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4 21:19:21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파일:DDT프로레슬링 로고.png DDT 프로레슬링의 챔피언십 타이틀
파일: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십.png 파일:KO-D 태그 챔피언십.webp 파일:DDT 유니버셜 챔피언십.png 파일:DDT 익스트림 챔피언십.png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KO-D 태그 챔피언십 DDT 유니버셜 챔피언십 DDT EXTREME 챔피언십
파일: 파일: 파일: 파일:아이언맨 헤비급 챔피언십.jpg
KO-D 6인 태그 챔피언십 KO-D 10인 태그 챔피언십 O-40 챔피언십 아이언맨 헤비메탈급 챔피언십
파일:KO-D Openweight Championship.webp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현재 챔피언 우에노 유우키
챔피언 등극 2023년 11월 12일
Ultimate Party 2023
이전 챔피언 크리스 브룩스
소속 단체 DDT 프로레슬링
벨트 창설일 2000년 4월 19일

1. 소개2. 기록3. 역대 챔피언 목록

1. 소개

DDT 프로레슬링챔피언십 중 하나다. DDT 프로레슬링에서는 최고의 위상을 가진 메인 챔피언십으로 DDT 무차별급 챔피언십이라고도 한다.
초창기에는 시간무제한 1판 승부였으나, 현재는 60분 1판 승부로 변경되었다.
대전자간의 합의가 있으면 경기룰이 바뀌는 경우도 있다.

2. 기록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초대 챔피언 오리하라 마사오
최다 획득 챔피언 HARASHIMA 10회
최장기간 챔피언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405일
최단기간 챔피언 타카기 산시로 2분 4초
최고령 챔피언 아키야마 쥰 51세
최연소 챔피언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21세
연속 최다 방어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11회
통산 최다 방어 HARASHIMA 27회

