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 |
| |
국가 | 대한민국 |
설립일 | 2014년 7월 3일 |
주최 | 한국정신문화재단 |
주관 |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안동시 |
후원 | 한국국학진흥원, 국립안동대학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조선일보, 매일경제 |
장소 | 안동국제컨벤션센터, 안동문화예술의전당, 구름에 리조트, 안동시 일원 |
주제 | 인문가치 확산 및 실천 |
대표 프로그램 | 기조 강연, 세션 토론, 문화 프로그램 |
누적 참가자 | 약 80,000명 (2023년 기준) |
홈페이지 및 SNS | |
|
1. 개요2. 비전 및 목표3. 참여 기관 및 단체 소개4. 역대 21세기 인문가치포럼
4.1. 제11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2. 제10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3. 제9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4. 제8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5. 제7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6. 제6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7. 제5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8. 제4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9. 제3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10. 제2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4.11. 제1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5. 세계인문도시네트워크 (World Humanistic Cities Network, WHCN)1. 개요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
이 포럼은 2014년에 시작되어, 인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 세계적 교류와 협력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 매년 인류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실천적인 인문적 가치를 주제로 삼아, 다양한 학술 발표, 세션 토론, 문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글로벌 학자, 정책 결정자, 문화 예술계 인사들이 모여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안동시가 공동주관하며,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주목받은 인문·정신 문화의 중요성을 기반으로 탄생했다. 박근혜정부는 인성교육 실현을 위해 인문정신과 인문가치를 정책 기조로 삼아 이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인문 콘텐츠 개발을 통해 문화융성 시대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
포럼은 사회적 문제와 인문적 가치 간의 접점을 모색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같은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그 속에서의 인간다움과 공동체 정신의 역할을 탐구한다. 또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고유의 전통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21세기 인문가치포럼은 단순한 학술적 행사를 넘어, 지속 가능한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 인문학적 가치의 현대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며 국제 사회와의 협력과 소통을 촉진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2. 비전 및 목표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비전 및 목표 Vision & Goals | |
| |
비전 Vision | 물질문명과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 삶의 풍요와 편익을 제공하였지만, 오히려 불평등이 심화되고 인간성의 상실을 가져왔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인류사회에 적합한 보편적 인문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포용적 인문가치를 계승 발전시키고, 개인과 사회를 안정화시켜 인류의 평화와 공존 번영에 기여하고자 한다. Despite the many achievements of material civilization that have allowed science and technology to provide great affluence and benefits, these developments have led to serious inequalities and decline of humanity. To resolve these issues, the forum seeks to present universal human values suited to global society. The forum attempts to contribute to peace and coexistence of mankin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developing tolerant human values and contributing to the stabilization of both individuals as well as communities. |
목표 Goals | - 인류 보편적 인문가치 제안 : 사회와 개인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 - 인문학적 가치 확산 : 현대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인문학적 통찰 제공. - 평화와 공존 : 지역과 글로벌 커뮤니티 간의 협력 증진을 통한 상생 추구. -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 : 포용적이고 인간 중심의 미래 비전 제시. - 지역 문화 및 전통 계승 : 지역 기반의 전통 문화를 세계와 공유하며 발전시키는 기회 마련. |
3. 참여 기관 및 단체 소개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참여 기관 및 단체 소개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 |
주최 기관 |
- 한국의 정신문화와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기관.
- 인문학적 가치 확산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함.
- 포럼의 전반적 기획과 운영을 책임지고 있음. ||
주관 기관 |
- 대한민국의 문화, 체육, 관광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 행정기관.
- 인문학적 가치 확산과 국제적 협력 강화를 위해 본 포럼을 주관.
경상북도
- 대한민국의 전통문화를 보존·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광역자치단체.
- 지역 문화의 세계화를 지원하며 포럼 운영에 핵심적 역할 수행.
안동시
-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다수 보유한 전통문화의 중심 도시.
- 포럼 개최지로서 지역 내 문화 자원을 활용하여 전 세계와 연결. ||
후원 단체 |
- 전통 기록문화와 유교문화를 보존·활용하는 연구기관.
- 포럼의 학술적 기반 제공 및 전통문화 확산을 위한 협력.
국립안동대학교
- 지역 기반의 국가 거점 대학으로 인문학 연구에 기여.
- 학술 세션 및 연구 교류 지원을 통해 포럼 발전에 기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 유네스코의 목표 실현을 위해 활동하는 한국 내 국제기구.
-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며 포럼을 지원.
