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2:49:48

Fate/Grand Order/메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Fate/Grand Order|Fate/Grand Order]]

파일:fgo_bi.png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6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
{{{#!folding 등장 서번트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서번트
세이버 아처 랜서 라이더
캐스터 어새신 버서커 엑스트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
{{{#!folding 스토리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토리
1부 1.5부 2부
이벤트 스토리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
{{{#!folding 인게임 가이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메뉴
터미널(칼데아 게이트) | 편성 | 강화 | 소환 | 상점 | 마이룸
서번트 육성
아이템 성배전림 영의개방
커맨드 코드 서번트 코인 클래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16px -10px" 개념예장
★1 ★2 ★3 ★4 ★5 }}}
스킬
마스터 스킬 액티브 스킬 어펜드 스킬
플레이 TIP
파티 구성 계산식 히든 스테이터스
퀘스트 정보
메인 시나리오
공략법 프리 퀘스트 인연 퀘스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
{{{#!folding 이벤트 일람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본판 이벤트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한국판 이벤트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
{{{#!folding 캠페인 일람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본판 캠페인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한국판 캠페인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
{{{#!folding 기타 정보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음악
OST | FGO 주제가
해외 서비스
한국판
사건 사고(근하신년 스타트 대시 캠페인 중단 사태/전개2021년 게임업계 연쇄 파동) · 푸쉬 알림
아케이드판
파일:FGO_Arcade_logo.png
기타 정보
CM 만화 애니메이션 평가
참여
일러스트레이터
성우 리스트 서번트 카드
템플릿
FGO 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일본 FGO 시나리오·이벤트·캠페인
{{{#!wiki style="margin:-5px 0 -15px"
최신 메인 스토리
파일:fgoainc_final_topbanner.png
주장(奏章)Ⅲ 신영장후계전 아키타입 인셉션

2024년 8월 28일 ~ 10월 31일(한정 개방 종료)
2월 1일 ~ (상시 개방)

주장(奏章)Ⅳ
4월 30일 ~
진행 중/예정 이벤트
파일:fgogdgdkikire_topbanner.png
복각:쇼와기신계획 구다구다 료마 위기일발!
사라진 놋부 헤드의 수수께끼 라이트판

4월 2일 ~ 4월 23일
진행 중/예정 캠페인
파일:fgompcr31_topbanner.png
마나프리즘 교환 한정 개념예장을 추가!(17번째)
3월 1일 ~ 5월 31일
파일:fgonmscp25_topbanner.png
Fate/Grand Order 봄의 초보 마스터 응원 캠페인 2025!

3월 29일 ~ 4월 30일
파일:fgooc4cpp1_topbanner.png
『주장Ⅳ』 개막 직전 캠페인 제1탄

3월 30일 ~ 5월 14일
파일:fgofeastcp11_topbanner.png
순령의 축제 제11탄

4월 4일 ~ 4월 18일
파일:fgo3100mandl_topbanner.png
3100만 DL 돌파 캠페인

4월 9일 ~ 4월 30일

(신규 순령의 축제)

4월 하순
【매주 변경】 픽업 소환 : 포리너 픽업
4월 7일 ~ 4월 14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
{{{#!folding 한국 FGO 시나리오·이벤트·캠페인
{{{#!wiki style="margin:-5px 0 -15px"
최신 메인 스토리
파일:fgopmmainkr_topbanner.png
주장(奏章)Ⅰ 허수나침내계 페이퍼 문

2월 27일 ~
진행 중/예정 이벤트

서번트 서머 페스티벌 2025!

