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천체[1] | ||||
N118 황새치자리의 항성 | ← | N11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20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N119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18m 45s |
적위 | −69° 14′ 03″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전리수소영역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9' X 12' | |
명칭 | ||
LHA 120-N 119, DEM L 132, PKS 0518-692 |
1. 개요
N119N119는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한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대마젤란은하의 막대구조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
대부분의 발광성운들이 형태가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N119는 S자 구조가 뚜렷하게 관찰되는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S자 구조는 일반적으로 성운이 형성되는 매커니즘과 완전히 상반되지만 이것은 성운이 단일 구조일 때만 성립되는 특징으로 여러개의 하부 구조로 쪼개어져 있다면 충분히 N119의 S자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구조 문단을 참고하기 바란다.NGC 1910으로 명명된 OB 성협이 위치하고 있으며 LBV의 가장 유명한 예시중 하나인 황새치자리 S 또한 N119와 NGC 1910에 위치하고 있다. 비교적 화질이 좋지 않은 DSS 사진등으로 보면 남쪽에 위치한 산개성단, NGC 1903, NGC 1916과 이어져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N119가 항성밀집구역인 팽대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실제로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개별적인 천체이다. 게다가, 두 성단 모두 관측사진을 보면 일반적인 산개성단의 모습이 아니라, 구상성단의 모습과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1. 구조
N119 및 주변 지역의 세부 사진 LH 44, NGC 1903, NGC 1916은 N119와 별개의 천체다. |
앞서 상술했듯이 N119의 S자형은 일반적인 성운의 모습에서 볼 수 있는 형태가 아니며, 특히 N119처럼 얇고 긴 필라멘트 구조는 상당수가 초거품 또는 거품이 중심의 밝은 항성들에 의해 이온화되면서 관찰되는 구조이지만, 이러한 초거품 및 거품 구조는 모두 구 형태이기 때문에 S자형을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논문에서도 고전적 모델로는 N119의 S자형 구조를 설명할 수 없다고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고전적 모델로는" 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N119의 S자 구조는 고전적 모델이 아니라 성운의 구조가 단일 성운이 아니라 2개 이상의 성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살짝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 성운의 수소알파선 관찰 결과 N119에서는 막대 형태의 중심성운을 포함해 4개의 각기 다른 거품 구조가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아래는 4개의 필라멘트 구조의 특성 및 기원에 관한 요약이다.
- DEM L 132a: 황새치자리 S, R85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남쪽의 필라멘트 구조로 구조 내부에 상술한 두 천체 정도를 제외하면 성운 전체를 이온화시킬 수 있는 항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는 상술한 두 천체의 항성풍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WR 성운: 중심의 볼프-레이에별인 Br 21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거품으로 거품 구조들중 유일하게 DEM 번호가 붙지 않았다.
- DEM L 132b(GS 54): LH 41-32, HD 269357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거품구조로 두 항성의 항성풍만으로도 충분히 이온화가 가능하다고 계산되었다.
- DEM L 123(GS 51): 상술한 3개의 거품구조보다 2배 이상 거대한 거품구조로 해당 크기의 거품구조를 이온화하려면 성운 중심에 적어도 44개 이상의 OB 별이 위치하고 있어야 하지만, 거품 내부에서 OB 별은 1개도 확인되지 않았다. 이것은 DEM L 123이 중심별에 의해 이온화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1052 erg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극초신성에 의해 형성된 초신성 잔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2.1.1. NGC 1910
자세한 내용은 NGC 1910 문서 참고하십시오.3. 관련 문서
[1]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