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4285f4><colcolor=#fff> NotebookLM | |
| |
개발 | Google Labs |
출시일 | 2023년 |
홈페이지 |
1. 개요
NotebookLM은 Google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노트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한 문서, 노트, 링크 등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요약, 질문 응답, 인사이트 추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LM"은 Language Model의 약자로, 구글의 Gemini 계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기존 노트 앱과 달리 AI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지식 관리, 정보 탐색, 문서 이해를 보다 능동적으로 지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해당 서비스는 Google Lab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3년 7월 베타 형태로 처음 공개되었으며, 이후 단계적으로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2. 주요 기능
- AI 기반 문서 질의응답
- 사용자가 업로드한 문서(예: PDF, Google Docs, 웹 링크 등)를 기반으로 Q&A를 지원한다.
- 문서 전체를 읽지 않고도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요약 및 정보 검색이 가능하다.
- 자동 요약 및 하이라이트
- 문서의 주요 내용을 자동으로 요약해주며, 문단별 요점 정리 및 키워드 하이라이트 기능도 제공한다.
- 출처 기반 인용 시스템
- AI가 생성한 응답은 반드시 해당 문서 내 출처와 함께 제시된다. 사용자는 "어디에서 나온 정보인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 이는 환각현상(AI가 사실이 아닌 정보를 생성하는 문제)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평가된다.
- 연결 인사이트 제공
- 서로 다른 문서 간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통합적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예: 두 개의 학술자료를 업로드한 경우, 공통 주제나 상반된 주장을 자동 분석해준다.
- 개인 맞춤 노트북 생성
- 사용자는 주제별로 AI "노트북"을 만들고, 여기에 문서를 추가하여 대화형 탐색을 이어갈 수 있다.
3. 기술적 기반
- 대규모 언어 모델인 Gemini(인공지능 모델)의 2.5 flash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메모리 확장성과 맥락 추적 능력이 특징이다. X
-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방식으로 사용자가 제공한 문서 내용을 실시간으로 참고하여 응답을 생성한다.
4. 지원 언어 및 플랫폼
- 2025년 기준 한국어를 포함한 5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한다.
- 웹 기반으로 작동하며, iOS 및 안드로이드 앱도 있다.
- Google Drive와 연동되어 Google Docs, Google Slides 등 다양한 문서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5. 타 서비스와의 비교
비교 항목 | NotebookLM | ChatGPT Custom GPTs | Perplexity |
문서 기반 질의응답 | ○ | ○ | ○ |
출처 인용 표시 | ○ | △(설정에 따라 다름) | ○ |
웹 문서 연동 | ○ | △ | ○ |
노트북형 인터페이스 | ○ | × | × |
문서 간 연관 분석 | ○ | × | × |
6. 장단점
- 장점
- 사용자가 제공한 신뢰 가능한 자료만을 기반으로 응답한다. 특히, 인용 출처 표기 기능으로 정보의 신뢰도가 높다.
- 개인 맞춤형 지식 공간을 구축할 수 있고, 이때 구글 생태계(Google Docs, Drive 등)와의 자연스럽게 통합할 수 있다.
- 단점
- 한국어 지원이 시작된지 얼마 되지 않아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떨어진다.
- 파일 업로드에 따른 프라이버시 우려가 있다.
- 대용량 문서 처리 시 속도 저하 및 요약 누락 현상이 일부 나타난다.
7. 업데이트 및 로드맵
- 2023년 7월: Google Labs에서 초기 버전 공개
- 2024년 3월: Gemini 1.5 통합, 긴 문맥 지원 기능 확장
- 2025년 중: 다국어 지원 확대 및 모바일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