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2 08:17:33

RAT

1. Ram Air Turbine2. 를 뜻하는 영단어 rat3. Rapid Antigen Test4. 일렉트릭 기타디스토션 이펙터5. Remote Access Trojan

1. Ram Air Turbine

램 에어 터빈은 항공기에 설치되며, 유압이 떨어졌을 때, 풍력발전기처럼 바람[1]유압으로 바꿔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비상시 항공기 전력이 차단되면 비행기 하부에서 튀어나온다. 추락 직전에는 실속 상태여서 사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는 280km/h 이상에서 정상 작동한다고 한다.

램 에어 터빈의 역사는 오래되었는데, 본래는 비상용도가 아닌 전간기 일부 초창기 항공기들이나 비행선이 유압이나 전기, 혹은 연료펌프를 돌리기 위해 사용되어졌다. 이때까지만 해도 엔진에 발전기를 달거나 배터리를 쓰기엔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기 이러한 선택을 한 것이다. 대표적은 기체중 하나는 Me 163으로 이쪽의 경우는 로켓 전투기라 엔진이 없어서 계기전력을 공급하기 위에 맨 앞에 조그마한 프로펠러를 달아 발전하였다.

2차 세계대전중으로 배터리 기술과 발전기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러한 터빈은 항력을 발생시켜 사라지는 추세였으나, 항공기들이 제트엔진을 달게되고 덩치가 커지며 각종 에비오닉스 같은 전자 장비들이 늘어나며 그에 의존도가 높아지자 비상시를 대비해 RAT을 채택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것중 하나론 F-84의 터보프롭 엔진 버전인 썬더스크리치였는데, 엔진 신뢰성이 너무 떨어져서 정지하는 일이 잦자 RAT을 달아 비상상황을 대비하기 시작하였고, 이때 기점으로 RAT의 비상용도 필요성과 연구가 이루어져서 군용기 뿐안 아니라 민항기에도 장착되어 많은 생명을 살리게 된다.

RAT 설치 지점은 기종마다 다르지만, 대개 랜딩 기어 근처의 동체 하부 측면이나 주익의 플랩 트랙 페어링 내부에 붙어 있다. 동력을 잃은 항공기에 가해지는 항력을 최소화 하고자 소형기의 경우 1개, 중대형기는 2개가 양쪽에 설치된다. 터빈의 블레이드는 민항기의 경우 2엽이 주종으로 이루며, 군용기는 4엽~10엽 등으로 다양하다.
A330-300 기종의 RAT 지상 테스트

APU와 다른 점은 APU는 일종의 엔진으로, 연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연료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지만, 램 에어 터빈은 연료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APU는 객실에 에어컨(APU BLEED), 객실조명, 스피드 브레이크, 플랩, 역추진, 랜딩기어등 항공기의 모든 유압및 전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민항기의 설치된 RAT는 비행기에 꼭 필요한 항공기의 3축(롤, 피치, 요우) 및 비행계기외의 어떤 기능도 사용할 수 없다.

일부 군용기 뿐만 아니라 항공기가 아니더라도 특수한 목적을 위해 가동되는 핵심 부장품에 이 터빈이 장착된다.

초창기 M61 벌컨 건포드가 동력 공급용으로 RAT을 사용[2]하였고, 영국이 만든 핵폭탄 같은 경우 배터리보다 RAT이 신뢰성이 좋다 판단되어 레이더 고도계와 발사 회로에 동력을 공급[3]하기 위해 RAT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외에 공중 급유기의 급유 윙포드EA-18G와 같은 전자전기의 재머 포드 전방부에는 RAT가 자가 발전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달려 있다.

2. 를 뜻하는 영단어 ra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Rapid Antigen Tes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속항원키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속항원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속항원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일렉트릭 기타디스토션 이펙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AT(기타 이펙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AT(기타 이펙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AT(기타 이펙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Remote Access Trojan

원격 접속 트로이 목마. 악성 코드의 일종으로,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사용자의 기기에 침입하므로써 공격자에게 제어 권한을 넘겨준다.


[1] 정확히는 비행기 주변에 있는 공기 흐름[2] 항력 문제와 속도가 느려지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어서 대체되었다.[3] 리틀보이의 경우 배터리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