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기 | 1주 (5/23~24) | 2주 (5/31~6/1) | 3주 (6/14~15) | 4주 (7/5~6) | 결산 | ||
후반기 | 5주 (7/12~13) | 6주 (7/19~20) | 7주 (8/9~10) | 8주 (9/6~7) | 결산 |
1. 개요
2025 대한민국 이스포츠 리그의 이터널 리턴 종목 1주차, 2025 PlayX4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된 5월 23일부터 24일까지의 경기를 기록한 문서. 정규시즌 1주차 순위표 | ||||||||||||
순위 | 팀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6주 | 7주 | 8주 | 합계[1] | 비고 | |
<rowkeepall> 1 | | ROX | 15 | |||||||||
<rowkeepall> 2 | | JPX | 10 | |||||||||
<rowkeepall> 3 | | INC | 8 | |||||||||
<rowkeepall> 4 | | CNJ | 6 | |||||||||
<rowkeepall> 5 | | BSP | 4 | |||||||||
<rowkeepall> 6 | | FN | 3 | |||||||||
<rowkeepall> 7 | | GIN | 2 | |||||||||
<rowkeepall> 8 | | DTS | 2 | |||||||||
<rowkeepall> 9 | | NRG | 0 | |||||||||
<rowkeepall> 10 | | DSG | 0 | |||||||||
<rowkeepall> 11 | | GSL | 0 | |||||||||
<rowkeepall> 12 | | GNS | 0 | |||||||||
파란색: 내셔널 챔피언십 직행 | 초록색: 플레이오프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
2. 1일차
| |||||||||||||||||
순위 | 팀 | KS[KS]Kill Score] | TS[TS]Team Score] | 1R | 2R | 3R | 4R | 5R | 6R | ||||||||
1 | | INC | 46 | 78 | 9 | 12.5 | 30.5 | 56.5 | 76 | 78 | |||||||
2 | | DTS | 44.5 | 67.5 | 6.5 | 10 | 20 | 35 | 41 | 67.5 | |||||||
3 | | JPX | 36.5 | 63.5 | 20.5 | 29.5 | 32 | 37.5 | 58.5 | 63.5 | |||||||
4 | | CNJ | 36.5 | 63.5 | 18.5 | 39 | 46 | 49.5 | 60 | 63.5 | |||||||
5 | | NRG | 33.5 | 59.5 | 4 | 18 | 31.5 | 39.5 | 50.5 | 59.5 | |||||||
6 | | DSG | 30.5 | 57.5 | 1.5 | 18 | 34 | 42.5 | 46 | 57.5 | |||||||
7 | | GSL | 23 | 39 | 10.5 | 16.5 | 20.5 | 26.5 | 31.5 | 39 | |||||||
8 | | GNS | 24.5 | 37.5 | 5 | 9.5 | 12 | 14.5 | 24 | 37.5 | |||||||
초록색: Day2 진출 | 노란색: Day2 진출 실패 및 3일차 하위 시드 배정 | 볼드체: 순위 확정 |
|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5라운드 | 6라운드 |
김준호 (Cadmus) | 정철의 (KCW) | 최규형 (Blaster) | 이준민 (GyeongKwae) | 공현우 (Senaphine) | 함석준 (SadHand) |
2.1. 1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1일차 1라운드
, weather1=흐림
, weather2=무풍
, d_1st=Jecheon PhalanX
, p_1st=Jecheon PhalanX
, d_2nd=CNJ esports
, p_2nd=CNJ esports
, d_wickeline=Jecheon PhalanX
, p_wickeline=Jecheon PhalanX)]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Jecheon PhalanX, team2=GJ Slasher, team3=all ways INCHEON, team4=CNJ esports
, team1pic1=에키온, team1pic2=제니, team1pic3=레니, team2pic1=아드리아나, team2pic2=쇼우, team2pic3=카티야
, team3pic1=쇼이치, team3pic2=레니, team3pic3=마이, team4pic1=니키, team4pic2=요한, team4pic3=나딘
, team5=Gyeongnam Sparkle, team6=Daejeon Autoarms, team7=New Rise Gangwon, team8=DS Guardians
, team5pic1=아르다, team5pic2=다르코, team5pic3=칼라, team6pic1=아르다, team6pic2=피올로, team6pic3=칼라
, team7pic1=마커스, team7pic2=유스티나, team7pic3=리오, team8pic1=엘레나, team8pic2=라우라, team8pic3=윌리엄)]
| |||||||||||||||||
김준호 (Cadmus) |
의수에 VF 혈액 샘플이 발린 에키온을 포함한 4초월 밸류의 제천을 막을 수 있는 팀은 없었으며 Cadmus의 에키온은 라운드 내내 모든 팀의 뒷라인을 종횡무진 휘젓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 외에 0포코 5전설템으로 혼자 모든 팀을 밀어낸 광주 슬래셔 Anonymous의 파괴력, 1대2 클러치로 팀을 위기에서 구했던 대전 오토암즈 Taegyung의 피지컬이 빛났던 라운드였다.