3. 역대 챔피언 목록

<rowcolor=#000000> # 이름 챔피언 횟수 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방어 횟수 비고
1 오리하라 마사오 1회 2000년 4월 19일 (98일) 0회 [1]
2 키무라 코이치로 1회 2000년 7월 26일 (77일) 1회
3 포이즌 사와다 JULIE 1회 2000년 10월 11일 (64일) 1회
4 타카기 산시로 1회 2000년 12월 14일 (104일) 2회
5 익사이팅 요시다 1회 2001년 3월 28일 (93일) 2회
6 NOSAWA 1회 2001년 6월 29일 (146일) 0회
- 공석 2001년 11월 22일 [2]
7 슈퍼 우주 파워[3] 1회 2001년 11월 30일 (57일) 1회 [4]
8 MIKAMI 1회 2002년 1월 26일 (11일) 1회 [5]
9 슈퍼 우주 파워 2회 2002년 2월 6일 (86일) 0회
10 타카기 산시로 2회 2002년 5월 3일 (28일) 0회
11 카네무라 킨타로 1회 2002년 5월 31일 (99일) 1회
12 타카기 산시로 3회 2002년 9월 7일 (83일) 1회
13 GENTARO 1회 2002년 11월 29일 (23일) 0회
14 MIKAMI 2회 2002년 12월 22일 (207일) 2회 [6]
15 사사키 타카시 1회 2003년 7월 17일 (101일) 2회
16 이치미야 쇼이치 1회 2003년 10월 26일 (108일) 0회 [7]
17 포이즌 사와다 JULIE 2회 2004년 2월 11일 (265일) 4회
18 MIKAMI 3회 2004년 11월 2일 (89일) 1회
19 프란체스코 토고 1회 2005년 1월 30일 (94일) 2회
20 타카기 산시로 4회 2005년 5월 4일 (172일) 1회
21 남색 디노 1회 2005년 10월 23일 (161일) 1회
22 오오와시 토오루 1회 2006년 4월 2일 (271일) 2회
23 HARASHIMA 1회 2006년 12월 29일 (156일) 3회
24 Koo 1회 2007년 6월 3일 (140일) 2회
25 HARASHIMA 2회 2007년 10월 21일 (198일) 2회
26 딕 토고 2회 2008년 5월 6일 (145일) 2회 [8]
27 타카기 산시로 5회 2008년 9월 28일 (218일) 5회 [9]
28 HARASHIMA 3회 2009년 5월 4일 (111일) 2회
29 이부시 코타 1회 2009년 8월 23일 (98일) 2회
30 이시카와 슈지 2회 2009년 11월 29일 (91일) 2회
31 세키모토 다이스케 1회 2010년 2월 28일 (147일) 4회
32 HARASHIMA 4회 2010년 7월 25일 (112일) 2회
33 사토 히카루 1회 2010년 11월 14일 (14일) 0회
34 딕 토고 3회 2010년 11월 28일 (28일) 3회 [10]
- 안토니오 혼다 - 2010년 12월 26일 (35일) 0회 [11]
35 딕 토고 4회 2011년 1월 30일 (94일) 2회 [12]
36 이시카와 슈지 3회 2011년 5월 4일 (81일) 2회
37 KUDO 1회 2011년 7월 24일 (189일) 5회
38 남색 디노 2회 2012년 1월 29일 (63일) 2회
39 타카기 산시로 6회 2012년 4월 1일 (2분 4초) 5회
40 마사 타카나시 1회 2012년 4월 1일 (33일) 0회 [13]
41 히노 유지 1회 2012년 5월 24일 (51일) 1회
42 이부시 코타 2회 2012년 6월 24일 (98일) 2회
43 엘 제네리코 1회 2012년 10월 30일 (84일) 3회
44 케니 오메가 1회 2012년 12월 23일 (87일) 3회
45 이리에 시게히로 1회 2013년 3월 20일 (151일) 8회
46 HARASHIMA 5회 2013년 8월 18일 (215일) 5회
47 KUDO 2회 2014년 3월 21일 (65일) 2회
48 HARASHIMA 6회 2014년 5월 25일 (266일) 7회
49 이부시 코타 3회 2015년 2월 15일 (73일) 1회
50 HARASHIMA 7회 2015년 4월 29일 (32일) 1회
51 KUDO 3회 2015년 5월 31일 (28일) 0회
52 오오카 켄 1회 2015년 6월 28일 (4분 39초) 0회 [14]
53 KUDO 4회 2015년 6월 28일 (56일) 0회
54 사카구치 유키오 1회 2015년 8월 23일 (97일) 2회
55 코다카 이사미 1회 2015년 11월 28일 (114일) 3회
56 HARASHIMA 8회 2016년 3월 21일 (34일) 2회
57 사사키 다이스케 1회 2016년 4월 24일 (35일) 1회 [15]
58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1회 2016년 5월 29일 (91일) 3회 [16]
59 이시카와 슈지 4회 2016년 8월 28일 (98일) 2회
60 HARASHIMA 9회 2016년 12월 4일 (106일) 3회
61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2회 2017년 3월 20일 (405일) 11회
62 이리에 시게히로 2회 2018년 4월 29일 (94일) 4회
63 새미 캘러핸 1회 2018년 8월 1일 (7일) 0회
64 이리에 시게히로 3회 2018년 8월 8일 (6일) 0회
65 남색 디노 3회 2018년 8월 14일 (14일) 0회 [17]
66 사토무라 메이코 1회 2018년 8월 28일 (26일) 0회 [18]
67 남색 디노 4회 2018년 9월 23일 (14일) 0회 [19]
68 사사키 다이스케 2회 2018년 10월 21일 (166일) 1회
69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3회 2019년 2월 17일(46일) 0회
70 사사키 다이스케 3회 2019년 4월 4일(1일 미만) 0회
71 엔도 테츠야 1회 2019년 4월 4일(102일) 4회 [20]
72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4회 2019년 7월 15일(111일) 2회
73 HARASHIMA 10회 2019년 11월 3일(84일) 1회 [21]
74 다나카 마사토 1회 2020년 1월 26일(133일) 4회
75 엔도 테츠야 2회 2020년 6월 7일(252일) 3회
76 아키야마 쥰 1회 2021년 2월 14일(188일) 3회
77 타케시타 코우노스케 5회 2021년 8월 22일(211일) 2회
78 엔도 테츠야 3회 2022년 3월 20일(86일) 1회 [22]
79 히구치 카즈사다 1회 2022년 7월 3일(210일) 5회 [23]
80 히노 유지 2회 2023년 1월 29일(175일) 2회
81 크리스 브룩스 1회 2023년 7월 23일(112일) 2회
81 우에노 유우키 1회 2023년 11월 12일([dday(2023-11-12)]일)

