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7 16:29:13

Weakest Link

파일:external/33.media.tumblr.com/tumblr_inline_ni5phmBTyt1s2ka6m.jpg

1. 개요2. 공통 형식
2.1. 영국판(오리지널) 세부 형식
3. 기타

1. 개요

영국의 대중적인 퀴즈쇼. 프로그램 이름 "Weakest Link(가장 약한 고리)"는 참가자들이 하나의 사슬(Chain)처럼 연결되어 상금을 확보하는 게임 형태에서 비롯된 것으로, 높은 곳을 향해 올라가던 줄이 가장 약한 고리에서 끊어지는 것처럼, 참가자 중 한 명이라도 잘못하면 상금을 많이 확보하기 어려운 형식이다.

2000년 8월 4일, BBC Two에서 첫 방송을 시작하였고, 2001년 4월 16일에 NBC에서 미국 버전 첫 방송을 시작하였다.

2. 공통 형식

참가자들이 오른쪽 방향으로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문제를 풀며, 라운드마다 정해진 시간 안에 '최대 적립금'(Target)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형식이다. 문제를 맞추면 '상금 사슬'(Chain)을 연결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맞춰서 상금 사슬을 길게 연결할 수록 문제당 획득 상금이 많아진다.[1] 그러나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지금까지 연결되었던 상금 사슬이 끊겨 초기화된다. 하지만 문제가 출제되기 전에 "Bank(적립)"라고 말하면 그때까지 연결된 상금 사슬 금액만큼을 '적립금'(Banked Money)으로 확보하는 대신 상금 사슬이 초기화된다. 제한 시간이 경과되거나 최대 적립금을 확보할 경우 라운드가 종료되며, 제한 시간 경과 시 적립되지 못한 상금 사슬은 무효 처리되고 오직 "적립"을 통해 확보된 적립금만 누적된다. 후술할 통계 산출을 위해, 사회자가 문제를 다 말하기 전에 제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문제는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며, 문제를 끝까지 다 말하고 제한 시간이 경과되면 오답 처리되고 해당 문제의 정답을 알려준다.

라운드가 종료되면, 다음 라운드를 시작하기 전에 참가자들이 '탈락자'(Weakest Link)을 투표한다. 투표와는 별개로, 라운드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강했던 고리(최강자)'(Statistically Strongest Link)[2]와 '가장 약했던 고리(최약자)'(Statistically Weakest Link)[3]를 참가자들이 투표를 하는 과정이 송출될 때 내레이터가 시청자에게 알려주나, 참가자들에게는 특별한 상황[4]이 아니면 다음 라운드가 시작되기 직전까지 따로 알려주지 않는다. 통계적인 최강자와 최약자의 선정 결과와는 전혀 상관 없이, 참가자의 다수결로 가장 많이 득표한 참가자가 탈락자로 결정된다. 최다 득표자가 여러 명일 경우, 최강자는 탈락에서 면제되며, 그럼에도 동점 상황이 유지될 경우 최강자가 최다 득표자 중 한 명을 탈락자로 결정한다.

다음 라운드를 시작할 때 사회자가 최강자[5]를 알려주며, 최강자(두 번째 강자)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 제한 시간이 이전 라운드보다 (대부분 10초) 줄어든 상태로 진행한다. 두 명이 남을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하며, '두 명이 남은 라운드(2명 라운드)'(≠ 마지막 라운드)에서는 제한시간이 더 많이 줄어든 상태로 진행하지만 적립금 및 최대 적립금이 2~3배로 증가하고, 투표를 진행하지 않는다. '마지막 라운드'에서는 두 명에게 각각 다섯 개의 문제를 주며, 축구의 승부차기처럼 대결해서 많이 맞힌 사람이 우승자가 되면서 확보한 적립금을 모두 가져간다. 마지막 라운드에서 문제를 풀 순서는 최강자가 선택한다.

