 그치만 그치만 알고있다구 わたしはわたしだもん 頑張ろー!(めいいっぱい!)[1] 와타시와와타시다몽 간바로ー!(메이잇빠이!) 나는 나인걸 힘내자ー!(있는 한껏!) もっと みんなといたい これからも (いっぱい) 못또 민나토이타이 코레카라모 (잇빠이) 좀더 모두와 있고 싶어 앞으로도 (잔뜩) どんな瞬間(とき)も 一緒がいいな (いつも) 돈나토키모 잇쇼가이이나 (이츠모) 어떤 순간에도 함께가 좋은걸 (항상) 重ね合った手握りしめて (ぎゅっと) 카사네앗따테니기리시메테 (귯또) 서로 겹쳐놓은 손을 맞잡고서(꼬옥) 同じ夢を 見つめていたい (ずっと) 오나지유메오 미츠메테이타이 (즛또) 똑같은 꿈을 바라보고 싶어(쭈욱) わたしの宝物が (全部) 와타시노타카라모노가 (젠부) 나의 보물들이 (전부) そこに詰まっているから! 소코니츠맛떼이루카라! 거기에 가득 쌓였으니까! 頑張ろー! せいいっぱい! 頑張ろー! めいいっぱい! 간바로ー! 세이잇빠이! 간바로ー! 메이잇빠이! 힘내자ー! 있는 힘껏! 힘내자ー! 있는 한껏! 頑張ろー! せいいっぱい! 頑張ろー! めいいっぱい! 간바로ー! 세이잇빠이! 간바로ー! 메이잇빠이! 힘내자ー! 있는 힘껏! 힘내자ー! 있는 한껏! 大好きな本の主人公だったら みんなみたいになれるのに… 다이스키나혼노슈진코우닷따라 민나미타이니나레루노니… 좋아하는 책의 주인공이었다면 모두랑 똑같이 될 수 있는데… 大丈夫 大丈夫 言い聞かせて 다이죠우부 다이죠우부 이이키카세테 괜찮아 괜찮아 타일러주고서 わたしはわたしだもん 頑張ろー! 와타시와와타시다몽 간바로ー! 나는 나인걸 힘내자ー! せいいっぱい! (もう) めいいっぱい! 세이잇빠이! (모우) 메이잇빠이! 있는 힘껏! (이제) 있는 한껏! もっと ちゃんとそつなく こなしたい (パッと) 못또 챤토소츠나쿠 코나시타이 (팟또) 좀더 제대로 실수 없이 해내고 싶어 (퍼뜩) いつの日にか みんなみたいに (きっと) 이츠노히니카 민나미타이니 (킷또) 언젠가 훗날엔 모두랑 똑같이 (꼬옥) だから今日も居残り練習 (ファイト) 다카라쿄우모이노코리렌슈우 (화이토) 그러니까 오늘도 남아서 연습 (파이팅) 後悔だけは したくないから (絶対) 코우카이다케와 시타쿠나이카라 (젯따이) 후회 만큼은 하고 싶지 않으니까 (절대) どんなに遠くたって (ずっと) 돈나니토오쿠탓떼 (즛또) 아무리 멀다고 해도 (쭈욱) 追いかける 追いつくまで! 오이카케루 오이츠쿠마데! 따라갈 거야 따라잡을 때까지! わたしの主人公は (ずっと) 와타시노슈진코우와 (즛또) 나의 주인공은 (쭈욱) これからもわたしだから! 코레카라모와타시다카라! 앞으로도 나니까! Go!Go! Let's Go! ジャンプ!ジャンプ! もっと! Go!Go! Let's Go! 쟌푸!쟌푸! 못또! Go!Go! Let's Go! 점프!점프! 좀더! Go!Go! Let's Go! ジャンプ!ジャンプ! もっと! Go!Go! Let's Go! 쟌푸!쟌푸! 못또! Go!Go! Let's Go! 점프!점프! 좀더! |
4. 관련문서
[1] 맞춤법에는 맞지 않는 표현으로, 본래는 めいっぱい(目一杯)로 적는 것이 옳으나 발음이 거의 같고 뜻에 어울리는 필사적인 어감 때문에 틀린 표기임에도 흔히 사용되는 표기 중 하나이다. 이 곡의 가사에서는 앞절의 せいいっぱい(精一杯)와 맞추기 위해 일부러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