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七和音 / Seventh chord어떤 3화음에 제7음을 붙여서 만든 화음이다.
기본적으로 7화음은 으뜸음과 7도 관계가 있으므로 원칙적으로는 불협화음이 되나, 으뜸음의 7배음은[1] 으뜸음의 단7도 관계인 음이므로 어느 정도는 협화음의 성질이 있다. 즉, 협화음과 불협화음의 경계에 있는 화음이라고 볼 수 있겠다.
2. 만드는 방법과 종류
7화음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다. 아래를 참고하자.- 속7화음, 딸림7화음
Dominant 7th Chord(X7)● ● ● ●
가장 대표적인 7화음이다. 장3화음(X)에 단7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 루트(으뜸음), 장3도, 완전5도, 단7도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성격에 대해선 딸림7화음 문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약간 거리감이 느껴지고, 블루스 등에서(ex. C7-F7) 많이 사용되며 도미넌트 코드에서 불안정함을 보인다. - 장7화음
Major 7th Chord(X△7, Xmaj7, XM7)● ● ● ●
장3화음(X)에 장7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 루트, 장3도, 완전5도, 장7도로 구성된다. 3/5/7의 자리만 떼어보면 단3화음과 같은 구성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장화음에 비해 다소 중성적이기에 도시적이고 세련된 느낌이 들며, 재즈 음악에서 자주 사용된다. (Ex. Dm7-G7-Cmaj7...) - 단7화음
Minor 7th Chord(X-7, Xm7)● ● ● ●
단화음(Xm)에 단7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 루트, 단3도, 완전5도, 단7도로 구성된다. 3/5/7의 자리만 떼어보면 장3화음과 같은 구성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단화음에 비해 다소 중성적이기에 중후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세련된 느낌도 든다. - 단장7화음
Minor-Major 7th Chord(X-(△7), XmM7)● ● ● ●
단3화음과 장7화음의 복합체. 루트, 단3도, 완전5도, 장7도로 구성된다. 3/5/7의 자리가 증3화음의 구성으로 독특한 느낌이 있어 미스터리한 느낌, 설명할 수 없는 미묘한 감정을 느끼게 한다. 보통 m - mM7 - m7와 같이 순차적 진행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감7화음
Diminished 7th Chord(Xo7, Xdim7)● ● ● ●
감화음(Xdim)에 7음을 붙여서 만든 코드. 루트, 단3도, 감5도, 감7도로 구성된다. 감7도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 장6도와 동일한 자리를 가지기 때문에[2] 다른 7화음과는 성격이 약간 다르다. 불가사의한 느낌, 불안감을 쓰임에 따라 줄 수 있다. 패싱 디미니쉬드 진행(ex. Cmaj7 - C#dim7 - Dm7)에서 자주 사용하거나 대리 코드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7화음 중 감7화음만이[3] 가진 고유한 특성으로, 자리바꿈을 하면 코드네임이 완전히 바뀐다는 것이다.[4][5] 음의 간격이 같고 나누어 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고유한 음 구성을 가진 감7화음은 단 3개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다른 7화음의 경우엔 자리바꿈을 해도 분수코드로서 근음만 바뀌지만 , 감7화음의 경우엔 코드네임 자체가 완전히 바뀌어 버린다는 것이다. - 감장7화음
Diminished Major 7th Chord(Xo(△7), XdimMaj7,XdimM7)● ● ● ●
감화음에 장7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 루트, 단3도, 감5도, 장7도로 구성된다. 많이 사용되는 화음은 아니며, 대개는 단독 사용보다는 #9 텐션이 붙은 도미넌트 세븐스(7#9)의 보이싱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보니 이 화음은 사용에 따라 구성음들과 근음 간의 불협화적 관계보다는 오히려 근음을 제외한 구성음들이 장3화음을 이뤄서[6] 생기는 협화적 관계를 중점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 반감7화음