4월 22일 ~ 5월 13일
진행 중/예정 주요 캠페인
파일:fgokr2025springfestacp_topbanner.png
2025 봄의 축제 캠페인

4월 9일 ~ 4월 21일
}}}}}}}}} }}}}}}}}}

1. 개요

Fate/Grand Order에서 기본이 되는 메뉴 화면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최신 진도를 즐길 수 있는 일본 서버(이하 '일그오')와 본 위키를 보고 있는 유저들이 가장 많이 할 한국 서버(이하 '한그오')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2. 타이틀 화면

앱 기동 후 게임 로고가 등장하는 화면. 타이틀 화면이 아래 중 어떤 것인지를 보면 해당 유저가 최소 어디까지 진행했는 지를 알 수 있다.
파일:fgo_title1st_kr_re.png
Fate/Grand Order
페이트/그랜드 오더
뉴비가 아닌 한 1부를 클리어하면 기기를 바꿔서 페그오를 설치한 직후에나 볼 수 있다.
파일:fgo_title2nd_kr_r2.png
Fate/Grand Order Epic of Remnant
페이트/그랜드 오더 에픽 오브 렘넌트
변경 조건 : 종국특이점 관위시간신전 솔로몬(1부 종장) 클리어
'Epic of Remnant'는 메인 스토리 1.5부의 부제이다.
2부가 나온 뒤 1.5부는 2부로 넘어가면 언제든 진행할 수 있도록 했는 지라 대부분 2부로 바로 넘어간다. 때문에 1.5부가 현역이었을 때가 아니면 1부 클리어 직후에나 볼 수 있는 굉장히 보기 힘든 화면이 되었다.
파일:fgo_title3rd_kr2.png
Fate/Grand Order Cosmos in the Lostbelt
페이트/그랜드 오더 코스모스 인 더 로스트벨트
변경 조건 : 2부 서 클리어
'Cosmos in the Lostbelt'는 메인 스토리 2부의 부제이다.
파일:fgo_title4th_kr.png
Fate/Grand Order Cosmos in the Lostbelt
페이트/그랜드 오더 코스모스 인 더 로스트벨트
변경 조건 : 비영장생존권 퉁구스카 생추어리 프롤로그/에필로그 클리어
이전 두 화면과 다르게 2부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타이틀 화면이 변경된다.

타이틀 화면 왼쪽 아래에는 '인계(日)/계정 연동(韓)'과 '캐시클리어' 버튼이 있다.
  • 인계(引き継ぎ)(日) : 인계코드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등장한다. 알맞게 입력하면 해당 인계코드와 연결된 페그오 계정의 진도에 맞게 타이틀 화면이 변경된다. 인계코드는 연동이 완료되면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인계 완료 후에는 반드시 새로 인계코드를 발급받아야 한다.(MENU-마이룸-인계코드)
    2024년 5월 7일(화) 15시부터는 페그오의 유통사인 애니플렉스에서 운영하는 애니플렉스 온라인의 계정과 연동이 가능해졌다.
  • 계정 연동(韓) : 구글 계정(안드로이드)/애플 계정(iOS)/페이스북 계정(공통)과 연동하는 창이 등장한다. 연동이 완료되면 해당 계정와 연결된 페그오 계정의 진도에 맞게 타이틀 화면이 변경된다.
  • 캐시클리어 : 예전에 진행한 이벤트 데이터나 서번트 모션/음성 등 편의를 위해 받았던 데이터를 클리어(삭제)해서 접속을 원활하게 하고 게임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캐시 클리어를 한다고 해서 계정이 날라가는 건 아니다.
타이틀 화면 아래쪽에는 해당 계정의 ID를 표시할 수 있는데, 터치를 통해 비표시 혹은 표시되고 디폴트는 가려져 있다. 한그오에서는 2023년 8월 17일 2023년 편의성 업데이트가 적용된 Ver.5.0.0부터 적용되었다.

3. MENU

파일:NKTuSzy.jpg 파일:페그오 메인 메뉴 2부.jpg
1부 2부
오른쪽 아래에 있는 MENU 버튼을 누르면 등장하며, 부가 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3.1. 터미널 Terminal

메인 화면. 퀘스트를 진행하고 아이템을 수령하며 미션을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 이외의 메뉴에서는 터미널 화면으로 이동한다. 일그오에서는 2020년 5주년 캠페인 직전, 한그오에서는 2021년 편의성 대규모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터미널 화면 이외의 화면에서 터치 시에는 터미널 화면으로 이동한다. 2부 서 클리어를 기점으로 아이콘이 달라진다.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야 하는 마이룸의 메인 스토리/서번트/이벤트 퀘스트에서의 기록 외에는 필요성이 그렇게 높지는 않다. 왼쪽 상단의 닫기 메뉴만으로도 터미널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3.2. 편성 Formation

서번트와 개념예장으로 파티와 서포트를 구성하고, 영기보관함(창고)를 관리할 수 있다.

