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5:01:50

Dead Flowers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Sticky Fingers.jpg
Sticky Fingers
Track listing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fff,#000,#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ide A
<rowcolor=#d82d2f> 트랙 곡명 러닝타임
<colcolor=#000000,#FCF8EC> 1 Brown Sugar 3:48
2 Sway 3:50
3 Wild Horses 5:42
4 Can't You Hear Me Knocking 7:14
5 You Gotta Move 2:32
Side B
<rowcolor=#d82d2f> 트랙 곡명 러닝타임
1 Bitch 3:38
2 I Got the Blues 3:54
3 Sister Morphine 5:31
4 Dead Flowers 4:03
5 Moonlight Mile 5:56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
}}}}}}}}}}}} ||


Dead Flowers
<colcolor=#d82d2f><colbgcolor=#fff> 앨범 발매일 1971년 4월 23일
수록 앨범
스튜디오 올림픽 스튜디오
장르 컨트리 록
작곡/작곡 재거-리처즈
프로듀서 지미 밀러
러닝 타임 4:04
레이블 롤링 스톤스

1. 개요2. 상세3. 가사

1. 개요

1971년 Marquee club에서의 라이브 1972년 라이브
영국의 록밴드 롤링 스톤스의 9집 Sticky Fingers의 싱글곡이자 수록곡.

2. 상세

컨트리 뮤직 계열의 롤링 스톤스 곡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곡중에 하나이다. 컨트리 뮤직 가사 특유의 해학성이 돋보이는 믹 재거의 재치있는 가사가 고평가받았다. 여기서 '여자' 혹은 '너'는 헤로인이라는 것이 가장 유력한 해석이다. '지하의 여왕'인 헤로인에 취하면 죽을 때까지 그의 마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한편으로 마리안느 페이스풀과 헤어지고 나서 믹 재거의 심정이 담겨있는 곡이라는 썰도 있다.

스튜디오에선 믹 테일러의 속주가 많이 자제되어 있는 상태로 녹음되었지만[1], 라이브에서는 믹 테일러가 미친 속주 연주를 보여준다.

3. 가사


Dead Flowers
Well when you're sitting there in your silk upholstered chair
그래 네가 실크 의자에 앉아있을 때 말야
Talkin' to some rich folk that you know
너는 너의 부자 친구들에게 말을 걸고 있겠지
Well I hope you won't see me in my ragged company
그래, 나는 네가 내 비루한 옷을 입은 친구들을 보지 않기를 바라
Well, you know I could never be alone
맞아, 난 절대 혼자일리 없거든

Take me down little Susie, take me down
작은 수지여, 나를 절망에 빠뜨려 줘
I know you think you're the queen of the underground
네가 이 바닥의 여왕이라고 생각하는걸 알아

And you can send me dead flowers every morning
그리고 너는 내게 죽은 꽃들을 매일 아침에 보낼 수 있지
Send me dead flowers by the Mail
우편으로 죽은 꽃들을 보내줘
Send me dead flowers to my wedding
내 결혼식에 죽은 꽃들을 보내줘
And I won't forget to put roses on your grave
그리고 나는 네 무덤에 장미꽃을 두는걸 잊지 않을게

Well when you're sitting back in your rose pink Cadillac
그래, 너는 너의 장미빛 핑크 캐딜락에 앉아서[2]
Making bets on Kentucky Derby Day
캔터키 더비 데이에 베팅을 하겠지[3]
I'll be in my basement room with a needle and a spoon
나는 내 지하실에 바늘과 스푼을 가지고 있겠지[4]
And another girl can take my pain away
그리고 다른 여자가 내 고통을 없애줄거야

Take me down little Susie, take me down
작은 수지여, 나를 절망에 빠트려 줘[5]
I know you think you're the queen of the underground
난 네가 이 바닥의 여왕이라고 생각하는걸 알아

And you can send me dead flowers every morning
그리고 너는 내게 죽은 꽃들을 매일 아침에 보낼 수 있지
Send me dead flowers by the Mail
우편으로 죽은 꽃들을 보내줘
Send me dead flowers to my wedding
내 결혼식에 죽은 꽃들을 보내줘
And I won't forget to put roses on your grave
그리고 나는 네 무덤에 장미꽃을 두는걸 잊지 않을게

Take me down little Susie, take me down
작은 수지여, 나를 절망에 빠트려줘
I know you think you're the queen of the underground
난 네가 이 바닥의 여왕이라고 생각하는걸 알아

And you can send me dead flowers every morning
그리고 너는 내게 죽은 꽃들을 매일 아침에 보낼 수 있지
Send me dead flowers by the U.S. Mail
미국 우편으로 죽은 꽃들을 보내줘
Send me dead flowers to my wedding
내 결혼식에 죽은 꽃들을 보내줘
And I won't forget to put roses on your grave
그리고 나는 네 무덤에 장미꽃을 두는걸 잊지 않을게
No, I won't forget to put roses on your grave
나는 절대 네 무덤에 장미꽃을 두는걸 잊지 않을게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

[1] 롤링 스톤스는 전통적인 로큰롤 밴드로서의 정체성이 있고, 테크닉보다는 그루브를 더 중요시했기에 속주 연주는 이 곡과 어울리지 않다고 판단한 듯하다.[2] 당시에는 캐딜락이 부르주아의 상징이었다.[3] 미국의 경마 축제라고 한다.[4] 바늘과 스푼 모두 마약 복용에 쓰이는 도구이다[5] take one's down은 가사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인데 밑, 하강으로 상대방을 끌어내리는 부정적인 뉘앙스로 이해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