2.2. 2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1일차 2라운드
, weather1=쾌청(이리)
, weather2=벼락
, d_1st=CNJ esports/이터널 리턴
, p_1st=CNJ esports
, d_2nd=Daegu Suseong Guardians
, p_2nd=DS Guardians
, d_wickeline=Gyeongnam Sparkle Esports/이터널 리턴
, p_wickeline=Gyeongnam Sparkle Esports)]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Jecheon PhalanX, team2=GJ Slasher, team3=all ways INCHEON, team4=CNJ esports
, team1pic1=에키온, team1pic2=제니, team1pic3=레니, team2pic1=아드리아나, team2pic2=쇼우, team2pic3=카티야
, team3pic1=테오도르, team3pic2=프리야, team3pic3=에스텔, team4pic1=니키, team4pic2=요한, team4pic3=나딘
, team5=Gyeongnam Sparkle, team6=Daejeon Autoarms, team7=New Rise Gangwon, team8=DS Guardians
, team5pic1=나딘, team5pic2=마이, team5pic3=셀린, team6pic1=아르다, team6pic2=피올로, team6pic3=칼라
, team7pic1=아르다, team7pic2=바냐, team7pic3=다르코, team8pic1=엘레나, team8pic2=띠아, team8pic3=데비&마를렌)]
| |||||||||||||||||
정철의 (KCW) |
KCW 니키의 화끈한 이니쉬에 이은 O3Cu 나딘의 포커싱을 활용한 강력한 교전력을 보여준 것은 물론 주변 팀들의 키오스크 사용을 통제하여 성장을 말리게 하거나 시야 장악을 통해 유리한 구도로 교전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등 강팀의 운영능력도 장착했음을 보여준 라운드였다.
한편 대구 수성 가디언즈는 빠른 밸류업과 교전 위주 운영으로 주변 팀들의 성장을 억제하며 4초월템 운영을 선보였고, 허무하게 8위를 한 전 라운드와 반대로 2위를 차지했다. Cheol의 띠아는 교전마다 크랙 플레이를 성공시키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주었다.
1탱 2원 조합을 과감히 포기하고 아르다를 활용한 바냐, 다르코 드랍 조합으로 선회한 뉴라이즈 강원은 밸류 차이에도 결과를 만들어내는 교전력을 통해 저력이 있음을 보여줬다.
