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9:54:03

OP.GG/커뮤니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OP.GG
파일:OP.GG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383e8><colcolor=#fff> e스포츠 OP.GG SPORTS
배틀그라운드 팀해체 · 발로란트 팀해체
Apex 레전드 팀해체 · OP GAMING Ardor해체
기타 커뮤니티 · OGN(44층 지하던전)
해체 해체된 e스포츠 팀 }}}}}}}}}
OP.GG TALK
파일:opggtalk.png
<colbgcolor=#fffff9> 분류 게임 커뮤니티
상태 운영 중
링크 바로가기

1. 개요2. 상세
2.1. 시스템
3. 문제점 및 비판
3.1. 명확하지 않은 제재 기준3.2. 닉네임 언급 금지 이후 등장한 새로운 유형의 친목질
4. 여담

[clearfix]

1. 개요

OP.GG에서 운영하는 게임 커뮤니티. 정식 명칭은 OP.GG TALK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오버워치/배틀그라운드/레인보우 식스 시즈까지 4개로 커뮤니티가 분리되어있으나, 사실상 리그 오브 레전드 커뮤니티를 제외하면 활성화 자체가 되어있지 않기에 리그 오브 레전드 커뮤니티로 봐도 무방하다.

2. 상세

본래 이 커뮤니티의 목적은 각종 게임 관련 이야기를 하거나 파티를 구하는 등의 전형적인 게임 커뮤였으나, 현재는 타 커뮤니티발 유머글들이 주를 이루는 커뮤니티가 되었다.

유저 연령대는 10~20대 학생들이 주를 이루며 중학생~대학생의 비율이 높다. 이러한 연령층 분포로 인해 OPGG는 학교에서의 경험담이나 학생들의 고충 등 저연령층이 아니면 공감하기 힘든 주제들의 일상글들도 쉽게 인기글을 간다.

게시판은 자유게시판, 유머게시판, 영상게시판, 유저찾기게시판, 사건사고게시판, 팬아트게시판이 있다. 현재는 유머&자유게시판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롤 인벤이 살아있었을 때는 롤벤과 비슷한 성향을 가졌으나 정작 롤벤이 망하고 나서는 롤카페와 비슷한 성향을 보이고 있다. 롤 관련 글도 올라오긴 하지만, 일상글과 유머글[1] 등 롤과 관계없는 글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심지어는 다른 게임의 공략까지도 올라오는 경우가 매우 드물지만 있다. 타 커뮤니티에서 유행했던 글들이나 오피지지 커뮤 유저를 찬양하는 글 등이 자주 인기글로 가는 편인데, 특히 디시인사이드 등에서 출처없이 퍼오는 글들이 많아 타 커뮤니티에서 조롱받는 부분이기도 하다.[2] 이 외에는 팬아트나 만화, 정보, 기타 유머글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래의 목적이 전적 검색이며, 규모가 크지 않는 커뮤니티이고, 다른 커뮤니티들에서도 자주 올라오는 유머글들도 보이는 만큼 타 커뮤니티와의 갈등이 큰 편은 아니며, 타 커뮤니티들 또한 OP.GG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거나 커뮤니티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냥 롤 메타와 전적을 검색하는 걸 주 목적으로 하고 인기글만 보는 유저가 많아서인지 딱히 정해진 성향이 없다.

2.1. 시스템

인기글은 레딧과 비슷한 시스템인데, 게시글들 중 추천수가 높은 글은 인기글 탭의 상단으로 가게 된다. 시간에 반비례하여 추천을 많이 받을수록 상단으로 올라가지만, 시간이 지나면 인기글에 올라왔던 글들은 점차 밀려 인기글 탭에서 사라지게 된다. 인기 게시글은 단순히 사이트 상단에 노출되는 형식이며 인기 게시글 목록에서 사라진 게시글도 다른 게시판에는 남아 있다. 단 오피지지를 비방하는 글이나[3] 제재를 먹은 유저의 게시글이 인기글에 갈 경우 추천수와 최근 시간대와 상관 없이 인기글 목록에서 바로 지워지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이 외에도 성적인 게시물, 정치적인 게시물 또한 인기글에서 내려가는데, 인기글에 오르기도 전에 삭제가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런 사례는 드물다.

오피지지 커뮤니티에서는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등급처럼 레벨이 나뉘어 있다. 글/댓글을 작성시 1포인트씩 얻고 추천 하나당 1포인트씩 오른다. 또한 본인이 추천을 눌러도 1포인트가 오른다. 이렇게 포인트를 얻을수록 레벨이 오른다. 참고로 레벨 99에서 레벨 100을 올리면 레벨 업에 필요한 경험치가 다시 레벨 0 때의 경험치 충족량으로 돌아간다. 199에서 200, 299에서 300으로 올려도 마찬가지다.
파일:OPGG 레벨.jpg
과거에는 레벨 옆 문양이 와드 모양이었지만, 리뉴얼 때 새로운 시스템으로 교체됐다. 기존의 와드 모양 대신 삼각형, 사각형같은 도형과 도형의 색깔을 사용하여 레벨을 나타낸다. 20레벨을 주기로 도형의 모양이 바뀌며,[4], 100레벨을 주기로 도형 내부의 보석 색이 바뀐다.[5] 또한 500레벨을 주기로 도형 외부의 색이 바뀐다.[6] 하지만 웬만해선 100레벨 달성도 어려운 편. 이후 와드 모양은 팁창의 레벨 시스템에 도입되었다.

