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초현실주의적인 인터넷 밈의 통칭.2. 특징
스토리가 있는 초현실주의 밈의 경우, 초창기에서는 페이스북에서 유행했던 만큼 주로 밈 캐릭터들의 이미지를 합성해 만화를 만드는 형태가 많았으나, 이후 유튜브에서 만화의 내용을 영상화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내용으로 영상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스토리가 있는 초현실주의 밈은 거의 영상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밈의 캐릭터를 활용하여 스토리가 있는 영상을 만든다는 점에서는 심영물을 비롯한 합성물과 비슷한 양상을 가지지만, 존재하는 작품에 기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구나 새로운 등장인물을 추가하고 세계관을 확장할 수 있다.
3. 등장인물
주의할 점은 초현실주의 밈이라고 모두 이러한 등장인물들이 등장하는 것은 아니다.이미지에 여러 제작자들이 설정을 붙여 캐릭터성을 형성했으므로 일종의 인터넷 팬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여러 제작자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등장인물만 서술한다.
3.1. Meme Man
cool and good
Meme Man의 단골 대사.[1]
공허하고 초점 없는 눈이 특징인 3D 두상. 이미지의 원 출처는 4chan의 3DCG 보드이며 [2], 이후 이를 페이스북 유저 Special meme fresh가 발굴하며 적극적으로 밈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Meme Man의 단골 대사.[1]
주로 주인공으로 나오며, 굳이 스토리가 없는 작품이어도 꾸준히 등장하는 초현실주의 밈의 마스코트나 다름없다. Steank를 시켰는데 Vegetal이 나와 극대노하는 만화를 시작으로 Vegetal과는 원수를 지게 되었다.
초현실주의 밈이 아니더라도 Stonks 밈과 그 바리에이션들,[3][4] Panik 밈[5]의 캐릭터로서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다.
3.2. Orang
얼굴과 팔다리가 달린 오렌지 캐릭터. 이미지의 원 출처는 3D 모델링 커뮤니티인 ZBrush Central이며 레딧에서 최초로 밈으로서 사용되었다. 원래 이름은 Mr. Orange이지만 초현실주의 밈의 요소로서는 Orang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더 많다.게임 Laranjo에도 등장하며, 한국에서는 무덕이 밈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Meme Man의 숙적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몇몇 작품에서는 협력하기도 하며 Riddle of the Rocks 시리즈에서는 Meme Man의 동료가 되었다. [6]
3.3. Vegetal
did someone said NO VEGETAL?
Vegetal의 단골 대사.
얼굴과 팔다리가 달린 콩. 캐릭터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닌 종족이며 수많은 개체들이 존재한다. 채소를 싫어하는 Meme Man이 특히 두려워하는 대상이다.Vegetal의 단골 대사.
3.4. Money Face
henlo, do you require satellite dihses?
Money Face의 단골 대사.
주요 캐릭터성은 본격 안테나 접시 판매 사원. 만나는 인물마다 안테나 접시를 팔려고 시도한다.Money Face의 단골 대사.
4. 주요 제작자
5. 관련 사이트
- Know Your Meme의 Surreal Memes 문서
- Surreal Memes Wiki: 초현실주의 밈의 세계관을 다루는 FANDOM 위키이다.
- r/surrealmemes: 초현실주의 밈을 올릴 수 있는 서브레딧이다.
- TV Tropes의 Surreal Memes 페이지[7]
[1] 기분이 좋을 때 하는 말이다. 바리에이션으로 기분이 나쁠 때 하는 말인 warm and bad가 있다.[2] 후술할 Special meme fresh의 말에 따르면 당시 3DCG 보드의 마스코트였다고 한다. 원래부터 범상치 않았던 마스코트력[3] 어딘가 나사빠진 행동을 한 상황에 의도적으로 오타를 낸 짤을 붙여두는 식의 밈으로 원조인 Stonks가 범용성이 좋아 가장 많이 사용된다.[4] 일론 머스크도 사용했다. #[5] Meme Man이 안심했다가 당황하기를 반복하는 템플릿 형태의 밈이다.[6] 해당 시리즈에서 Orang은 한 종족의 명칭이며 여러 개체가 존재한다.[7] 초현실주의 밈을 활용한 합성물 시리즈 Riddle of the Rocks Saga에 대한 페이지도 따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