2.3. 3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1일차 3라운드
, weather1=비(이리)
, weather2=강풍
, d_1st=all ways INCHEON
, p_1st=all ways INCHEON
, d_2nd=Daegu Suseong Guardians
, p_2nd=DS Guardians
, d_wickeline=CNJ esports/이터널 리턴
, p_wickeline=CNJ esports)]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Jecheon PhalanX, team2=GJ Slasher, team3=all ways INCHEON, team4=CNJ esports
, team1pic1=유스티나, team1pic2=카티야, team1pic3=쇼우, team2pic1=띠아, team2pic2=자히르, team2pic3=니키
, team1ban1=에키온, team1ban2=제니, team1ban3=레니, team1ban4=, team1ban5=, team1ban6=
, team2ban1=아드리아나, team2ban2=쇼우, team2ban3=카티야, team2ban4=, team2ban5=, team2ban6=
, team4ban1=니키, team4ban2=요한, team4ban3=나딘, team4ban4=, team4ban5=, team4ban6=
, team3pic1=타지아, team3pic2=샬럿, team3pic3=니키, team4pic1=재키, team4pic2=유키, team4pic3=이렘
, team5=Gyeongnam Sparkle, team6=Daejeon Autoarms, team7=New Rise Gangwon, team8=DS Guardians
, team6ban1=아르다, team6ban2=피올로, team6ban3=칼라, team6ban4=, team6ban5=, team6ban6=
, team5pic1=나딘, team5pic2=마이, team5pic3=셀린, team6pic1=카티야, team6pic2=레온, team6pic3=유스티나
, team7pic1=쇼우, team7pic2=아드리아나, team7pic3=카티야, team8pic1=아델라, team8pic2=니키, team8pic3=수아
, team8ban1=엘레나, team8ban2=, team8ban3=, team8ban4=, team8ban5=, team8ban6=)]
| |||||||||||||||||
최규형 (Blaster) |
2일차 낮이 되자마자 경남 스파클이 사출당하면서 크레딧이 많이 풀리게 되었고 올웨이즈 인천은 적극적인 교전 난입 운영을 통해 현상금을 수집하며 성장하게 된다. 이 후 막금구 대구 수성 가디언즈와의 니키 미러전에서도 우위를 점하면서 3라운드를 승리로 가져간다.
CNJ는 재키(양손검) - 유키(양손검) - 이렘 이라는 다소 극단적인 조합을 들고 왔다. 트릭스터즈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C 운영, 공짜 위클라인 처치 및 온전치 않은 상태의 팀들을 사냥하며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너무 신난 탓인지 혼자 있는 적들을 흩어져서 추격하다가 다른 팀들에게 하나씩 격추당하게 되었고 결국 허무한 라운드 마무리를 하게 되었다.
2.4. 4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1일차 4라운드
, weather1=모래바람(이리)
, weather2=강풍
, d_1st=all ways INCHEON
, p_1st=all ways INCHEON
, d_2nd=DaeJeon AutoArms
, p_2nd=Daejeon AutoArms
, d_wickeline=all ways INCHEON
, p_wickeline=all ways INCHEON)]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Jecheon PhalanX, team2=GJ Slasher, team3=all ways INCHEON, team4=CNJ esports
, team1pic1=유스티나, team1pic2=카티야, team1pic3=쇼우, team2pic1=아르다, team2pic2=칼라, team2pic3=니키
, team1ban1=에키온, team1ban2=제니, team1ban3=레니, team1ban4=, team1ban5=, team1ban6=
, team2ban1=아드리아나, team2ban2=쇼우, team2ban3=카티야, team2ban4=, team2ban5=, team2ban6=
, team4ban1=니키, team4ban2=요한, team4ban3=나딘, team4ban4=, team4ban5=, team4ban6=
, team3pic1=타지아, team3pic2=샬럿, team3pic3=니키, team4pic1=피오라, team4pic2=리 다이린, team4pic3=아르다
, team5=Gyeongnam Sparkle, team6=Daejeon Autoarms, team7=New Rise Gangwon, team8=DS Guardians
, team5pic1=카티야, team5pic2=쇼우, team5pic3=유스티나, team6pic1=카티야, team6pic2=레온, team6pic3=유스티나
, team6ban1=아르다, team6ban2=피올로, team6ban3=칼라, team6ban4=, team6ban5=, team6ban6=
, team7pic1=에스텔, team7pic2=유스티나, team7pic3=카티야, team8pic1=아델라, team8pic2=니키, team8pic3=수아
, team5ban1=나딘, team5ban2=마이, team5ban3=셀린, team5ban4=, team5ban5=, team5ban6=
, team8ban1=엘레나, team8ban2=, team8ban3=, team8ban4=, team8ban5=, team8ban6=)]
| |||||||||||||||||
이준민 (GyeongKwae) |
특히 3라운드에서는 Blaster가 어그로, 딜링, 마무리까지 모두 해내는 캐리롤을 수행했다면 이번 라운드에서는 GyeongKwae가 앞장서 적진에 뛰어든 뒤 끈질기게 살아남는 미친 핑퐁 능력을 보여주며 Blaster의 딜 구조를 편하게 만들어주었고 이 활약으로 MVP까지 선정된다.