2.1. 영국판(오리지널) 세부 형식

  • 참가자: 9명
    • 1라운드 시작 참가자: 공개한 이름이 사전적으로 가장 빠른 참가자(ABC 순)
    • 2명 라운드: 8라운드
  • 제한 시간
    • 1라운드: 180초
      • 7라운드까지 라운드마다 10초 감소
    • 8라운드: 90초
  • 상금 사슬 (파운드)
    • 일반: 20 - 50 - 100 - 200 - 300 - 450 - 600 - 800 - 1,000
    • 프라임타임: 100 - 250 - 500 - 1,000 - 1,500 - 2,250 - 3,000 - 4,000 - 5,000[5x]
  • 최대 적립금
    • 일반: 라운드별 1,000 파운드, 8라운드 3,000 파운드 (총 10,000 파운드)
    • 프라임타임[7]: 라운드별 5,000 파운드, 8라운드 15,000 파운드 (총 50,000 파운드)[5x]

3. 기타

참고로 사회자인 앤 로빈슨(Anne Robinson)이 매우 무심한듯 시크한 냉정한 마이페이스인 것으로 유명하다. 그 때문에 연출되는 프로그램의 재미도 상당한 편. 예를 들어 농담을 표정 하나 안 변하고 해서 출연자가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던가, 출연자가 질문에 대답하면 비꼬고, 특유의 말투로 라운드 종료 후에 "누가 가장 뚱뚱하고 쓸모 없는 사람이었죠?" 등 긴박한 프로그램의 분위기에 어울린다.

그밖에 탈락이 결정된 출연자에게 "(Name), You are the Weakest Link. Goodbye.((참가자 이름), 당신이 가장 약한 연결고리(탈락자)입니다. 안녕히 가십쇼.)"하고 차갑게 말하는 것, 퀴즈 쇼 종료 후에 귀찮다는 듯이 "Join us again for the Weakest Link.[9] Goodbye.(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안녕히 가십쇼. )" 하는 말은 이미 시리즈의 캐치프레이즈. 아쉽게도 2012년 12월 30일 종영했지만 2021년 12월 18일부터 새로운 사회자가 진행하는 새로운 시즌이 시작되었다.

유명한 쇼인데다, 같은 방송사이기 때문에 닥터후에서도 패러디 되는데, 여기서 진행은 안드로이드가 맡아 "사회자가 안드로이드(Android)네! 그러니까 정말... 드로이드(Anne Droid)네."하는 일종의 배우 개그를 선보였다. 방송국은 위성방송 5. 근데 여기선 탈락하면 진짜 말살. 읭? 자세한 내막은 위성방송 5 문서 참조.

닥터후에서 나온 적이 있어서인지 닥터후 출연진들이 나와서 문제를 푼 적도 있다. 그리고 초반부에 패러디로 나온 안드로이드가 나왔다. 그런데 나온지 15초도 안돼서 앤 로빈슨이 안드로이드에게 연결된 전선을 뽑아서 안드로이드를 멈춘다. 그리고 10대 닥터역을 맡은 데이비드 테넌트가 자기 이름을 말하는데 그 뒤에 10대 닥터가 자기 소개하는 대사를 그대로 말한다.

2001년에 방영된 KBS의 퀴즈정글이 이 프로그램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었으며, 그 때문에 2001년 8월 5일 방영분부터는 4인 1조 형식으로 개편되었다.


[1] 가장 빠르게 최대 적립금을 확보할 수 있는 필요한 최소 문제 수는, 대부분 1라운드 참가자 수만큼이다.[2] 누가 머뭇거리지 않고 문제를 잘 맞혔는가, 누가 가장 많은 적립금을 확보했는가 등을 고려한다.[3] 누가 문제를 자주 틀렸는가, 누가 길게 연결된 상금 사슬을 끊어버렸는가(오답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시점에 "적립"하여 비효율적으로 확보한 경우 포함), 누가 시간을 많이 허비했는가 등을 고려한다.[4] 최다 득표자가 여러 명 발생하여 최강자를 공개해야 할 때, 투표 과정이 확정된 상황에서 참가자와의 대화에서 최강자/최약자를 언급할만한 상황일 때 등이 있으며, 사회자(앤 로빈슨 등)가 알려준다.[5] 최강자가 투표에 의해 탈락자로 선정되어 다음 라운드에 없는 경우, "두 번째로 강했던 고리(두 번째 강자)"[5x] 일반 회차의 5배[7] 대부분의 프라임타임 회차는 '닥터후' 등 특별 초대(유명인 등)로 진행하며, 우승 상금 일부 또는 전부는 우승자의 이름으로 자선 단체에 기부된다.[5x] [9] 이때 살짝 윙크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