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01:00:49

Tarta Bird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arten of Banban/등장인물
GARTEN OF BANBAN
Garten of Banban마스코트
메인 마스코트
파일:Banban_Monster.png 파일:Banbaleena_Monster.png 파일:Jumbo_Josh_Monster_GoBB_II.png 파일:Opila_Bird_Monster_GoBB_II.png
BANBAN BANBALEENA JUMBO JOSH '''[[Opila Bird|OPILA]]'''
파일:Captain_Fiddles_Monster.png 파일:Stinger_Flynn_Monster.png 파일:Slow_Seline_Monster.png 파일:Sheriff_Toadster_Monster.png
CAPTAIN FIDDLES STINGER FLYNN '''[[Slow Seline|SLOW]]''' SHERIFF TOADSTER
파일:Nabnab_Monster.png 파일:Nabnaleena_Monster.png 파일:Queen_Bouncelia_Monster.png
NABNAB NABNALEENA QUEEN BOUNCELIA
지하 가족 마스코트
ZOLPHIUS
MATAKI TWINS
KITTYSAURUS
SYRINGEON SIR DADADOO† BRUSHISTA
FLUMBO
기타 마스코트
'''[[Tarta Bird|TARTA]]''' '''THE''' MR. KABOB MAN




타르타 버드
Tarta Bird
파일:Tarta_Bird.png
[나우티필드]
파일:Naughtified_Tarta_Bird.png
"Protect your loved ones! They love you back the same!"
"사랑하는 사람들을 보호해! 그들도 너를 똑같이 사랑해줄거야!"
성별 남성
등장 챕터 3(반동인물 → 조력자)
4(격리 → 탈출)
6(세뇌)
7(적 → 원래 상태로 돌아옴)
배우자
(설정상)
오필라 버드
모티브 대홍학[1]
테마곡 Family Feud

1. 개요2. 작중 행적
2.1. 챕터 1 & 챕터 22.2. 챕터 32.3. 챕터 42.4. 챕터 62.5. 챕터 7
3. 아기 오필라/타르타 버드들4. 다른 마스코트들과의 관계5. 기타

[clearfix]

1. 개요

챕터 3에 등장하는 Garten of Banban의 마스코트.

2. 작중 행적

2.1. 챕터 1 & 챕터 2

챕터 1과 챕터 2의 치트를 쓰지 않고는 갈 수 없는 공간에 타르타 버드의 모델링이 숨겨져있다. 해당 영상 참조.
이때의 모델링에선 눈이 충혈됐고 몸에 물감과 손바닥 자국이 묻어있는데, 이는 오필라 버드의 모델링에 색만 바꿨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필라 버드의 자식들 중 1마리의 색이 타르타 버드다.

2.2. 챕터 3

GARTEN OF BANBAN
Garten of Banban의 챕터별 중간 보스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 납납 / 캡틴 피들스 / 오필라 버드 / 슬로우 셀린 납날리나 / 점보 조쉬 / 타마타키&차마타키 / 타르타 버드
CHAPTER 4 CHAPTER 5(외전) CHAPTER 6
타마타키&차마타키 / 납납 미정 나니 / 리틀빅
CHAPTER 7
시링전 / 세뇌된 납날리나 / 세뇌된 비터기글 / 세뇌된 반발리나


최후반부에서 어느 잠긴 문 앞에 서 있는 아기 오필라 버드의 왼쪽 위 통로에서 주인공을 내려다보는데, 맨몸으로 아기 오필라 버드에게 접근하면 뛰어내려 주인공을 죽인다.[2][3]

미스터 카봅맨을 밀어서 소음을 발생시키면 아기 오필라 버드를 잡을 수 있는데, 그 상태에서 단상 위에 올라 대기하고 있다가 통로에서 내려온 타르타 버드의 등으로 점프하여 올라타면 그를 길들여서 타고 다닐 수 있다.[4]

직후 악마 형태가 된 반반을 피해 함께 달아나 높은 층계참 위까지 가서 주인공을 내려주게 되는데, 그곳에서 반반과 점보 조쉬의 싸움을 말리려던 스팅어 플린이 오히려 내팽겨쳐지며 발생한 충격으로 추락하는 걸로 끝. 배우자인 오필라 버드가 그 광경을 보곤 주인공을 잠시 보더니 그대로 뒤따라 뛰어 내린다.

2.3. 챕터 4

This is the third entry to the Toadster Archives.
Criminals numbers three and four, the birds, were captured by being lured in their current holding cells.
Their sudden and unannounced appearance within the walls of the kingdom took me by surprise, but they are now safely contained.
They seem to be very territorial as they did not exhibit any hostile behavior as long as I kept my distance from their cell.
It also seemed that they were frantically looking for something, although I am not sure what exactly.
Since containment, they have remained completely still. I think they might be trying to trick me into getting in to check on them.
I’m not falling for that. More updates soon.
이것은 "토드스터 아카이브"의 세 번째 항목입니다.
범죄자 3호와 4호, 새들은 현재의 감금 감방에서 유인하여 포획되었습니다.
그들이 왕국 벽 안으로 갑자기 나타났을 때 나는 깜짝 놀랐지만, 이제 그들은 안전하게 갇혀있습니다.
그들은 매우 영토성이며, 감방에서 떨어져 있을 때는 어떤 적대적인 행동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또한 그들은 무언가를 절망적으로 찾고 있는 것 같았지만, 정확히 무엇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갇힌 상태로 지켜보다 그들은 완전히 가만히 있었습니다
나는 그들의 감방에서 떨어져 그들을 확인하러 가는 데까지는 그럴 의도가 없습니다.
나는 그런 덫에 걸리지 않을 겁니다. 더 많은 업데이트가 곧 있을 겁니다.
토드스터의 아카이브 세 번째
토드스터 보안관에게 잡혀 배우자인 오필라 버드와 갇혀있는 모습이 끝. 주인공을 보는 오필라 버드와 달리 목을 접으며 잠을 청하고 있다. 녹음된 토드스터의 말로는 무언가를 찾고 있다고.[5]