3.3. 강화 Synthesis

서번트와 개념예장을 강화시킬 수 있다.

3.4. 소환(영기소환) Grand Summon

성정석/호부 및 프렌드 포인트를 사용해 가챠를 돌려서 서번트와 개념예장을 뽑는다.

MENU의 소환 항목 오른쪽 위에 붙은 숫자는 프렌드 포인트로 소환가능한 횟수를 의미하며, 보유 포인트가 20만을 넘으면 999+로 일괄 표기된다.

3.5. 상점(다빈치 공방) Shop

서번트/개념예장을 팔아버리거나 마나프리즘/레어프리즘을 교환하며, 성정석을 교환하거나 구매한다. 영의개방권을 교환하거나 성배를 만들거나 특수소환을 할 수도 있다.

'기간한정' 문구는 기간한정으로 마나프리즘/레어프리즘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것이 있다는 걸 알려준다. 매월 1일에 마나프리즘 교환 샵 내 항목 전부와 레어프리즘 교환 샵 내 항목 대부분이, 매월 16일에 레어프리즘 샵 내 항목 일부가 리필되기 때문에 표시된다.

3.6. 프렌드&팔로우 Friends & Follow

프렌드와 팔로우를 확인하는 메뉴. 프렌드를 초대하거나 받을 수 있다. 프렌드가 되면 프렌드의 서번트를 파티에 편성해서 보구도 사용할 수 있고, 프렌드 포인트를 25씩 받게 된다. 대부분의 퀘스트에서 서포트 서번트 1기 편성을 기본으로 하는 페그오에서는 서포트 서번트 하나로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뉴비일 때는 관련 커뮤니티에 프렌드 요청을 하는 것이 좋다. 아래의 팔로우와 다른 건 메인 시나리오 뿐만 아니라 이벤트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팔로우는 상대방의 승인 없이 프렌드 등록을 유사하게 할 수 있는 초보자 전용 시스템이다. 프렌드처럼 보구도 사용할 수 있다. 메인스토리 1부에서 상대방의 서번트를 서포트로 사용한 뒤, 게임 종료 화면에서 등록할 수 있으며, 메인스토리 1부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6주년 캠페인 이후에는 2부 6장까지, 팔로우 인원은 최대 5명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되었고, 이후 최신 스토리까지, 인원도 10명까지로 확대되었다.

