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Marvin's Marvelous Mechanical Museum]]{{{#!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Spring and a Storm | |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앨범 발매일 | 2005년 10월 24일 |
수록 앨범 | [[Marvin's Marvelous Mechanical Museum|]] |
작사 / 작곡 | 조 하울리 |
러닝 타임 | 4:47 |
1. 개요
<nopad> |
음원 |
2. 상세
초반엔 사운드에 잡음이 낀 상태로 잔잔하게 진행되다가 중반부터 록 장르로 진행되는 구성을 띠고 있으며, 중후반 등장하는 어린아이와 달님(Mr.Moon)이라는 인물의 대화 또한 이곡의 특징이다.곡은 반복되는 삶과 죽음의 순환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물이 올라갔다가 다시 빗방울이 되어 내려가며 생기는 봄의 폭풍처럼, 사람도 처음엔 별이였다가 사람이 되었으며, 언젠간 사람들이 존재하기도 전에 존재했던 하늘 위의 어떠한 곳으로 올라가 별이 될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극후반부 파트의 가사는 반복되는 끝없는 창조가 일어나는 빅뱅 이론을 통해 삶의 순환은 계속된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080808> | }}}}}} One time I tried to sing 언젠가 노래하려던 적이 있었지 About spring and a storm 봄과 폭풍에 대해 But you know 하지만 알잖아 How it goes 어떻게 되는지 Blah blah blah blah 블라블라블라블라 Blah blah blah blah 블라블라블라블라 Blah 블라 All along 첨 부터 Won't you please stop complaining 불평 좀 그만해 줄래? I'm playing a song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 But all the rain comes down the same 하지만 비는 다 똑같이 내려 Falling to from where it came 온 곳으로 떨어지고 On the ground then back around 땅에 떨어졌다가 다시 돌아서 Up into the sky 하늘로 가 ● ● ● I wish you could've heard the music 네가 그 음악을 들었으면 좋았을 텐데 When the clouds growled overhead 구름이 머리 위에서 으르렁거릴 때 I finally felt enthusiastic 드디어 열정을 느꼈어 I finally felt alive 드디어 살아있음을 느꼈어 Blah blah blah blah 블라블라블라블라 Blah blah blah blah 블라블라블라블라 Blah 블라 So you said 그래 넌 말했지 Would it please you to listen 듣고 싶지 않아? To thunder instead 천둥소리를 Man the rain came down that day 세상에, 그날 비가 내렸어 And it drained my soul away 그리고 내 영혼을 빨아들였지 And I wondered why I even 그리고 왜 내가 Bothered to try 시도하려고 애썼는지 궁금했어 ● ● ● {{{+1 'Mr. Moon?'}}} 달님? {{{+1 'Yeah?'}}} 응? {{{+1 'Tell us about the sky'}}} 하늘에 대해 말해 주세요 {{{+1 'The sky is deep and dark and eternally high'}}} 하늘은 깊고 어둡고 영원히 높아 {{{+1 'Many people think that's where you go when you die'}}} 많은 사람들이 죽으면 그곳으로 간다고 생각한단다 {{{+1 'Do you?'}}} 진짜로요? {{{+1 'Well I think you return to obscure'}}} 그래, 넌 희미한 곳으로 돌아갈 거야 {{{+1 'Or wherever you were'}}} 아니면 네가 있던 곳으로 {{{+1 'Before you were'}}} 네가 존재하기 전으로 {{{+1 'But I won't let you lose yourself'}}} 하지만 난 널 잃게 두지 않을 거야 {{{+1 'In the rain'}}} 비 속에서 We have so much left to sing 우리에겐 노래할 것이 너무 많아 There's a storm for every spring 매년 봄마다 폭풍이 오지 All you see and you and me 네가 보는 모든 것과 너와 나 Became from a star 별에서 왔지 ● ● ● You're a star 너는 별이야 Yes you are 그래, 너는 별이야 (Silent explosive and Silent explosive and) (조용한 폭발과 조용한 폭발과) Create until nothing is left to create and 더 이상 창조할 것이 없을 때까지 창조하고 The universe bursts with an overworked sigh then 우주는 과로한 한숨과 함께 터져나가지 Pretend to pretend to re-crown the creation and 창조의 왕관을 다시 씌우는 척하고 Sing the same thing 'til the clouds start to cry and then 구름이 울기 시작할 때까지 같은 노래를 부르고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and then 계속해서, 다시, 다시, 다시, 그리고 Over and over and 계속해서, 그리고 Never again 다시는 절대 Written By: Joe Hawley |
4. 여담
- 2004년에 만들어진 첫번째 데모는 Ryan Scott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특이점으로 가사의 절반 이상이 Blah로 가득 차 있다(...)
- 이후 만들어진 두번째 데모에선 하늘이 '사람이 존재하기도 전에 존재했던 곳'이라고 묘사한 것과 달리 '천국 또는 지옥일 곳'으로 말하고 있으며, 심지어 '빗 속에서 너가 사라지지 않게 해주겠다'는 가사와는 정 반대로 '빗 속에서 자신을 흘려보내라'는 운명론적 대사를 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