대전은 몸에 맞는 옷을 걸친 듯 팀원 각자가 신들린 듯한 피지컬을 보이며 중요한 분기점마다 교전을 승리로 이끌어냈다. 인천에 밀려 아쉽게 2위를 차지했지만 원래 우리가 알던 대전의 모습을 보여준 경기였다.
한편 경남은 2일차 밤 대전에게 교전을 패배하며 2라운드 연속 2일차 8등 사출이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기록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라운드에는 빠르게 5전설템 밸류를 구축했던만큼 목표했던 운영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끝났다는 점에서 더욱 쓰라린 라운드였다.
2.5. 5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1일차 5라운드
, weather1=흐림
, weather2=무풍
, d_1st=all ways INCHEON
, p_1st=all ways INCHEON
, d_2nd=Jecheon PhalanX
, p_2nd=Jecheon PhalanX
, d_wickeline=all ways INCHEON
, p_wickeline=all ways INCHEON)]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Jecheon PhalanX, team2=GJ Slasher, team3=all ways INCHEON, team4=CNJ esports
, team1pic1=아디나, team1pic2=펠릭스, team1pic3=마이, team2pic1=테오도르, team2pic2=알론소, team2pic3=버니스
, team3pic1=쇼이치, team3pic2=레니, team3pic3=마이, team4pic1=피오라, team4pic2=리 다이린, team4pic3=아르다
, team1ban1=에키온, team1ban2=제니, team1ban3=레니, team1ban4=쇼우, team1ban5=유스티나, team1ban6=카티야
, team2ban1=아드리아나, team2ban2=쇼우, team2ban3=카티야, team2ban4=니키, team2ban5=, team2ban6=
, team3ban1=니키, team3ban2=타지아, team3ban3=샬럿, team3ban4=, team3ban5=, team3ban6=
, team4ban1=니키, team4ban2=요한, team4ban3=나딘, team4ban4=, team4ban5=, team4ban6=
, team5=Gyeongnam Sparkle, team6=Daejeon Autoarms, team7=New Rise Gangwon, team8=DS Guardians
, team5pic1=아르다, team5pic2=다르코, team5pic3=칼라, team6pic1=알론소, team6pic2=자히르, team6pic3=테오도르
, team7pic1=쇼우, team7pic2=아드리아나, team7pic3=리오, team8pic1=헤이즈, team8pic2=나딘, team8pic3=마커스
, team5ban1=나딘, team5ban2=마이, team5ban3=셀린, team5ban4=, team5ban5=, team5ban6=
, team6ban1=아르다, team6ban2=피올로, team6ban3=칼라, team6ban4=레온, team6ban5=카티야, team6ban6=유스티나
, team7ban1=유스티나, team7ban2=카티야, team7ban3=, team7ban4=, team7ban5=, team7ban6=
, team8ban1=엘레나, team8ban2=니키, team8ban3=수아, team8ban4=아델라, team8ban5=, team8ban6=)]
| |||||||||||||||||
공현우 (Senaphine) |
1라운드에서 삐끗했었던 인천의 마이 - 쇼이치 - 레니 조합이었지만 이번 라운드에서는 세 명 모두 번갈아가면서 슈퍼 플레이를 보여주었고 무난히 1위를 가져온다. 특히 어떻게 하면 쇼이치가 가장 편하게 딜을 넣을 수 있을지 체득한듯한 GyeongKwae의 마이와 Senaphine의 레니 플레이가 인상적이었으며 이니쉬면 이니쉬, 서포팅이면 서포팅, 레니로 할 수 있는 모든 툴을 소화한 Senaphine이 그럴 가치가 있다는 듯 2개의 초월 아이템을 가져가는 부분이 백미였다.
