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21:04:27

Weirdhost


<colbgcolor=#f2f2f2,#2d2f34> Weirdhost
위어드호스트
파일:위어드호스트 로고.pn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대표자 Tao Yunhai
운영 총괄자 NUKE[1]
설립 2023년 8월 25일([age(2023-08-25)]주년)[2]
언어 한국어
회원가입 필수[3]
서버 수 1948 서버[4][기준]
홈페이지 홈페이지 서버 관리 패널 Docs 서포트 서버

1. 개요2. 제공 서비스3. 서버 운영
3.1. 플랜 및 사양
3.1.1. 무료 플랜3.1.2. PLUS3.1.3. MAX
3.2. 서버3.3. 서버 설치 (등록)
3.3.1. 마인크래프트 서버3.3.2. 봇 서버
3.4. 서버 SFTP 사용
4. 문제점
4.1. 서버 생성 문제4.2. DDoS 완화 문제4.3. 보안 문제4.4. 서버 복구 문제
5. 기타

1. 개요

위어드호스트는 2023년 8월 25일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호스팅사이트다. 마인크래프트[6][7], Python, Node.js 서버 호스팅을 제공한다.

2. 제공 서비스


무료플랜과 유료플랜(위어드호스트 플러스) 두개의 플랜이 있다. 유료플랜은 높은 사양, 자동백업, 1:1 서버 지원 등 무료플랜에 비해 훨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8]

3. 서버 운영

무료 플랜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1개, 봇 서버[9] 1개로 총 두개의 무료서버를 제공한다.

서버는 정기적으로 갱신해주어야 한다.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24시간, 봇 서버는 7일 간격으로 갱신해주어야 하며, 갱신을 하지않을 경우 서버는 정지된다.

또한, 마인크래프트 서버의 경우는 1주일 간 갱신하지 않으면 서버가 삭제되고, 봇 서버의 경우는 2주일 간 갱신하지 않으면 서버가 삭제된다.

하지만 갱신만 잘 해주면 문제 없고, 서버를 백업 할 때 백업파일 잠금을 설정 하면, 서버가 삭제되도 백업파일은 남는다.

서버를 새로 생성할 때는 약 2분동안의 서버 파일 설치시간이 있다.

3.1. 플랜 및 사양

각 플랜의 사양 및 가격이다. 해당 내용은 1월 31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변경되었을 수 있으니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유료 서버는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PLUS 플랜[10] 과 MAX 플랜[11]이다.

가격은 월정액 기준이다. [12]

3.1.1. 무료 플랜

[무료 플랜]
마인크래프트 서버 봇 서버
서버 1개 1개
백업 1개 1개
포트 1개 1개
CPU 400% 200%
4GB 1GB
용량 15GB 10GB
가격 Free Free

3.1.2. PLUS

PLUS 플랜에서는 Wrdefence+ 방어와 자동백업이 지원된다.

[PLUS]
Iron Silver Gold
서버 1개 1개 1개
백업 1개 1개 1개
포트 2개 2개 2개
CPU 400% 600% 800%
4GB 6GB 8GB
용량 25GB 50GB 100GB
가격 ₩2990 ₩5990 ₩8990

3.1.3. MAX

MAX 플랜에서도 Wrdefence+ 방어와 자동백업이 지원된다.

[MAX]
Iron Silver Gold Diamond of the Max
서버 2개 3개 6개 12개 32개
백업 1개 1개 1개 1개
포트 2개 6개 8개 18개 48개
CPU 400% 600% 800% 1600% 3200%
4GB 6GB 8GB 16GB 32GB
용량 25GB 50GB 100GB 200GB 500GB
데이터베이스[13] 1개 3개 4개 8개 16개
추가 가능 유저[14] 2명 3명 6명 12명 ??명[15]
가격 ₩3990 ₩6990 ₩9990 ₩18900 ₩36900

3.2. 서버

서버는 무료서버 4개[16], 유료서버 1개[17]가 운영되고 있다.[기준]
자신의 서버가 무엇인지는 서버관리패널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해당 Docs 문서 참고

3.3. 서버 설치 (등록)

3.3.1. 마인크래프트 서버

다음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설치에 관한 내용이다.

1. 로그인을 한 후 서버 패널에 들어간다.[19]

2. 무료 마크 서버 신청을 클릭한 후 원하는 플랫폼를 선택한 후 서버 받기를 누른다.[20] 그러면 서버 설치가 진행되는데, 설치가 시작되고 잠시후에 새로고침하면 설치 된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3. 콘솔에서 start를 눌러 서버를 실행한다. [21]

3.3.2. 봇 서버

다음은 봇 서버 설치에 관한 내용이다.

1. 로그인을 한 후 서버 패널에 들어간다.[22]

2. 무료 봇 서버 신청을 클릭한 후 원하는 언어를 선택한 후 서버 받기를 누른다.[23] 그러면 서버 설치가 진행되는데, 설치가 시작되고 잠시후에 새로고침하면 설치 된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3. 파일 관리에 들어가 app.py (node.js는 index.js) 파일을 생성하여 봇 코드를 작성한 후 저장한다.

4. 라이브러리 설치는 서버 시작에 있는 Additional Python packages (Node.js는 Additional Node.js packages) 에 원하는 라이브러리의 이름을 추가하면 된다. 이름은 띄어쓰기로 구분한다.

3.4. 서버 SFTP 사용

다른 호스팅 사이트처럼 위어드 호스트 역시 SFTP 사용이 가능하다.


1. S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24]

2. S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패널에 SFTP 서버의 호스트(Host)와 포트(Port)를 입력한다. 각 서버의 호스트와 포트는 여기에서 확인 가능하다.

