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6:35:33

The Ballad of Hamantha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잭 스타우버/음악]]{{{#!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black>
파일:micropop4.jpg
{{{#ffc856 {{{+5 The Ballad of Hamantha / Today Today / Al Dente}}}}}}
트랙리스트
}}}
2018. 11. 03 발매
트랙 곡명 길이 비고
1 The Ballad of Hamantha 5:53 #
2 Today Today 2:59 #
3 Al Dente 3:20 #
The Ballad of Hamantha
하만다의 발라드
<colbgcolor=black>파일:micropop4.jpg
아티스트 잭 스타우버
앨범 The Ballad of Hamantha / Today Today / Al Dente
발매일 2018년 5월 8일 (원본)
2018년 11월 5일(풀버전)
<colcolor=#c38f6d> 길이 0:40 (원본)
5:53(풀버전)
F major
레이블 Plopscotch Records
1. 개요2. 상세3. 영상4. 가사5. 해석6. 여담

1. 개요

잭 스타우버의 노래

2. 상세


2018년 5월 8일 본래 하만다(Hamantha)라는 이름의 뮤직비디오로 처음 공개되었으며, 이후 9월 30일에 패트리온에서만 볼 수 있는 풀버전이 나왔다가 얼마 안가 2018년 11월 5일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잭 스타우버의 마이크로 팝 The Ballad of Hamantha / Today Today / Al Dente에 수록되었다.

3. 영상


4.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gcolor=#000>
파일:micropop4.jpg
}}}}}}
Life's extension lottery
인생은 로또같은 거야
Kind to some, but not to you
누군가에게는 상냥하지만 너에게는 아니지
Born with a rare and sad disease
희귀하고 비통한 질병을 갖고 태어나
She grew a ham where her head should be
소녀의 머리가 있었어야 할 곳에는 고기가 자랐지


Flowing hair she was a cutie-pie
흐르는 머릿결, 소녀는 귀염둥이였어
Meaty face and a lovely eye
고기 같은 머리와 사랑스러운 눈
Her dream was to be a famous star
유명한 스타가 되는 꿈이 있었지
But at the rate she was goin’, she wasn't going fa-a-ar
하지만 그런 식으로는 얼마 갈 수 없었어


Hamantha, Hamantha
하만다, 하만다
You were impossible to ignore
널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었어
Hamantha, Hamantha
하만다, 하만다
So greedy we wanted more
우린 탐욕스럽게도 더 원했어


● ● ●

(Oh-no!)
(안돼!)


Her father was a simple man
소녀의 아버지는 단순한 사람이었어
He wanted to help "In any way that I can"
도움을 청했지, "할 수 있는 거라면 뭐든지 할게요!"
Home from school we watched his daughter cry
학교에서 집으로 가던 중 아버지는 딸이 우는 걸 봤어
In the yard, he cursed God, and fired at the sky
마당에서 아버지는 신을 저주하며 하늘에 총을 쐈어


Flowing hair she was a cutie-pie
흐르는 머릿결, 소녀는 귀염둥이였어
Meaty face, and a lovely eye
고기 같은 머리와 사랑스러운 눈
Her dreams in the sky, her father felt her pain
소녀의 꿈은 하늘에 별따기였어, 아버지는 소녀의 고통을 느꼈고
And as he shot at the clouds it began to rain
구름에 대고 총을 쏘자 비처럼 쏟아져내렸어


Hamantha, Hamantha
하만다, 하만다
You were impossible to ignore
널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었어
Hamantha, Hamantha
하만다, 하만다
So greedy we wanted more
우린 탐욕스럽게도 더 원했어


Got a call from the doctor
의사에게서 전화가 걸려왔어
He had some amazing news for her
소녀를 위한 놀라운 소식이 있다더라
He just developed a cure
방금 치료법을 개발했다는 거야
If she hurried over now, he'd try it out on her
소녀가 당장 수술에 들어가겠다면 해주겠다고 했지
Burst out the door, she was beaming
문을 박차고 열자 그녀는 환하게 웃고 있었어
Among the raindrops her happy tears were streaming
빗물과 함께 행복에 찬 소녀의 눈물이 흘러내리고 있었지
Finally freed from her pain
마침내 고통에서 자유로워졌지만
But something else fell with the rain
무언가 빗방울과 함께 떨어졌어
A stray bullet shot by her father
소녀의 아버지가 발사한 총알이었지
Aimlessly nested inside her
눈 먼 총알이 몸 속을 파고들어갔어
She fell to the the sidewalk, now empty
그녀는 인도로 쓰러졌고
Of the life which once christened her body
세례받은 육체를 가졌던 소녀의 인생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


● ● ●


{{{+1 '"Nurse, she's- she's gone"'}}}
"간호사, 아이가.... 아이가 죽었어"


{{{+1 '"Oh, oh dear..."'}}}
"오... 오, 이런..."

{{{+1 '"I left a lunch, on the table,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bereaved,"'}}}
"수술대 위에 유족들을 위한 점심을 올려뒀어,"

{{{+1 '"I cooked ham, as is customary for these, dark situations""'}}}
"구운 햄이지, 이런 암울한... 상황에 쓰이는 관례라고"


{{{+1 '"Uh, doctor, what... which one is the which, which, which one is the ham that-"'}}}
"아, 선생님, 무슨... 저 중 어떤 게... 어떤 게... 어떤 게 그 고기인 거죠?"

