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외뿔소자리 알파 α Mon | 베타성 외뿔소자리 베타 β Mon | 감마성 외뿔소자리 감마 γ Mon | 델타성 외뿔소자리 델타 δ Mon | |
엡실론성 외뿔소자리 엡실론 ε Mon | 제타성 외뿔소자리 제타 ζ Mon | - | -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외뿔소자리 1 | 외뿔소자리 2 | 외뿔소자리 3 | 외뿔소자리 4 | |
외뿔소자리 5 | 외뿔소자리 6 | 외뿔소자리 7 | 외뿔소자리 8 | |
그 외 외뿔소자리에 속한 항성 | ||||
외뿔소자리 V838 | 숄츠의 별 | -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외뿔소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NGC 천체 | ||||
NGC 2166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167 외뿔소자리의 A형 주계열성 | → | NGC 2168 쌍둥이자리의 산개성단 |
HD 41794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6h 06m 58.5557641488s |
적위 | -06° 12′ 09.764186832″ | |
별자리 | 외뿔소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형 주계열성 | |
분광형 | A2/3V | |
거리 | 237 광년 72.643 ± 0.291 파섹 | |
반지름 | 1.66 R⊙ | |
질량 | 1.2 M⊙ | |
평균 온도 | 7,914 K | |
나이 | -년 | |
운동 | 시선속도 | -12.1 ± 0.6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6.58 | |
절대 등급 | 2.274 | |
광도 | 9.73 L⊙ | |
명칭 | ||
HD 41794, BD-06°1412, SAO 132848, NGC 2167 | ||
출처 | ||
위키피디아 |
1. 개요
HD 41794/NGC 2167외뿔소자리의 A형 주계열성.
2. 상세
이렇게나 밝은 별이 NGC 목록에 등재된 것은 매우 이례적으로, 이런 케이스의 항성은 해당 목록 내에 전혀 없다고 추정된다!외뿔소자리 R2 성협 근처에 위치해 있지만, 별개의 천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