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폴아웃 4의 등장 로봇. 굿네이버의 Guns Guns Guns라는 상점의 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플레이어의 ‘손을 거치지 않고’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비적대적 어썰트론이기도 하다.[1] 존 핸콕이 굿네이버에서 폭정을 일삼던 레이더 무리들을 갈아버리기로 결의했을 때 가장 먼저 찾아간 인물(?)로 핸콕에게 무기를 원조해 그가 레이더 무리를 향한 야간 습격을 결행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도움을 주기도 했다. 다만 후술할 특성을 고려해보면, 정의나 도의적인 선택으로 핸콕을 도왔다기 보다는 그냥 여러명이 죽어나가는 꼴을 보고 싶어서 도와준 것으로 보인다.2. 대사
어썰트론 자체가 여성형이며 그녀(?) 역시 자신이 여성이라고 표현하고 말투 또한 필드에서 마주치는 어썰트론들과 달리 나긋나긋하지만 일단 목소리가 남성에 가깝게 보이시[2]해서 남성같기도 하고 여성같기도 한 중성적인 느낌의 목소리를 낸다. 뭐 애초에 따지고 보면 사람이 아니긴 하지만... 이 점을 거론하면 "그래 나 로봇이다 어쩔래"라는 투의 말로 받아 친다.
상기한 특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어썰트론은 자신이 인간 여성인냥 여기면서 행동하는 재미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때문에 꽤나 독특한 대화문이 많아서, 흡사 유명한 술집의 말빨 좋은 여주인과 대화하는 재미로 술집에 가는것처럼 굿네이버로 갈 일이 생기면 딱히 볼일이 없어도 가서 대화문 듣는 재미로 방문하는 플레이어도 있을 정도다(...). 특히 재밌는 대사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여기 있는 모든 건 네가 원한다면 누구든지 부상입히거나 불구로 만들거나 죽일 수 있다고 보증하지. 나는 빼고 말이야. 난 내가 내킬 때만 죽이거든. (Everything here is guaranteed to injure, maim, or kill at your discretion. Except me. I only kill when I want to.)
난 여자라고, 자기. 보면 모르겠니? (I'm a woman, baby. Can't you tell?)
하지만 내가 알기로는, 나는 여자란다. 아주 큰 총을 파는 가게를 운영하는 여자. (But as far as I'm concerned, I'm a woman. And I run a store that sells very large guns.)
걱정 마렴. 나는 내가 싫어하는 고객에게만 무기를 시험해보니까. 마음껏 둘러보렴. (Don't worry, I only test the weapons on customers I don't like. Feel free to browse.)
사람을 죽일 수 있는 건 뭐든지 팔지. 자살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우울증만 빼고. 그건 안타깝게도 포장이 불가능하거든. (Anything that can kill a man, I sell. Except suicidal depression. That is unfortunately not packageable.)
우유부단이 언젠가 널 죽일지도 몰라... (Indecisiveness may get you killed one day...)
모든 무기는 당해도 싼 놈들에게 시험되었단다. (Each weapon tested on someone who deserves it.) [3]
와 같은 것들이 있다.
자아가 발달했는지 자기자신을 위해 일할 수 있는데 왜 인간을 위해 일해야 하냐는 결론을 내려서 스스로 KL-E-0라는 이름을 지었고, 소녀도 먹고살라면 뭐라도 해야 하지 않겠냐면서 무기장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마치 운명의 변덕에 떠밀려 가진 것 하나 없이 온갖 평지풍파에 시달리며 정처없이 사방팔방 떠돌던 가련한 여성이 한적한 시골 마을 뒷골목에 간판도 없는 작은 술집을 차린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파는게 술이 아니라 무기인데다가 애초에 인간도 아니라는게 심히 부조리함의 극치를 자랑하는 것이 킬포인트.
3. Have a Plan to Kill Everyone You Meet[4]
상점 2층으로 올라가면 Novice 등급 암호로 잠긴 터미널이 하나 있으며, 이를 해킹해서 내용을 들여다보면 위와 같은 제목에 다음 내용이 있는데, 유사시 혹은 언젠가 굿네이버의 주요 인물들을 몰살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게임상으로는 이와 관련된 서브 퀘스트 스토리나 기타 상호작용은 구현되지 않았다.- 비상 계획: 데이지 - 장거리에서 레이저를 쏜다. 그녀는 너무 가까이 있으므로 의심없이 전면전을 할 수 없다.
- 비상 계획: 핸콕 - 먼저 파렌하이트를 교살한다. 이후 모든 약물에 독을 넣어버린다. 부수적 피해가 예상되나 피해를 감수할 수 있다.
- 비상 계획: 네이버후드 감시원 - 슈퍼 뮤턴트나 레이더가 오길 기다렸다 방어진지의 폭발물을 터뜨린다. 굿네이버가 취약해지므로 이동할 필요 있음.
- 비상 계획: 바비 - 밤까지 기다린 후, 숨어들어가 불을 끄고 한 명씩 제거한다.
- 비상 계획: 화이트채플 찰리 - 그의 동료 중 한 명에게 청부살인을 시킨다.
- 비상 계획: 매그놀리아 - 제3궤도(The Third Rail)를 불태워 경고한다. 그래도 저항한다면 깔끔하게 처리한다.[5]
의외로 본인은 자신에게 이런 살생부가 있다는 사실을 별로 숨기지도 않는다. 특히 그녀의 상점에 방문했지만 살 거 있냐는 그녀의 물음에 "관심없어"라고 답하면 자연스럽게 "그래, 그럼 내 '언젠가 목 딸 놈들' 명단에 너도 추가시켜둘게."라고 태연하게 답한다. 다만 이 대화문을 읽고 나서 저 터미널에 실제로 유일한 생존자를 죽이는 방법을 업데이트 해놓지는 않는다.
[1] 오토메트론 DLC가 있다면 플레이어가 어썰트론을 양산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2] 그 와중에 성우는 또 여성이다. 베데스다의 전작인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동료 영입 가능 캐릭터 중 하나인 리디아와 동일 성우.[3] 정황상 존 핸콕이 반란을 일으켜 굿네이버를 점거할 때의 일을 말하는 것 같다.[4] 이는 미국의 26대 국방장관 '미친 개(Mad Dog)' 제임스 매티스가 한 말인, 마주하는 모든 이들에게 항상 정중하고, 차분하게 대하되, 머릿속에서는 그들을 죽일 계획을 항상 갖고 있어야 한다(Be polite, be professional, but have a plan to kill everybody you meet)의 패러디로 보인다. 팀원을 만나다의 스나이퍼의 마지막 대사로도 쓰였다.[5] 유일하게 그녀에게 기회를 제공한다. 스포일러와 관계가 있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