3. 사용자명(Username) 에는 위어드호스트 사용자명을 입력하면 된다 (패널 > 설정 > SFTP 정보 > Username)

4. 비밀번호(Password) 는 위어드호스트 계정 비밀번호와 같다.[25][26]

5. 마지막으로 연결(Connect)를 눌러서 서버에 연결하면 된다.[27]

4. 문제점

4.1. 서버 생성 문제

무료 서버 이용자가 많아 서버를 생성하기 굉장히 힘들다 [28]

4.2. DDoS 완화 문제

WRDefence/WRDefence+는 GeoDNS 기능을 사용하여 국내 트래픽은 Lightnode와 Vultr로 라우팅하며 해외 트래픽은 BuyVM의 DDoS 완화 VPS로 라우팅하여 DDoS 공격을 완화하는 것으로 보인다.[29] 다만 이는 해외 클라우드사의 DDoS 완화 서비스를 재판매하는 것이니, DDoS 완화가 제한적일 수 있다. 즉, 국내 Vultr, Lightnode 클라우드로 직접 DDoS 공격이 유입될 경우 BuyVM의 DDoS 완화를 이용할 수 없기에 서비스 장애가 발생할수 있으며, 공격자가 국내에 있을 경우 Vultr, Lightnode로 라우팅되기에 이쪽으로 공격을 할 가능성이 높다. 한마디로 제대로된 DDoS 완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추가로 WRDefence/Wrdefence+는 Weirdhost의 모든 서비스[30]에 기본적용되고 서로 같은 인프라를 공유하기에 WRDefence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모든 Weirdhos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4.3. 보안 문제

위어드호스트 마인크래프트 서버의 주소는 기본적으로 "join.wrd.kr:[포트]"다. 고정적인 주소에 포트만 바뀐게 주소가 되다보니, 서버 주인이나 서버 유저가 아닌 다른 유저들이 포트 주소를 랜덤으로 작성해 들어가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이 주소가 아닌 서브도메인을 이용하는데, 이쯤에서 의문이 든다. "서브도메인을 사용하고 기본 도메인을 비활성화 하면 되는거 아닌가?" 하지만 위어드 호스트에서는 서브도메인을 사용할 순 있어도, 기존 도메인을 비활성화시킬 수 없다.[31]

4.4. 서버 복구 문제

다른 호스팅 플랫폼에 비해서 서버에 오류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잦고 한번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복구가 오래걸린다.

5. 기타

서버상태 옆에 있는 "join.wrd.kr:00000"를 서버주소 칸에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32]

플러그인은 파일 관리에 들어간 다음 plugins (모드는 mods) 폴더에 플러그인이나 모드 파일을 업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33]
[1] 디스코드 닉네임이며 업체 소속 정직원인지는 불명이다.[2] 통신판매업자 확인[3] 디스코드를 통해서도 가입 및 로그인이 가능하다.[4] 생성 된 서버의 개수[기준] 2025년 4월 1일[6] 자바에디션만 지원한다[7] 2025년 1월 31일을 기준으로 포지(forge), 패브릭(fabric), 페이퍼(papermc), 퍼퍼(purpur), 폴리아(folia) 서버를 지원한다.[8] 마인크래프트 서버 기준[9] Python, Node.js 서버를 봇 서버라고 분류한다.[10] 마인크래프트 유료 서버[11] 봇 유료 서버[12] 결제 할 때 월정액으로밖에 못 한다. [13] 위어드호스트에서 자체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14] 서버에 액세스하여 같이 협업할 유저를 추가할 수 있다.[15] 공식 사이트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 ??로 기재.[16] krf2, krf3, krf4, krf6[17] krp5[기준] [19] 로그인을 하면 자동으로 패널에 리다이렉트된다.[20] 가끔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는데 그럴때는 나중에 다시 시도하면 된다.[21] 처음에 서버를 실행해야 파일들이 생성된다[22] 로그인을 하면 자동으로 패널에 리다이렉트된다.[23] 가끔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는데 그럴때는 나중에 다시 시도하면 된다.[24] FileZilla 사용을 추천[25] 디스코드로 로그인 한 경우, 기본 비밀번호는 가입 시 사용한 디스코드 계정의 사용자 ID이다.[26] 디스코드 사용자 ID는 디스코드에 들어가 설정 > 고급에서 개발자 모드를 킨 후, 설정창을 닫고 아래에 있는 내 프로필을 누르면 사용자 ID 복사가 가능하다.[27] 만약 연결이 안 될 경우에는 각 입력란에 자신이 제대로 입력했는지 확인한다. 만약 문제가 없으면 공식 디스코드 서버의 점검공지 채널을 확인해서 서버가 점검중인지 확인해본다. 만약 서버가 점검중인데도 연결이 안되는것이라면 디스코드를 통해서 문의하면 된다.[28] 서버를 초기화 해야한다면 되도록 서버를 삭제하지 말고 재설치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하자.[29] 봇 서버는 단일 라우팅이라 국내 트래픽도 BuyVM으로 라우팅된다.WRDefence+는 여기에 AWS를 추가해준다.[30] 유료서버 포함[31] 최선의 방법은 화이트리스트 설정을 활성화 한 다음 같이 플레이할 유저를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하는것이다. 이렇게 하면 자신이 추가한 유저만 플레이할 수 있다.[32] 나만의 서버주소를 만들고싶다면 도메인관리에 들어가 서브도메인을 생성해 사용하면 된다.[33] 단, 모드폴더는 포지같은 플랫폼에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