Half-Diminished 7th Chord(Xø, Xø7, Xm7(b5), Xm7(-5))● ● ● ●
감화음에 단7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 다만 m7b5 표기가 많이 활용된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 단7화음(Xm7)에 감5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로도 볼 수 있다. 루트, 단3도, 감5도, 단7도로 구성된다. 장조 기준 이끎음(leading-tone) 자리의 7화음 - 즉 이끎7화음이 이 반감7화음(viiø7)에 해당된다. 표기에서 감화음을 X°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반감7화음은 이걸 이용하여 X°7에서 °을 반 그어, 즉 ø와 같은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릴레이티드 투마이너 진행에서 IIm7(-5) - V7 - Xm7 등으로 진행하는 데 자주 쓰인다. 반감7화음의 특징 중 하나로 자리바꿈을 한 형태가 단6화음과 음이 같다. 일례로 B로 시작하는 반감7화음 (B-D-F-A)는 자리바꿈을 하면 Dm6 (D-F-A-B, D로 시작하는 단6화음)가 된다. - 증7화음
Augmented 7th Chord(X+7, Xaug7, X7(#5), X7(+5))● ● ● ●
증화음(Xaug)에 단7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 루트, 장3도, 증5도, 단7도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증화음의 명칭을 동간격에 한정하여 엄격하게 보아 증7화음은 존재하지 않으며, 증7화음에 해당하는 화음을 속7화음의 변형(altered) 형태로만 보는 경우도 있다. 실제 사용례도 증화음이 확장된 증7화음으로 쓰여지는 경우는 많지 않고, 대부분 속7화음에 b13이 들어간 텐션 코드, 또는 속7화음의 5도 자리를 반음 올리는 변형 코드로써 활용된 경우를 더 많이 볼 수 있다. - 증장7화음
Augmented Major 7th Chord(X+(△7), Xmaj7(#5), Xmaj7(+5), XM7(#5), XM7(+5))● ● ● ●
증화음에 장7도를 붙여서 만든 코드. 루트, 장3도, 증5도, 장7도로 구성된다. 증7화음에서도 써놓았듯 증화음의 명칭을 엄격하게 보는 경우에는 없는 화음 취급으로, 장7화음의 변형 형태로만 보기도 한다. 단조 중 화성, 가락단음계 기준 중간음 자리의 7화음 - III+△7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지만, 이 코드는 거의 쓰이지 않는 코드 취급을 받는다. 이 점에서도 알 수 있듯 불협이 심한 화음이며, 텐션 코드에서도 장7화음에 b13이 붙지는 않기 때문에 보기 쉽지 않은 코드다.
이외에 altered의 형태를 가진 속7화음, 가령 dominant seventh flat five(X7b5, X7-5), major seventh flat five(X△7-5, XM7b5, Xmaj7b5)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렇게 표시되는 경우보다 #11이 들어간 텐션 코드의 형태로 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
3. 변형과 첨가
- 도리안 단 7화음(dorian minor 7th) = 단 3도, 장 3도 간격으로 교대로 쌓아서 만든 화음
- 리디안 장 7화음(lydian major 7th) = 장 3도, 단 3도 간격으로 교대로 쌓아서 만든 화음
- 여러가지 텐션 노트(9, 11, 13...)등을 첨가하여 Cm9, C7(#9,b13)같은 코드를 만들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텐션 항목 참조.
[1] 으뜸음이 C라면 첫 8배음은 C, C, G, C, E, G, Bb C로 구성된다. 물론 평균율과 순정률의 진동수와는 차이가 있다.[2] 단 이것은 12-TET 평균율에 한해서이다.[3] 모든 화음으로 따지면 3화음의 증3화음도 이 특성을 가진다.[4] 단 이것은 12-TET 평균율에 한해서이며 19-TET의 평균율에서는 감7도와 장6도의 음이 다르기 때문에 자리바꿈을 하면 코드네임이 완전히 바뀌지 않는다.[5] 단 화성학 적으로 표기할 때는 분수코드와 일반코드의 올바른 표기가 다르다. 일례로 F#dim7/C의 경우는 C, E♭, F#, A로, Cdim7의 경우는 C, E♭, G♭, B♭♭으로 표기해야 화성 상 올바르다.[6] 3음과 5음, 7음(이명동음)이 장3화음의 6화음(첫째 자리바꿈) 형태를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