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21:09:04

빠짐표

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달랑베르 연산자에 대한 내용은 나블라 문서
번 문단을
달랑베르시안 부분을
, 문자가 깨졌을 때 일부 운영체제에서 나오는 오류 문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달랑베르 연산자:
나블라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달랑베르시안 부분
*
문자가 깨졌을 때 일부 운영체제에서 나오는 오류 문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서가 있는 문장 부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배경 음영: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동아시아 (CJK)
문장 부호
겹낫표
『 』
홑낫표
「 」
모점
}}}}}}}}}


1. 개요2. 사용

1. 개요


빠짐표(빠짐)는 옛 비문이나 문헌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쓰거나,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쓰는 문장 부호이다.

2. 사용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1. 옛 비문이나 문헌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大師爲法主□□賴之大□薦
1.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내용을 알 수 없거나 명확하지 않을 때 글자의 수(수효) 만큼 표시한다.[1]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미지수의 용도로 쓰인다. 예: 어떤 수를 □라 하거나 □+6=9 등의 수식이 있다.
[1] □은 저속한 내용을 검열하는 숨김표 용도로도 쓰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