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7:40:45

GIANTX/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IANTX/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7FEA><tablebgcolor=#007FEA>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GIANTX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007FEA;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EXCEL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GIANTX 2024 2025
}}}}}}}}} ||
GIANTX의 역대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clearfix]

1. 개요

GIANTX의 2025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

파일:2025 GX.jpg
2024년 8월 22일, 벤치로 밀려났던 팀의 탑솔러인 오도암네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2024년 9월 5일, 팀의 서머 주전 탑솔러 디안토니오가 GCD에서 지워졌다. 사유는 포커 행사 참석(...)이라고 한다.#

2024년 9월 20일, 팀의 서포터인 이그나와 감독인 Kaas가 FA로 나간다는 루머가 나왔다. 더불어 니코 코치는 팀에 잔류하며 2025 시즌을 치를 새 감독을 찾고 있다는 소식이 덧붙여졌다.

2024년 10월 2일, Los Heretics의 감독인 길로또와의 구두합의에 이르렀다는 루머가 나왔다. 전임 감독의 평가가 그렇게 좋지는 않다지만 그렇다고 유명한 서양의 슈퍼팀 분쇄기를 데려온다는 소식에 당연히 한국 내 LEC 커뮤니티가 뒤집어졌으며 벌써부터 GX의 장례식을 열고 있다.

2024년 10월 22일, 팀의 감독이었던 Kaas가 팀을 떠난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

2024년 10월 24일, 프나틱에서 계약 해지 루머가 돌던 노아를 2025년 주전 원딜러로 영입한다는 루머가 나왔으며, 이후 10월 30일부로 노아와 함께 파트너를 이루었던 을 새로운 서포터로 영입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11월 1일, 디안토니오가 은퇴하고 오도암네가 떠나 공석이 된 탑 자리에 Team GO에서 활약한 탑솔러 LOT을 영입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11월 3일, 새로운 정글러로 클로저영입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11월 12일, 디안토니오의 은퇴가 발표되었다.#

11월 18일, 길로또를 공식적으로 감독으로 선임했다.#

11월 21일, 패트릭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이로써 엑셀 시절부터 이뤄진 5년간의 동행에 마침표를 찍게 되었으며, 자이언츠와 엑셀의 프랜차이즈 스타가 동시에 팀을 떠나게 되었다.

12월 21일, 예상대로 정글러 클로저의 영입이 확정됐다.

그 후 1월 8일에 루머대로 프나틱의 한국인 바텀 듀오 노아,을 영입했고 탑라이너는 LFL에서 활동했던 롯를 영입하면서 로스터를 완성했다.

3.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5

파일:25GX.jpg
개막전 SK와의 경기는 SK가 던져준 끝에 승리했으나 운영 측면에서 큰 개선이 필요하다는 과제가 남게 되었다.

다음 경기 상대는 로그. 그리고 상대와 무려 50분이 넘는 졸전을 벌인 끝에 승리하며 LEC 역사에 또다른 명경기(...)를 제조하였다.

하지만 이후 KC를 상대로 무난하게 스노우볼을 굴리며 승리, 1주차 전승을 달성하며 단독 1위에 올랐다.

다만 2주차에는 TH는 이겼지만 MKOI와 G2 상대로 둘 다 지며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그래도 4승 고지에 올라와 있어 플레이오프는 어떻게 거의 확정지었다.[1]

4. 팀별 둘러보기

파일:lec 심볼.svg LEC 2025 시즌 팀별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Movistar_KOI_logo.png 파일:Team BDS 아이콘.svg 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G2 FNC KOI BDS SK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파일:GIANTX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GX TH VIT KC RG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서머 스플릿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1] SK는 무슨 수를 써도 GX의 승수를 넘을 수 없다. GX가 3주차에 전패를 하고 로그가 전승을 하면 승자승 무관하게 타이브레이커가 성립하기는 하지만, 어느 한쪽이라면 모를까 그 둘이 동시에 이루어질 확률은 거의 없다고 봐도 좋을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