한편 제천은 유행이 지난 듯 했던 아디나 - 펠릭스 - 마이로 교전을 붙는 팀마다 승리하며 기다리고 있는 2일차 팀들에게 살벌한 경고장을 날렸다. 도저히 대처할 수 없는 Ddushiman 마이의 이니시, 아디나 그 자체인 DINA의 케어도 훌륭했지만 무엇보다도 압도적인 포스와 함께 교전을 승리로 이끄는 Revolu의 펠릭스가 압권이었다.
그 외에 대전의 Cnema가 말도 안되는 무빙으로 관객들의 환호성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2.6. 6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1일차 6라운드
, weather1=쾌청(이리)
, weather2=무풍
, d_1st=DaeJeon AutoArms
, p_1st=DaeJeon AutoArms
, d_2nd=Daegu Suseong Guardians
, p_2nd=DS Guardians
, d_wickeline=Gyeongnam Sparkle Esports/이터널 리턴
, p_wickeline=Gyeongnam Sparkle)]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Jecheon PhalanX, team2=GJ Slasher, team3=all ways INCHEON, team4=CNJ esports
, team1pic1=아디나, team1pic2=펠릭스, team1pic3=마이, team2pic1=테오도르, team2pic2=알론소, team2pic3=버니스
, team3pic1=아르다, team3pic2=아비게일, team3pic3=엘레나, team4pic1=재키, team4pic2=유키, team4pic3=이렘
, team1ban1=에키온, team1ban2=제니, team1ban3=레니, team1ban4=쇼우, team1ban5=유스티나, team1ban6=카티야
, team2ban1=아드리아나, team2ban2=쇼우, team2ban3=카티야, team2ban4=니키, team2ban5=, team2ban6=
, team3ban1=니키, team3ban2=타지아, team3ban3=샬럿, team3ban4=마이, team3ban5=레니, team3ban6=쇼이치
, team4ban1=니키, team4ban2=요한, team4ban3=나딘, team4ban4=피오라, team4ban5=리 다이린, team4ban6=아르다
, team5=Gyeongnam Sparkle, team6=Daejeon Autoarms, team7=New Rise Gangwon, team8=DS Guardians
, team5pic1=하트, team5pic2=쇼우, team5pic3=유스티나, team6pic1=마커스, team6pic2=프리야, team6pic3=리오
, team7pic1=아르다, team7pic2=바냐, team7pic3=다르코, team8pic1=헤이즈, team8pic2=마커스, team8pic3=하트
, team5ban1=나딘, team5ban2=마이, team5ban3=셀린, team5ban4=다르코, team5ban5=칼라, team5ban6=아르다
, team6ban1=아르다, team6ban2=피올로, team6ban3=칼라, team6ban4=레온, team6ban5=카티야, team6ban6=유스티나
, team7ban1=유스티나, team7ban2=카티야, team7ban3=리오, team7ban4=쇼우, team7ban5=, team7ban6=
, team8ban1=엘레나, team8ban2=니키, team8ban3=수아, team8ban4=아델라, team8ban5=, team8ban6=)]
| |||||||||||||||||
함석준 (SadHand) |
대전이 마커스 - 프리야 - 리오 라는 다소 리오 해줘라는 조합을 가져왔음에도 불구하고 SadHand의 리오가 매 교전마다 캐리하면서 1위를 차지하는데 성공한다. 마커스로 상대 팀들의 진형을 붕괴시키고 높은 딜량까지 뽑아낸 Taegyung의 플레이도 인상적이었다.
한편 대구도 4초월템 포함 높은 밸류를 이루며 기적적으로 2일차에 진출하나 했지만 gwork 선수가 막금구 직전 튕겨 버리는 참사가 발생하며 금구시간과 자리를 내어주게 되었고 아쉽게 패배해 2일차 진출에 실패한다.
