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15:32:16

LJL 2019 Summer Split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LJL 2025 심볼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그랜드 파이널
2015
시즌 1 | 시즌 2 | 그랜드 파이널
2016
스프링 | 서머
2017
스프링 | 서머
2018
스프링 | 서머
2019
스프링 | 서머
2020
스프링 | 서머
2021
스프링 | 서머
2022
스프링 | 서머
2023
스프링 | 서머
2024
스프링 | 서머
2025
포지 | 스톰 | 이그나이트 | 파이널
}}}}}}}}} ||
파일:LJL_white.png 역대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일람
DetonatioN FocusMe DetonatioN FocusMe DetonatioN FocusMe
LJL 2019 Spring Split LJL 2019 Summer Split LJL 2020 Spring Split
파일:2019LJLSummer.jpg
파일:LJL_Logo.png
<colbgcolor=#ed1b30><colcolor=#fff> 2019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ummer
대회 기간 2019년 6월 15일 ~ 9월 16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경기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시부야 요시모토∞홀
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d1b30><colcolor=#fff> 정규시즌 1라운드
6월 15일 ~ 6월 30일
2라운드
7월 6일 ~ 7월 20일
3라운드
7월 20일 ~ 8월 18일
플레이오프 준결승전
9월 1일
결승전
9월 16일
결승전 대진
DFM vs V3
경기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타치카와 타치히 아레나
}}}}}}}}} ||
결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d1b30><colcolor=#fff> 우승 DetonatioN FocusMe
준우승 V3 Esports
}}}}}}}}} ||
1. 개요2. 참가팀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3.1.1. 정규시즌 총평
3.2. 플레이오프
3.2.1. 준결승전3.2.2. 결승전
3.2.2.1. 총평
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2019년 6월 15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서머 시즌에 관한 문서이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d1b30> 파일:LJL_white.png 2019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ummer

참가팀
}}} ||
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 파일:Unsold_Stuff_Gaminglogo_square.png 파일:350px-Crest_Gaming_allmode.png 파일:Sengoku_Gaming_logo.png
DetonatioN FocusMe
DFM
Unsold Stuff Gaming
USG
Crest Gaming Act
CGA
Sengoku Gaming
SG
파일:Burning_Corelogo_square.png 파일:V3 Esports.png 파일:Rascal Jester.png 파일:AXIZlogo_square.png
Burning Core
BC
V3 Esports
V3
Rascal Jester
RJ
AXIZ
AXZ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파일:LJL_white.png 2019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 연속 비고
1 파일:DFM 로고 (2016-2022).svg DFM 17 4 1패 우승
vs. CGA 우세
2 파일:350px-Crest_Gaming_allmode.png CGA 17 4 1패 vs. DFM 열세
3 파일:V3 Esports.png V3 14 7 2승 준우승
4 파일:Burning_Corelogo_square.png BC 11 10 1승
5 파일:Unsold_Stuff_Gaminglogo_square.png USG 11 10 4승
6 파일:Sengoku_Gaming_logo.png SG 7 14 1승
7 파일:Rascal_Jester_notext.png RJ 4 17 3패
8 파일:AXIZ_Logo.png AXZ 3 18 7패
초록색: 결승전 직행 | 연두색: PO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3.1.1. 정규시즌 총평

저번 스프링 시즌까지만 해도 절대강자 1팀만 군림하던 느낌이 강하던 LJL이였으나, 서머 시즌 들어 스프링 시즌의 절대강자 DetonatioN FocusMe의 부진과 Crest Gaming Act의 약진이 겹치면서 1위 경쟁에 불이 붙게 됐다. 시즌 종료 2주를 남겨두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3팀(Crest Gaming Act, DetonatioN FocusMe, V3 Esports)이 결정되었고, 공동 1위팀인 CGA와 DFM의 맞대결이 예정되어 있는 8월 18일 마지막 주의 결과에 따라서 1위팀이 결정되게 된다. 마지막주의 DFM과 CGA의 경기에서는 올시즌 LJL에서 손에 꼽을만한 명승부가 펼쳐진 끝에, DFM이 CGA상대 2승 1패로 우위를 가지게 되면서 정규시즌 1위가 확정됐다.