2.4. 챕터 6

최후반부에서 일부 세뇌된 마스코드들 무리 중에서 배우자인 오필라 버드와 함께 다다두 경에게 세뇌 당한 모습으로 나온다.

2.5. 챕터 7

다다두 경에게 세뇌된 채로 등장. 작중 배우자인 오필라 버드와 함께 자기를 닮은 소품 안에 숨어있다가 나타나서는 주인공을 습격한다. 이후 영화관 입구가 닫혀서 출연 없는 걸로 보였으나 점보 조쉬와의 전투에서 재등장한다 역시나 체격 차이로 인해 순식간에 나가 떨어진다. 이후 엔딩 전에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 뒤 배우자인 오필라 버드와 같이 격리 된 곳에서 목을 접고 자고 있다.

3. 아기 오필라/타르타 버드들

파일:귀여운 타르타와 오필라의...아기.webp
챕터 2 중반에 등장하는 오필라와 타르타 버드의 자식들로 병아리 소리를 내며, 생김새도 귀여운 편이다.

반반과 마찬가지로 주인공에게 그나마 호의적이여서 잡혀도 공격하지 않고 둥지에 내려 놓으면 얌전히 있는다.

6마리 중 1마리만 붉은 부리에 청록색을 띄고있다.

챕터 3 후반부에 이들 중 한 마리가 모습을 드러내는데, 어느 잠긴 문 앞에서 타르타 버드와 성체 오필라 버드의 비호 아래 가만히 서 있다.

주인공이 타르타 버드를 길들이고 나서 아기는 성체 오필라 버드의 등 위에 태워지게 되는데, 이후 함께 폭주하는 반반을 피해 높은 층계참까지 도망치게 된다. 다른 마스코트들의 싸움의 충격으로 인해 층계참 아래로 추락한 타르타 버드와 그를 따라간 성체 오필라 버드를 뒤로 하고 주인공과 단 둘이서 승강기를 타고 지하로 내려가는 것이 챕터 3 엔딩. 자신의 부모를 구하기 위해 주인공을 따라간 것으로 보인다.
파일:이 세계에서 가장 하찮은 내가 세계관 최강자라고?.png
챕터 4에는 주인공을 돕는 조력자로 활약하다 막판에 기바늄 통에 빠져버려서 기괴한 모습으로 변해 키티사우루스를 제압한다.뭐야 내 아기새 돌려줘요 잘가라 나의 아기 새이후 챕터 6에서 재등장하며 주인공을 공격하다 주인공의 함정으로 인해 폭발로 기절시키고 이후 다시 일어나서 공격하려 했으나 타이밍에 맞춰 벽으로 누른다. 기바늄이 빠져나가선지 원래 모습으로 돌아왔다. 이후 어디론가 가버린다.

4. 다른 마스코트들과의 관계

  • 오필라 버드
    사실상 자신의 배우자로, 설정상으로만 연인이고 현실에서는 서로에게 아무 관심도 없는 반반과 반발리나와는 달리 이쪽은 현실에서도 두 부부끼리의 금슬이 상당히 좋은지 챕터 3 최후반부에서 점보 조쉬가 스팅어 플린을 넘어뜨리면서 생긴 반동으로 인해 타르타 버드가 층계참에서 떨어지자마자 오필라 버드가 자신의 아이도 뒷전으로 한 채 자기도 층계참에서 뛰어내렸을 정도다.
    • 베이비 오필라/타르타 버드들
      자신이 꼭 소중하게 지켜야 할 자식들이다.
  • 점보 조쉬
    사실상 공공의 적인 만큼 이쪽도 그리 좋은 사이는 아닐 듯하다.
  • 비터기글
    자신의 자식이나 다름없는 리틀 빅을 괴이한 모습으로 만든 원수라 다름없는 존재로 사이가 좋을리가 없다. 이후 챕터 7에서 사망했어 사실상 상황종료.

5. 기타

오필라와는 부부 관계로 보이며 오필라와 마찬가지로 부성애가 강하며 아이들에게 친절하고 어른들에게 적대적으로 보인다.

오필라와는 달리 눈이 파란색으로 충혈 되어있다.
아내 오필라 버드와 다르게 단체 벽화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반반&반발리나, 납납&납날리나가 단체 벽화에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1] 오필라 버드와 마찬가지로 닭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간혹 있다.[2] 이를 통해 아기 오필라, 아기 타르타는 타르타 버드와 오필라 버드의 아기임을 알 수 있다.[3] 아기 왼쪽으로 가면 오른쪽에 있던 오필라 버드가, 오른쪽으로 가면 왼쪽에 있던 타르타 버드가 덮친다.[4] 이 과정에서 실패하면 게임 오버다.'[5] 정황상 주인공과 동행하던 아기 오필라 버드(밝혀진 이름은 리틀 빅)일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