조선일보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언론사로, 포럼의 홍보 및 콘텐츠 확산에 기여.
매일경제
- 경제 전문 언론사로, 포럼의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홍보 및 지원. ||
4. 역대 21세기 인문가치포럼
4.1. 제11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11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24 | |
| |
행사기간 | 2024년 10월 31일(목) ~ 11월 2일(토) |
행사장소 | 안동국제컨벤션센터 |
행사주제 | 인간다움, 사회적 관계의 회복 Humanitas: Re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
기조 강연 | 김형석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이석재 (서울대학교 교수)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14개국, 131명 전체참가자: 현장 7,875명, 온라인 5,914명 |
2024 인문가치대상 수상자 | 단체부문 대상: 재단법인 플라톤아카데미 개인부문 대상: 조연현 작가 |
4.2. 제10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10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23 | |
| |
행사기간 | 2023년 10월 27일(금) ~ 10월 29일(일) |
행사장소 | 안동국제컨벤션센터 |
행사주제 | 인간다움, 우리는 누구인가 Humanitas: Redefining Who or What We Are |
기조 강연 | 이리나 보코바 (제10대 유네스코 사무총장) 데니스 노블 (옥스퍼드대학교 명예교수)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10개국, 118명 전체참가자: 현장 4,717명, 온라인 11,301명 |
2023 인문가치대상 수상자 | 단체부문 우수상: 사단법인 더프라미스 개인부문 대상: 이용태 (박약회 회장) |
4.3. 제9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9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22 | |
| |
행사기간 | 2022년 9월 21일(수) ~ 9월 23일(금) |
행사장소 | 안동국제컨벤션센터 |
행사주제 | 대전환, 그 너머의 세상 – 인류를 위한 질문 Great Transformation, The World Beyond: Questions for Humanity |
기조 강연 | 김황식 (제41대 국무총리)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IVI) 사무총장)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3개국, 131명 전체참가자: 현장 3,691명, 온라인 8,051명 |
2022 인문가치대상 수상자 | 단체부문 대상: 정토회 개인부문 대상: 두봉 레나도 (초대 천주교 안동교구장) 개인부문 우수상: 윤정현 (정남진산업고등학교 교사) |
4.4. 제8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8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21 | |
| |
행사기간 | 2021년 10월 7일(목) ~ 10월 9일(토) |
행사장소 | 안동시 전통리조트 구름에 |
행사주제 | 공감과 위로 Empathy and Consolation |
기조 강연 |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김병일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 김하종 (안나의 집 대표)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5개국, 116명 전체참가자: 현장 1,112명, 온라인 9,313명 |
2021 인문가치대상 수상자 | 단체부문 대상: 사단법인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 단체부문 우수상: 청년문간사회적협동조합 개인부문 대상: 김하종 신부 (사회복지법인 안나의 집) |
4.5. 제7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7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20 | |
| |
행사기간 | 2020년 10월 30일(금) ~ 11월 1일(일) |
행사장소 | 안동시 전통리조트 구름에 |
행사주제 | 문화 다양성 시대의 사회적 가치 Social Values in the Age of Cultural Diversity |
기조 강연 |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명자 (서울국제포럼 회장)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5개국, 139명 전체참가자: 현장 1,320명, 온라인 10,070명 |
2020 주요 프로그램 | 기조 강연, 주제별 세션, 문화 체험 및 네트워킹 |
4.6. 제6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6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19 | |
| |
행사기간 | 2019년 9월 5일(목) ~ 9월 7일(토) |
행사장소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
행사주제 | 4차 산업혁명 시대, 포용적 인문가치 Inclusive Human Values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기조 강연 | 반기문 (제8대 UN사무총장) 오세정 (서울대학교 총장)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10개국, 106명 전체참가자: 8,300여 명 |
2019 주요 프로그램 | 기조 강연, 주제별 세션, 문화 체험 및 지역 투어 |
4.7. 제5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5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18 | |
| |
행사기간 | 2018년 9월 5일(수) ~ 9월 7일(금) |
행사장소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
