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LoL Pro League Split 2|2025 LoL Pro League Split 2]]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colcolor=white> 경기 일정 | |||||
<colbgcolor=#ec004a> 그룹 스테이지 (3/22~3/29) | A조 | B조 | C조 | D조 | |
라스트 찬스 프로모션 (3/30~3/31) | 정상 승격전 | ||||
럼블 스테이지 (4/5~5/22) | 등봉조 | 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5주차 | 6주차 | 7주차 | |||
열반조 | 열반조 | ||||
플레이-인 (5/24~5/27) | 기사의 길 | ||||
녹아웃 스테이지 (5/31~6/14) | 승자조 | 패자조 | |||
결승전 | |||||
결산 |
1. 개요
2025 LoL Pro League Split 2의 그룹 스테이지에 관한 문서이다.3월 22일부터 3월 29일까지 진행한다.
2. 규정
- 16개의 팀을 스플릿 1 순위에 따라 티어를 나눈 후, 각 티어마다 팀을 하나씩 랜덤으로 뽑아 4개의 조로 나눈다.
- 각 조는 Bo1 더블 라운드 로빈 풀리그를 치른다.
- 조 1, 2위 팀은 등봉조, 3위 팀은 정상 승격전, 4위 팀은 열반조에 진출한다.
3. 티어 배정
그룹 스테이지 티어 배정 | |||
<rowcolor=#000> 티어 1 | |||
| | | |
TES | AL | JDG | BLG |
<rowcolor=#000> 티어 2 | |||
| | | |
TT | NIP | WBG | IG |
<rowcolor=#000> 티어 3 | |||
| | | |
LGD | OMG | EDG | RNG |
<rowcolor=#000> 티어 4 | |||
| | | |
WE | UP | LNG | FPX |
4. 조 편성
4.1. A조
| |||
| | | |
BLG | WBG | EDG | WE |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
1 | | BLG | 5 | 1 | 1승 | R1 전승 | |
1 | | WBG | 5 | 1 | 4승 | R2 전승 | |
3 | | WE | 2 | 5 | 1승 | R1 전패 TB 승리 | |
4 | | EDG | 1 | 6 | 5패 | R2 전패 TB 패배 | |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
4.2. B조
| |||
| | | |
AL | TT | RNG | UP |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
1 | | AL | 5 | 1 | 3승 | R2 전승 | |
2 | | TT | 3 | 3 | 1승 | ||
3 | | UP | 3 | 4 | 1승 | R2 전패 TB 승리 | |
4 | | RNG | 2 | 5 | 2패 | TB 패배 | |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
4.3. C조
| |||
| | | |
TES | NIP | OMG | FPX |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
1 | | TES | 6 | 0 | 6승 | 전승 | |
2 | | NIP | 3 | 3 | 2패 | ||
3 | | FPX | 2 | 4 | 1승 | ||
4 | | OMG | 1 | 5 | 1패 | R1 전패 | |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
4.4. D조
| |||
| | | |
JDG | IG | LGD | LNG |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
1 | | IG | 6 | 0 | 6승 | 전승 | |
2 | | JDG | 4 | 2 | 1승 | ||
3 | | LGD | 2 | 4 | 1패 | ||
4 | | LNG | 0 | 6 | 6패 | 전패 | |
파란색: 등봉조 진출 | 초록색: 정상 승격전 진출 연두색: 열반조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
5. 결과
| |||
| | | |
A조 공동 1위 BLG | A조 공동 1위 WBG | B조 1위 AL | B조 2위 TT |
| | | |
C조 1위 TES | C조 2위 NIP | D조 1위 IG | D조 2위 JDG |
| |||
| | | |
A조 3위 WE | B조 3위 UP | C조 3위 FPX | D조 3위 LGD |
| |||
| | | |
A조 4위 EDG | B조 4위 RNG | C조 4위 OMG | D조 4위 LNG |
반면 지난 시즌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한 팀들끼리는 전력차가 비슷한 양상을 띠었고, 그로 인해 서로 1승씩 주고받거나 타이브레이커를 두 번 치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티어 4 팀들의 경기력이 스플릿 1 대비 올라가 티어 3 팀들을 상대로 우세하였고, 결국 제대로 맛이 간 LNG를 뺀 티어 4 팀들 모두가 정상 승격전으로 진출해 등봉조를 노릴 수 있게 되었고, 시즌 시작 전 사정 예상과도 다른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1]
여담으로, 열반조에 직행한 팀들 중 OMG를 빼면 전부 LPL이 마지막으로 월즈 우승을 달성했던 월즈 2021에 출전했던 팀들이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