3.2.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ed1b30> 파일:LJL_white.png 2019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ummer
플레이오프 대진표
}}} ||
<rowcolor=white>
준결승
결승
{{{#!wiki style="margin: -12px -5px"
Semifinals (9/1)
CGA
2위
파일:350px-Crest_Gaming_allmode.png 2
V3
3위
파일:V3 Esports.png 3 }}} {{{#!wiki style="margin: -12px -5px"
Finals (9/16)
<colbgcolor=#f5f5f5,#282828>
DFM
1위
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 3
파일:V3 Esports.png 1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3.2.1. 준결승전

준결승전 (2019. 09. 01)
Crest Gaming Act 2 3 V3 Esports
× × × × ×
탈락 결과 결승전 진출
CGA의 2시즌 연속 플레이오프 패배

Silver Scrapes가 울려퍼지는 5세트 까지 가는 접전이였지만, 마지막 5경기가 1분 인베이드에서 V3의 3:0 일방적인 킬 획득으로 터져버리면서 V3가 결승에 진출하게되었다.

3.2.2. 결승전

결승전 (2019. 09. 16)
DetonatioN FocusMe 3 1 V3 Esports
× - × × × -
우승 결과 준우승
3.2.2.1. 총평
DFM 3시즌 연속 우승. 또 다시 한번 세계로

20승 1패, 그리고 결승전 3:0 셧아웃의 모습을 보였던 스프링 시즌과는 다르게, 서브 미드라이너 라무네의 부진, 그리고 CGA의 약진으로 인해 DFM의 원딜러 유타퐁 조차 인터뷰에서 결승직행은 힘들것 같으니 플레이오프부터 차근차근 올라가겠다고 말했지만, 리그 마지막 주의 CGA의 맞대결에서 승리하게 되어, 언제나와 같이 리그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번 결승전은 LJL의 전통의 라이벌인 DFM와, Rampage의 출신 선수들이 다시한번 결승전에서 만나게 되었다. 1세트는 V3의 정글러 baby의 하드캐리와, DFM의 포지션 적 실수가 겹쳐지며 게임이 터져버렸고, 2세트는 DFM의 서포터 Gaeng의 쓰레쉬 하드캐리, 그리고 유타퐁의 쇼진 루시안으로 경기를 동률로 만들고, 3세트에서는 서포터 Gaeng의 라칸이 게임을 또다시 캐리하였다. 마지막 4세트를 앞두고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중간에 길고 긴 지연이 있었다. 4세트에서는 긴 퍼즈로 인해 V3 선수들의 집중력이 떨어진 것이 보여 스무스하게 게임이 DFM쪽으로 넘어가 세로스의 메자이를 끝으로 3연속 우승을 결정지었다. 이번 결승전의 DFM은 이전까지의 탑, 바텀 중심의 플레이 스타일에서 미드 중심의 플레이도 가능하단 것을 보여주었던 결승전이였다.

4. 여담

  • DFM을 제외한 모든팀이 추가영입 및 선수의 변동이 있었다. AXIZ의 한국인 정글러 및 서포터 영입, 블랭크와 푸만두를 영입한 센고쿠 게이밍, 스프링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가 번복한 유토리모야시의 V3 이적 등.

5. 둘러보기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2019 시즌
국제 대회
파일:MSI_2019.png 파일:RR.png파일:RR_white.png 파일:Worlds 2019.png 파일:All-Star_2019_Full_Logo.webp
2019 MSI 2019 RR 2019 Worlds 2019 ASE
지역 대회
파일:lpl.png 파일:lec 심볼 민트.svg 파일:2018_2020_lck_logo.png파일:LCK white.png 파일:NA_LCS_Logo.png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파일:LMS_2018_Logo.webp파일:LMS White.png 파일:400px-VCS_logo_2018.png파일:VCS_white.png 파일:600px-LCL_Logo.png 파일:LLA_logo.png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스프링 서머 오프닝 클로징
파일:TCL_Small_Logo.png 파일:CBLOL_2017_Logo.webp 파일:LJL_Logo.png 파일:OPL_2018_Logo_Color.png
윈터 서머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프링 서머 스플릿 1 스플릿 2
파일:LST only logo.png파일:sea tour white logo.png
스프링 서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