메인 시나리오 진도는 이벤트 진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프렌드 추가가 여의치 않다면 야생의 유저들의 서포트 창을 확인한 뒤에 팔로우라도 하는 것이 좋다. 1부 진행에 도움이 되는 아래의 서번트들이 있다면 팔로우를 걸고 써먹자.
  • 헤라클레스(+인연예장 '눈의 성')
    1부 종장은 인연 레벨에 따라 데미지가 상승하는데, 인연 레벨 10일 때가 최대치가 된다. 또한 인연 예장은 인연 레벨 10일 때 입수할 수 있는데, 헤라클레스의 인연 예장인 '눈의 성'은 HP가 0이 되면 적은 HP로 살아나는 근성(거츠) 3회이다. 때문에 1부에서 가장 많은 HP를 가진 적과 상대하는 1부 종장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외에도 장기전이 요구될 경우에는 최후의 보루로 채용하면 된다.
    인연예장을 소지한 헤라클레스를 잘 써먹으려면 근성과 관련된 페그오의 전투 매커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근성이 발동된 상태에서 자신 외의 다른 서번트가 있다면, 다음 공격은 근성이 발동된 서번트 외의 적을 때린다. 만약 인연예장 소지 헤라클레스가 혼자 있다면 근성이 발동된 시점에서 적의 공격은 끝나는 것이다. 다만, 근성이 발동된 후의 다음다음 공격은 근성이 발동된 서번트도 대상이 되고, 무엇보다 평타가 전체 공격인 경우는 근성 횟수만 낭비하므로 주의하자.
    추가로 3스킬 강화 여부도 체크할 필요가 있는데, 3스킬이 강화되면 인연예장을 지니고 있는 상태에서 근성이 중복되지만, 강화되지 않으면 중복되지 않아서 스킬을 낭비하게 된다.
  • 육성이 잘 된 초인 오리온
    뉴비들이 가장 먼저 부딪히게 되는 1부 6장의 '통곡의 벽'을 담당하는 서번트. 초인 오리온의 버스터 카드가 둘 이상 있는 상태에서, 2스킬로 스타를 생성하고 3스킬로 스타를 자신에게 모은 뒤 1스킬로 버스터 성능 상승을 올려서 때리면 높은 확률로 보구 위력급의 강력한 데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크리티컬 위력을 올려주는 공명이나 멀린이 보조해주면 더 좋다. 다만 보구는 버프형이라는 것에 주의.
    육성이 잘 된 에우리알레로 대체가 가능한데, 이쪽은 남성 특공에 매혹을 걸어서 상대의 턴을 낭비한다. 다만 초인 오리온에 비하면 서포트 창에서 볼 확률이 낮은 편이다.
  • 1스킬과 2스킬 MAX, 보구 고렙의 아르주나 [얼터]
    1부에서는 버서커의 역상성인 포리너가 없기 때문에 아르주나 [얼터]가 큰 도움이 된다. 약체 특공 효과가 있는 1스킬을 먼저 사용하고 보구를 사용하면 보구에 달린 버스터 내성 하락 때문에 알아서 약체 특공 효과가 들어간다. 이걸 보고 있으면 뉴비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신'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 것이다.
    다만 버서커 특성상 이쪽도 그만큼 데미지도 많이 들어가므로 보호를 잘 해주어야 한다. 또한 서포트로 나온 아르주나 [얼터]는 대부분 NP 차지 예장을 끼고 있어서 2스킬 사용 시 보구 즉발이 가능할 테지만, 연발이 필요할 경우에는 NP 차지도 신경써주어야 한다.
  • 멀린
    화력으로 찍어누를 수 없는 적과 싸울 경우에는 상대의 보구나 엑스트라 어택을 버티는 서포터가 필요한데, 멀린은 2스킬로 전체 무적을 걸어서 아군 파티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NP를 차지해서 보구를 사용하면 5턴간 회복이 되는지라 장기전도 가능하다. 아군 전체의 공격력 상승+NP 20차지의 1스킬과 버스터 성능 상승+크리티컬 위력 상승+최대 HP 상승의 3스킬도 파티에 큰 도움이 된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서번트도 여럿이 있는데, 알트리아 캐스터는 보구에 대숙정방어라는 게 있어서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횟수이며 보구 체인을 통해서 사용해야만 진정한 효과가 발휘되며, HP 회복이 없다. 타마모노마에는 멀린보다 더 직접적으로 힐러 역할을 하지만, 파티를 보호할 수 없다. 잔 다르크는 보구에 전체 무적이 있지만 서포트 능력이 멀린보다 약하다. 이들도 필요한 구석이 있기는 하지만, 일단 1부 기준이라면 멀린이 가장 쓸 만 할 것이다.

이 친구&팔로우의 유저 검색 항목은 자신의 유저 ID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3.7. 마이룸 My room

기록을 보거나 아이템을 확인하거나 여러 가지 설정을 할 수 있는 항목. 왼쪽 하단에 대회창을 터치하면 호감표시로 해둔 서번트들의 대사를 들을 수 있다. 파티의 구성에 따라서는 특수대사가 추가되기도 하며 이벤트 기간 중에는 마이룸 배경이 바뀌기도 한다. 계정 연동과 관련된 항목도 있어서 일그오는 특히 참고해야 한다.

MENU의 마이룸 항목 오른쪽에 붙은 '최신 기록'을 터치하면 직전 메인 시나리오나 이벤트 메인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