[1] 초대 챔피언 결정전에서 타카기 산시로를 꺾고 등극.[2] 챔피언에 걸맞지 않은 행동으로 인해 DDT측에서 박탈하였음.[3] 키무라 코이치로의 다른 기믹.[4] 포이즌 사와다 JULIE, 타카기 산시로와의 3-WAY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5]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 아이언맨 헤비메탈급 챔피언 & KO-D 태그팀 챔피언쉽, 즉 승자팀이 모든 벨트를 가지게 되는 이 경기에서 당시 태그팀 챔피언이였던 미카미가 오픈웨이트 챔피언인 슈퍼 우주 파워에게서 핀폴을 따내고 챔피언에 등극한다.[6] 겐타로, 하시모토 토모히코, 타카기 산시로와의 4-WAY 매치에서 승리.[7] 사사키 타카시와의 체인 데스 매치에서 승리.[8] HARASHIMA, 모로하시 세이야, 타카기 산시로, 야고 요시아키와의 5-WAY 일리미네이션 매치에서 승리.[9] 딕 토고와의 스틸 케이지 데스매치에서 승리, 또한 이 경기는 DDT 익스트림 타이틀도 걸린 더블 타이틀 매치였다.[10] 2010년 12월 22일 이후 부상으로 인해 결장.[11] GENTARO를 꺾고, 잠정 챔피언에 등극.[12] 잠정 챔피언인 안토니오 혼다와의 통합 챔피언전에서 승리.[13] 당일 메인이벤트가 끝난후에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사용하여 타카기 산시로를 2분 4초만에 꺾고 챔피언 등극.[14] 당일 제5시합에서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손에 넣은 야스 우라노가 시합 후 즉시 도전권을 사용해 챔피언 KUDO와 타이틀 매치를 펼쳤는데, 시합 도중 또다른 도전권 보유자인 간바레☆프로레슬링 소속의 오오카 켄이 난입해 시합을 3WAY 매치로 변경되었고, 오오카는 우라노에게서 핀폴을 따내어 챔피언 등극을 했는데, 시합 후 또 하나의 도전권을 보유하고 있던 KUDO가 곧바로 도전권을 사용, 오오카를 꺾고 다시 챔피언에 등극하게 된다. ※ 공국진님 블로그 참고 링크[15] 당일 메인이벤트가 끝난후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사용함.[16] 최연소 챔피언 등극.[17] 당일 메인이벤트가 끝난 후,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사용.[18] 원래는 8월 14일 메인이벤트가 끝난 후, 당시 챔피언인 이리에 시게히로에게 사토무라 메이코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사용하여 8월 28일에 정식으로 붙으려고 했지만, 이날 먼저 남색 디노가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사용하여 이리에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했음. 시합이 끝난후 사토무라가 다시 나와 새로운 챔피언인 남색 디노에게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사용하여 정식으로 도전을 표명했고 8월 28일 DDT 마지만지 신키바 대회 메인이벤트에서 남색 디노를 꺾고 DDT 역사상 최초의 여성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게 된다.[19] 사토무라 메이코, 이리에 시게히로와의 3-WAY 일리미네이션 매치에서 승리.[20] 당일 메인이벤트가 끝난 후, 언제 어디서든 도전권을 사용.[21] DDT 익스트림 타이틀도 같이 걸린 더블 타이틀전.[22] 6월 12일 CyberFight Festival 2022에서 대전 도중 나카지마 카츠히코의 뺨 때리기에 실제로 실신하며 패한 책임을 지고 6월 14일 벨트를 반납하였다.[23] 엔도 테츠야가 반납한 벨트를 걸고 펼쳐진 KING OF DDT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요시무라 나오미에게 승리하고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