행사주제 | 생명, 삶의 가치를 품다 Life, Embracing the Values of Living |
기조 강연 | 정세균 (제20대 국회의장) 데릴 메이서 (소버린 네이션스 대학교 총장)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15개국, 114명 전체참가자: 5,900여 명 |
2018 주요 프로그램 | 기조 강연, 주제별 세션, 문화 프로그램 및 지역 연계 행사 |
4.8. 제4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4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17 | |
| |
행사기간 | 2017년 10월 20일(금) ~ 10월 22일(일) |
행사장소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
행사주제 | 함께하는 행복세상 Living Together Happily |
기조 강연 | 이현재 (제20대 국무총리) 곽의 (서울대학교 교수)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3개국, 108명 전체참가자: 5,400여 명 |
2017 주요 프로그램 | 기조 강연, 주제별 세션, 문화 프로그램 및 지역 연계 행사 |
4.9. 제3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3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16 | |
| |
행사기간 | 2016년 5월 27일(금) ~ 5월 29일(일) |
행사장소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
행사주제 | 나눔과 울림,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조건 Sharing and Resonance |
기조 강연 | 손봉호 (나눔국민운동본부 대표) 두봉 레나도 (초대 천주교 안동교구장)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5개국, 96명 전체참가자: 7,300여 명 |
2016 주요 프로그램 | 기조 강연, 주제별 세션, 문화 프로그램 및 지역 체험 행사 |
4.10. 제2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2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15 | |
| |
행사기간 | 2015년 5월 29일(금) ~ 5월 31일(일) |
행사장소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
행사주제 | 공감과 배려,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조건 Sympathy and Care: Toward the Society of Living Together |
기조 강연 |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보데왼 왈라번 (전 유럽한국학회 회장)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8개국, 175명 전체참가자: 5,000여 명 |
2015 주요 성과 | 니산(尼山)세계문명포럼과 협력합의서 체결 지역·국제 인문학 교류 활성화 |
4.11. 제1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제1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The 21st Century Human Values Forum 2014 | |
| |
행사기간 | 2014년 7월 3일(목) ~ 7월 6일(일) |
행사장소 | 안동시 일원 |
행사주제 | 현대 세계 속의 유교적 인문가치 Confucian Human Values in the Contemporary World |
기조 강연 | 김광억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장리원 (공자연구원장) 쉬자루 (중국 니산문명포럼 주석) 김경동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도이힐러 (영국 아카데미 교수) 천라이 (칭화대학교 교수) |
포럼 참가자 | 역할참가자: 9개국, 105명 전체참가자: 7,000여 명 |
2014 주요 성과 | 니산(尼山)세계문명포럼과 교류의향서 체결 (2014. 7. 5.) 유교 인문가치의 현대적 해석과 국제적 협력 방안 제시 |
5. 세계인문도시네트워크 (World Humanistic Cities Network, WHCN)
<colbgcolor=#FFD700><colcolor=#000000> 세계인문도시네트워크 World Humanistic Cities Network (WHCN) | |
창립일 | 2024년 10월 31일 |
참여 도시 | 17개국 27개 도시 |
목적 | 인문학적 가치 기반의 글로벌 협력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도모 |
주요 도시 | 안동시, 가마쿠라, 코린트, 알바이울리아, 팔렘방, 바레제 등 |
성과 | 글로벌 인문학 플랫폼 구축, 도시 정책의 글로벌화, 지역 경제 활성화 |
비전 | 인문학적 가치 기반의 협력 프로젝트 확대 및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 실현 |
주요 프로그램 | |
창립 총회 |
- 장소: 안동국제컨벤션센터
- 주요 내용: 세계인문도시네트워크 창립 선언 및 규약 채택 ||
정책 세션 1 |
- 좌장: 권기창 (안동시장)
- 발표 도시: 광주광역시 동구, 알바이울리아, 호이안, 바레제 ||
정책 세션 2 |
- 좌장: 즈냐 안나 페렌츠 (대만 국립동화대학교 교수)
- 발표 도시: 가마쿠라, 코린트, 아스티 ||
문화유산 탐방 | 안동 하회마을, 도산서원 등 지역 문화 체험 |
성과 | |
글로벌 인문학 플랫폼 구축 | 도시 간 인문적 가치 교류를 위한 협력 기반 형성 |
도시 정책의 글로벌화 | 도시별 인문정책 사례 공유 및 실행 가능성 논의 |
지역 경제 활성화 | 안동을 중심으로 한 국제 교류로 지역 관광 및 경제 활성화 |
도시 간 네트워크 확장 | 지속 가능한 협력 프로젝트 추진 기반 마련 |
미래 비전 | |
협력 프로젝트 확대 | 인문학적 가치 기반의 협력 프로젝트 확대 |
도시 간 공동 거버넌스 | 사회적, 환경적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거버넌스 강화 |
글로벌 교류 활성화 | 도시와 시민 간의 행복한 공존 실현 |
지속 가능한 발전 | 네트워크 참여 도시 간의 공동 번영 실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