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1:36:37

Pretty blood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if top7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Pretty Blood/에피소드 가이드]]{{{#!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파일:Prettyblood_로고.webp

등장인물 · 에피소드 및 가이드

1. 개요2. 특징3. 설정4. 등장인물5. 에피소드6. 평가
6.1. 긍정적 평가6.2. 부정적 평가6.3. 해외 반응
7. 여담
7.1. 2차 창작

1. 개요

Little Deadly Thing이라는 유저가 만든 호러 플래시 애니메이션 시리즈.[1]

2. 특징

주로 주인공인 리니를 대부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귀여운 캐릭터들이 등장하고 해맑은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에서 귀여워 보이는 캐릭터들과 달리 주인공인 리니는 사이코패스적 성향과 상대를 죽이려 들거나 고문하려 드는 사디즘 성향을 띈다. 또한 본작의 주연 중 블룬, 코퍼 같은 예외[2]를 제외한 다른 등장인물들 역시 정상적이지 않다. 주로 상대방을 납치해서 고문한다든지 전투광이 나타난다거나 또는 이로 인한 PTSD로 인해 괴물처럼 변하는 등 호러에 특히 중심적이다.

모티브는 헬로키티Happy Tree Friends,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포켓몬 등 여러 가지 애니메이션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트프처럼 블랙코미디를 지향하거나, 소닉처럼 힘든 일을 극복해내는 밝은 메세지를 주는 성향은 아니라서 해트프보다 분위기가 더 어둡다.

평가 또한 이러한 면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암울하고 어두운 분위기, 절망적인 전개와 엔딩, 또한 잔인한 연출까지 겹친 탓에 고어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아니거나 혹은 선호하더라도 접근하기 어려운 작품이다. 그래서 그런지 웬만한 플래시 애니메이션 중 시청하기 힘든 편. 다만 캐릭터들의 귀여운 디자인이 호평받는 덕에 웬만하면 캐릭터 디자인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이 많다.

웹 애니로 따졌을 때 플래시를 지원하는 편이다. 현재 기술들이 발전하게 되면서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보는 사람들은 줄어드는 데에 반해 해당 시리즈는 플래시 쪽을 지양함으로써 보기 드문 쪽에 해당된다.

등장인물들이 광기 상태일 때 얼굴들이 심히 강하게 일그러진다. 이는 공포 조성과 기괴함을 부각시키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3. 설정

  • 말리노스 - 본 리니와 같은 종족들. 수인이며 단신의 종족들이다. 희귀적으로 초능력을 지니기도 하다.
  • 네크로 웜(Necro_worm) - 해당 작품에 등장하는 생물병기. 몸집은 작으나 사람에게 있어선 매우 위험한 괴물이다. 생물이나 시체를 숙주로 삼아 기생하여 다리를 제외한 팔, 머리, 배를 촉수로 꿰뚫어 몸을 얻는다. 포악한 공격성과 폭력성으로 인하여 상대를 죽이거나 다른 이를 감염시킨다. 물론 맷집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라서 총알 몇 방만 쏘면 바로 죽는다.
  • 프리티 블러드(Pretty Blood) - 작품의 제목을 상징하면서도 해당 세계관 내의 거대한 규모를 가진 조직이다. 샌디 빈에게 괴멸당했다.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tty Blood/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tty Blood/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tty Blood/등장인물#|]][[Pretty Blood/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에피소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tty Blood/에피소드 가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tty Blood/에피소드 가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tty Blood/에피소드 가이드#|]][[Pretty Blood/에피소드 가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6.1. 긍정적 평가

캐릭터들의 디자인이 가장 먼저 호평받는다. 주로 귀여운 디자인을 지양하고 눈과 신체에 많이 신경쓴 편이다. 특히 블룬, 엘루카, 코퍼는 귀여운 캐릭터 디자인도 그렇지만, 꽤 섬세한 성격 묘사와 개성 등도 지닌 덕에 본작에서 가장 이견없이 인기가 좋다. 물론 분위기도 어두운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 스토리에도 신경쓴 편이다. 그러나 작품에서 쉽게 건질만할 뿐 사실 아래 서술은 다음과 같다.