{{{+1 '"I-I must, I must go, I must go, I must go, I'm on break"'}}}
"난... 난 가야 해... 난... 난 가야 해, 이젠 좀 쉬어야 돼"


{{{+1 '"Oh dear..."'}}}
"오, 이런"


● ● ●


Flowing hair she was a cutie-pie
흐르는 머릿결, 소녀는 귀염둥이였어
Meaty face, and a lovely eye
고기 같은 머리와 사랑스러운 눈
At her time of death the doc' said, "Time to eat!"
소녀가 죽음을 맞이했을 때 의사가 말했지, "식사 시간입니다!"
So we took a bite out of her face meat
그러고서 우린 소녀의 얼굴을 뜯어먹었어


Hamantha, Hamantha
하만다, 하만다
You were impossible to ignore (La la oh)
널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었어
Hamantha, Hamantha
하만다, 하만다
So greedy we wanted more
우린 탐욕스럽게도 더 원했어


Soaring infinitely through space
무한히 우주를 날아오르는
Hamantha's soul was graced
하만타의 영혼은 축복받았어
With a glance of our humble planet
우리의 초라한 행성의 눈길 한번에
At which she was amazed
소녀가 놀랐던 곳에서
The news of her untimely death
소녀의 때 이른 죽음의 소식은
Had spread out near and far
사방에 퍼져나갔고
And through her soul, the truth was whole
소녀의 영혼을 거쳐, 모든 게 진실이었어
The dream had crossed the bar
꿈은 돌아올 수 없는 길을 건너갔어
Hamantha had become a star
하만타는 별이 됐지
Hamantha was finally a star
마침내 스타가 된 거야
Hamantha had become a star
하만타는 별이 됐지
Hamantha was finally a star
마침내 스타가 된 거야

Written By: Jack Stauber

5. 해석

The Ballad of Hamantha는 "스타"가 되고 싶었지만 머리에 햄이 자라는 병을 가지고 태어난 하만다라는 소녀의 이야기에 대한 발라드 노래이다.

어릴때 부터 머리에 햄이 자라는 선천적인 장애를 가진 소녀 하만다를 봐오던 아버지는 하만다를 이렇게 만든 '신'을 저주하며 하늘에 총을 쏘아대는 것으로 나온다, 이후 치료제를 개발했다는 의사의 말을 듣고 찾아간 하만다는 치료를 받을 기회가 찾아오지만, 이전에 아버지가 쏜 총알에 맞아 그대로 죽어버린다. 이후 의사가 유족에 대한 예의로 햄을 구웠는데, 간호사가 그 햄과 하만다의 머리에 난 햄을 구분하지 못해 결국엔 가족들이 하만다의 머리를 씹어먹어버린다는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가장 직관적인 이야기를 담은 곡임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 숨겨진 메세지에 대한 추측은 매우 다양한 편이다. 신마저도 도와주지 않는 지체 장에인의 불행한 삶과 최후, 아버지의 과보호로 인한 자식의 고통, 장애인을 둔 부모의 고통, 자극적인 미디어에 익숙해진 대중들[1], 이기적인 의사 집단[2], 어버지가 쏜 총에 맞아 죽기 직전 자신이 치료받는 행복한 상상을 한 후 죽는 딸, 이익만을 쫒는 사람들로 인해 생기는 피해자 등등 비슷비슷 하면서도 많이 다른 해석들이 존재한다.

6. 여담

  • 평소 잭의 노래 스타일과 다르게 매우 서정적인 노래 분위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풀버전이 공개되기 전에는 특히 뮤직 비디오와 함께 코믹한 노래로 여겨졌으나, 풀버전이 공개된 이후 하만다의 어두운 스토리와 함께 잭의 놀라울 정도로 감정적이고 슬픈 노래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노래의 주인공인 하만다는 잭 스타우버의 여러 등장인물 중 가장 유명한 캐릭터가 되었다.[3]
  • 하만다(Hamantha)라는 이름은 원래 존재하는 영어 이름 사만다(Samantha)에 햄(Ham)을 결합한 말장난이며, 평소 유명인사(Famous Star)가 되고 싶었던 하만다가 결국엔 하늘의 별(Star)이 되었다는 내용 또한 언어유희적으로 수미상관을 이룬다.
  • 표기법에 맞는 한국어 표기는 '하만다'지만, 부를땐 '허맨더'에 가깝게 발음한다.

[1] 장애를 가지고 있던 하만다는 장애라는 키워드로 동정을 받았지만, 얼마안가 잊혀졌고, 이후 사망하게 되자 그제서야 사람들의 애도를 얻게 되며 유명인사가 되었다는 사회 풍자적인 해석이다.[2] cure이 치료제라는 뜻 외에도 '훈제'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로 햄을 먹기 위해 하만다를 불렀다는 다소 섬뜩한 해석.[3] 때문인지 팬아트 갯수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