익명 닉네임은 품번형태의 닉네임으로 랜덤생성되었는데 전부 다 진짜 존재하는 품번이어서 논란이 있었다. 여러 가지 악용으로 인해 익명으로 댓글쓰는 행위 자체를 불가능하게 삭제했다. 그후 로그인을 해야만 추천 및 댓글 입력이 가능하다. 인벤 메갈리아 편파 운영 의혹 사건 이후 인벤 발 난민들을 위해 다시 품번닉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가 얼마 뒤 막혀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에 커뮤니티의 디자인을 새로 바꿨지만, 디자인에 몰빵한 나머지 모바일 앱의 커뮤니티를 막아두고 기존에 있던 알림 등의 편의 기능을 삭제하며 후에 업데이트 공지를 했는데 몇 달이 지나도 안하는 등 시기상조한 리뉴얼 때문에 유저의 절반 이상이 빠져나갔다. 그러나 차츰 개선되는 운영과 레벨 제도의 부활, 빠른 피드백으로 다시 중흥기를 맞이하여 엄청난 유저를 보유하고 있다. 관리자의 말에 따르면 트래픽이 2배로 증가했다고 한다. 다만, 전적 검색 등을 이용하다 지나가는 유동 인구들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7]

3. 문제점 및 비판

3.1. 명확하지 않은 제재 기준

이용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재 형태가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있다.

명시적으로 닉네임을 언급만 하면 제재를 하는 형태처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사유도 있지만, 기타 폭력성이나 도배 등의 형태나 예시가 불분명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유저들은 특히 정치, 시사적인 면에서 제재되는 내용이 너무 불명확하고 상이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또한 규정 내용에도 분란을 일으키는 유저도 제재 대상이지만, 이 또한 자유게시판의 특성 상 여러 의견이 존재하는게 가능하므로 실질적으로 분란의 내용이지만, 형식적으로는 합법적인 내용을 담은 글을 유포하는 유저들에게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3.2. 닉네임 언급 금지 이후 등장한 새로운 유형의 친목질

과거 이용자 수가 적다 보니 친목질이 성행하였고, 이에 문제가 제기되자 운영 측은 이용자 닉네임만 언급하더라도 제재를 가하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후 직접적인 친목질은 사라졌지만 특정 유저나 계급에 따라 간접적으로 우상화, 친목질하는 경향이 새롭게 대두되었다.

OP.GG의 커뮤니티는 루리웹처럼 댓글에도 추천을 할 수 있는 기능과 표기되는 추천 수에 따라 댓글이 나열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커뮤니티 인원이 적다 보니 일부 유저들을 상단에 고정시키고 추천을 유도하게끔 하는 간접적인 친목질의 형태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는 계정 계급이 높거나 커뮤니티 외적으로 그룹을 형성한 유저들에게 주로 나타나고 있다.

누적 추천 수보다 시간 대비 추천 수가 많은 글이 표기되는 시스템이라서 같은 댓글 표기 시스템을 공유하는 다른 커뮤니티들보다도 게시글 자체의 물타기가 심해지고, 댓글도 이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어 더욱이나 이런 면에서 취약하다. 한편으로는 주제나 글머리와 무관한 글이나 댓글들도 인기글에 올라가고 상단에 표기되는 등의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4. 여담

  • PC 버전의 경우 메인 화면에 커뮤니티의 인기글을 띄워주고 있다.

[1] 거의 모두 디시인사이드발이고, 자체 유머, 드립생산률은 없다.[2] 디시인사이드의 경우 초기 롤벤의 성향이 짙기 때문에 언급하는 것을 꺼리거나 배척하는 경향이 있으나, 정작 인기글에 노출되는 글들은 디시인사이드에서 퍼오는 경우가 대다수다.[3] 그렇지만 디시인사이드 등 타 사이트를 비방하는 글 등이 인기글에 오른적이 있다[4] 삼각형(0~20), 사각형(21~40), 오각형(41~60), 육각형(61~80), 팔각 가시 삼각형(81~100)[5] 무색(0~100), 초록색(101~200), 파란색(201~300), 보라색(301~400), 빨간색(401~500)[6] 구리색(0~500), 은색((501~1000), 금색(1001~1500), 초록색(1501~2000), 파란색(2001~2500)[7] 실제로 오피지지 메인에 표시된 인기글들은 조회수가 폭발적으로 많지만 표시되지 않은 인기글은 조회수가 저조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