6.2. 부정적 평가

절망적인 전개와 잔인한 연출,각종 불쾌감이 드는 공포 요소가 호불호의 원인으로 발단한다. 특히 주연 인물들의 도덕성이나 인성 문제에도 호불호의 원흉이 된다. '다만 무서운 캐릭터'라는 입지에선 어느 정도 변호되는 편이다.

그러나 가장 도덕성 자체를 거세해버린 인물이자 부정적인 평가의 가장 큰 원인은 주인공인 리니다. 리니의 호평으로 주목받는 점은 디자인과 평소 웬만한 보통 사람들 앞에서의 성격이지만 실체 자체가 무섭기는 하나 부정적 입지로 인하여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또한 시리즈 몇몇이 다소 배드엔딩을 지향하는 지라 배드엔딩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그리 선호되진 않는 편이다. 특히 Red Snow에서 꽤 좋은 캐릭터성을 지닌 주연들인 블룬과 코퍼 등까지[3] 가차없이 끔살당하는 점에서 상당히 큰 비난을 받기도 했다. 때문에 오히려 본작의 2차 창작들이 블룬을 비롯한 주연들이 리니와 맞서는 등의 희망적인 전개로 등장하면서, 본작보다 2차 창작이 더 각광받는 현상이 생겨났다.

앞서 후술했던 것처럼 Pretty blood의 호불호 원인이 절망적인 전개와 베드엔딩, 잔혹한 연출들과 약혐들로 인하여 선호와 불호가 매우 엇갈린다.

다만 슬래셔 무비 특성상 오히려 호러가 작품의 긴장감을 높인다는 것을 감안하면 Pretty Blood의 근본적으로 주목하는 장르가 어떤건지 알 수 있다. 사실 제작사인 Little Deadly thing이 뉴그라운즈에서도 활동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Pretty blood에게 있어서 이러한 장르가 더 맞춤형인 것이다.

6.3. 해외 반응

자국 내수시장 겸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라 번역 자막, 혹은 리뷰 영상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외국 플래시 애니메이션도 기껏해야 다른 국가까지 퍼지는 데에는 매드니스 컴뱃, 해피 트리 프렌즈 같은 작품적 인지도와 작품성이 아닌 이상 다른 국가에서 이 작품을 인식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다만 국내에서 가끔 해당 작품을 목격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대부분 캐릭터 디자인 쪽에서 관심을 기울이는 편이다.

7. 여담

  • Little Deadly Thing이 만든 유일한 인간인 샌디 빈 을 주인공으로 한 인물의 스핀오프 작품이 있다.
  • 평가에 서술되어있듯이, 주역들을 허무하게 없애는 선 넘는 전개 탓에 오히려 주역들이 함께 리니와 맞서 싸우는 희망적인 2차 창작이 훨씬 더 호평받는 경지에 이르게 됬다.
  • Little Deadly Thing 공식 유튜브 첫 영상을 보고 그의 국적이 인도네시아나 필리핀 쪽으로 추정된다.
  • 비슷한 작품으로 Gutian[4]Terrible Mouse 라는 작품 또한 해당 작품의 분위기가 비슷한 편이다. 다만 작품 특징으로 다른 점이라면 메인 빌런이 선천적 가해자가 아닌 가해자가 된 피해자 케이스다.

7.1. 2차 창작

  • Pretty Blood Crisis Management: pretty blood 전 애니메이터가 만든 애니메이션으로 prtty blood liberty와 같이 pretty blood 세계관 전체 이야기를 품고 있다. 영상은 1시간짜리 영화가 있으며 기대와 다르게 퀄리티가 나쁘지 않다고 호평받는다. 팬덤위키

[1] 자세하게 따져보면, 액션, 판타지, 피카레스크, 스릴러, 슬래셔 무비다.[2] 본작의 몇 안 되는 정상인들이다. 아마 이들이 인기가 많은 여러 이유 중 하나가 이것으로 보인다.[3] 오히려 이 둘이 리니보다 더 주인공다워보이기도 한다.[4] 중국의 Bilibili라는 SNS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