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0:17:48

Pathos(프로게임단)

CTU Pathos에서 넘어옴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대한민국 NeL Team Hunters SuperStar MiG
Team XD NEB GJR StarTale
Team NB Midas FIO Alienware Arena PSW Ares
Quvic Xenics Modslook Monster Gaming GSG
Team OP CTU Young Boss MKZ
SBENU KOREA Dark Wolves Pathos Virtuoso Gaming
BPZ CJ ENTUS RGA MVP
VSG RunAway Element Mystic Jin Air Greenwings
Griffin ESC Shane SeolHaeOne Prince OZ Gaming
중국 EHOME Team Livemore Wings of Aurora Energy Pacemaker
Team DK Energy Pacemaker.Carries Game Talents Saint Gaming
IN Gaming I May Newbee Legend Dragon
D7G Esports Club LinGan e-Sports Team Orange TWELVE
Rare Atom
대만/홍콩/마카오 GashBears Wayi Spider Team Afro Flash Wolves
G-Rex MAD Team Team Yetti ahq e-Sports Club
Hong Kong Attitude Machi Esports Nate9527 Beyond Gaming
Taipei J Team
베트남 OverPower Esports EVOS Esports SBTC Esports Genius Esports
AS Esports Rainbow Warriors MGN Blue Esports Team Secret
동남아시아 Go To Sleep MEGA Ascension Gaming Resurgence
Nova Esports BOOM Esports Liyab Esports
일본 Okinawan Tigers Salvage Javelin Apex R Gaming RABBITFIVE
PENTAGRAM Team Blackeye BowQen Blackbucks Unsold Stuff Gaming
Smash It Down AKIHABARA ENCOUNT FENNEL Crest Gaming Act
오세아니아 TEAM4NOT Rich Gang Team Immunity Sudden Fear
Trident Esports Infernum Gaming Hellions e-Sports Club Team Exile5
Team Regicide Tectonic Bombers ORDER
Gravitas PEACE Pentanet.GG Vertex ESC
MAMMOTH
{{{#!wiki style="margin: -16px -11px" 해체된 EMEA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해체된 아메리카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external/attach.s.op.gg/20160202173410.deebb295ba4bea6aafe2371ac6fe7ef9.png
<colbgcolor=#fbd504><colcolor=#373837> 파토스
Pathos
창단 2015년 4월
해체 2016년 7월
팀명 Pathos(2015.4~2015.10)
CTU Pathos(2015.10~2016.1)
Pathos(2016.1~2016.7)
약칭 PTS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개요2. 행적3. 성적4. 멤버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PTS.

롤 챌린저스 코리아에서 활동한 준 프로팀이며, 전남과학대학교의 스폰을 받았다.[1] 현재 여기서 소개되는 선수들은 대학생 리그 등에 출전한 선수들이 아닌 기존의 파토스 선수들과 그 외에 프로게이머를 지망하는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2. 행적

파일:external/attach.s.op.gg/20160202173410.deebb295ba4bea6aafe2371ac6fe7ef9.png 파일:CTU_logo2.webp 파일:external/attach.s.op.gg/20160202173410.deebb295ba4bea6aafe2371ac6fe7ef9.png
Pathos CTU Pathos Pathos
파토스 CTU 파토스 파토스
2013 ~ 2014 2014 2014 ~ 2015

2015 롤챌스 서머에서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하지만 최종 순위는 4위에 그치고 말았다. 여담으로 롱주 2군을 시비르로 쿼드라킬 두번 띄우고 양학(...)한게 이팀. 그리고 롱주 2군이 삼성 1군을 이겼다.

팀명을 CTU Pathos로 바꿔서 NAVER 2015 LoL KeSPA Cup에 출전을 하였다. 예선은 롤 챌린저스 참가팀 자격으로 출전했다. 여기서 통과 후 본선 12강에서 같은 예선 출신이자 챌린저스 리그 출신 영 보스를 만났다. 11월 6일 2번째로 벌어진 이 경기에서 2:0으로 영 보스를 잡아내며 8강 진출에 성공했다. 상대인 영 보스는 같은 아마추어(혹은 준프로)팀이고, 롤드컵에 단 한 경기 출전경험이 있는 크레이머까지 영입하며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다. 허나 뚜껑을 열어보니 한 수 앞선 기량으로 무난하게 8강 진출. 경기에서는 픽밴부터 라인전과 소규모 난전 운영에 걸맞은 픽을 선택하더니 자신들이 원하는대로 라인전부터 게임을 터뜨렸다. 지난 롤 챌린저스에서 4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에 형성되었던 팀이 맞는지 의심될 정도로 달라진 경기를 보였다. 그러나 상대가 5위팀이었다는 게 함정(...) 8강 상대는 kt 롤스터로 정해졌다.
8강에서 KT 롤스터에게 1:2로 패배했다.

2016 롤챌스 서머에서 8위를 기록하고 시드권를 박탈당했다. 그 후 로스터는 흩어진 듯.

3. 성적

Pathos
기간 순위 대회 결과 상대 팀 획득 상금
2015.07.30 <colbgcolor=#166f82> 4위 2015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League 1 1:0 Winners ₩ 4,000,000
2015.11.09 5~8위 NAVER 2015 LoL KeSPA Cup 1:2 kt 롤스터 ₩ 5,000,000
2016.03.29 6위 2016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0:2 Dark Wolves ₩ 4,000,000
2016.07.19 8위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0:2 SBENU KOREA ₩ 3,000,000

4. 멤버

Pathos
코치 김산하
코치 김동훈
한상훈(Gojung)
정글 정태훈(BINS)
미드 한상혁(Owl)
원딜 전지호(HoG)
정관호(Hehe)
서포터 송주영(Oxb)
차우재(Cat)
  • 양여명(Meng/Mid)
  • 손민혁(Satomi/Jungle) : 現 콩두 몬스터 정글
  • 김준영(Exile/Top) : 진에어 그린윙스로 이적
  • 유선우(GAP/AD) : 유럽 2부 Team Forge로 이적
  • 고재욱(Mangchi/Mid)
  • 김경탁(Dokgo/Jungle) : SK Gaming으로 이적
  • 민주성(Mimic/Top) : 유럽 2부 Team Forge로 이적. 이후 스베누 코리아로 이적
  • 한재민(JM/Sub(Support))
  • 오효상(Hyvaa/Sub(Mid))
  • 김태겸(Mocha/Support) : 유럽 2부 Team Forge로 이적
  • 배용준(Gari/AD) : 유럽 2부 Team Forge로 이적
  • 문건영(L1sure/Jungle) : kt 롤스터로 이적
  • 유세훈(Biken/Top) : 일본 2부 DetonatioN Rising으로 이적
  • 김민찬(Chani/AD)
  • 한상훈(Gojung/Top)
  • 정태훈(BINS/Jungle) : 터키 NumberOne Esports로 이적
  • 한상혁(Owl/Mid)
  • 박승훈(HoonPark/??)
  • 전지호(HoG/AD) : Clomount로 이적
  • 정관호(Hehe/Sub(AD))
  • 송주영(Oxb/Support) : 현 GRIFFIN 소속
  • 차우재(Cat/Sub(Support))
  • 김산하(Sickness) : 유럽 2부 Team Forge로 이적

[1] CTU는 단순히 네이밍스폰서 형식으로 참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