이 외에 5일차 밤 위클라인을 처치한 경남을 피하기 위해 강원이 아르다를 이용해 2분 여 동안 도망치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3. 2일차
| |||||||||||||||||
순위 | 팀 | KS[KS] | TS[TS] | 1R | 2R | 3R | 4R | 5R | 6R | ||||||||
1 | | ROX | 57 | 105 | 20.5 | 32 | 53 | 65 | 84.5 | 105 | |||||||
2 | | JPX | 45.5 | 78.5 | 12 | 17 | 34.5 | 35.5 | 56.5 | 78.5 | |||||||
3 | | INC | 41.5 | 71.5 | 10 | 35 | 41.5 | 56.5 | 68 | 71.5 | |||||||
4 | | CNJ | 38 | 69 | 19.5 | 31 | 40.5 | 55 | 63.5 | 69 | |||||||
5 | | BSP | 38 | 50 | 6.5 | 15 | 26.5 | 31.5 | 43.5 | 50 | |||||||
6 | | FN | 37.5 | 48.5 | 9.5 | 14.5 | 25 | 34 | 45 | 48.5 | |||||||
7 | | GIN | 23 | 41 | 5.5 | 21 | 27.5 | 30.5 | 32 | 41 | |||||||
8 | | DTS | 26.5 | 35.5 | 4.5 | 12.5 | 15.5 | 24 | 26 | 35.5 | |||||||
파란색: 4일차 직행 | 초록색: 3일차 진출 및 3일차 상위 시드 배정 | 볼드체: 순위 확정 |
| |||||
7라운드 | 8라운드 | 9라운드 | 10라운드 | 11라운드 | 12라운드 |
변준영 (Saten) | 황진우 (Luminal) | 박종호 (Curry) | 이준민 (GyeongKwae) | 박종호 (Curry) | 김현우 (Ddushiman) |
3.1. 7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2일차 7라운드
, weather1=흐림
, weather2=무풍
, d_1st=ROX ESPORTS/이터널 리턴
, p_1st=Seongnam ROX
, d_2nd=CNJ esports/이터널 리턴
, p_2nd=CNJ esports
, d_wickeline=Jecheon PhalanX
, p_wickeline=Jecheon PhalanX)]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Gyeonggi Innate, team2=FN SEJONG, team3=Seongnam ROX, team4=Busan BeSPA
, team1pic1=칼라, team1pic2=얀, team1pic3=아르다, team2pic1=아르다, team2pic2=칼라, team2pic3=얀
, team3pic1=헤이즈, team3pic2=쇼우, team3pic3=나딘, team4pic1=쇼우, team4pic2=버니스, team4pic3=자히르
, team5=all ways INCHEON, team6=Daejeon AutoArms, team7=Jecheon PhalanX, team8=CNJ esports
, team5pic1=쇼이치, team5pic2=레니, team5pic3=마이, team6pic1=마커스, team6pic2=프리야, team6pic3=리오
, team7pic1=아디나, team7pic2=펠릭스, team7pic3=마이, team8pic1=니키, team8pic2=요한, team8pic3=나딘)]
| |||||||||||||||||
변준영 (Saten) |
리그 2일차 첫 라운드임을 반증하듯 4일차 밤까지 모든 팀이 생존해있는 진풍경이 연출되었으며 막금구 싸움 성남 Curry와 CNJ O3Cu(오뚜기3분커리)의 커리 미러전, 1대3 상황에서 2명을 처치하고 살아나오는 인천 Luminal의 쇼이치 등 볼거리가 많은 라운드였다.
성남은 게임 초반 CNJ에게 연이어 일격을 당하며 말렸음에도 불구하고 헤이즈 템 몰빵 전략을 통해 복구하는데 성공한다. 이 후 죽지 않으면서 넣을 딜은 다 넣는 Curry의 나딘, 높은 궁 적중률과 함께 솔리드한 폼을 보여준 Saten의 헤이즈에 힘 입어 3일차부터 모든 교전을 승리한다. 특히 3일차 밤부터 5일차 낮까지 FN 세종과의 연전을 모두 승리한 것이 성장하는데 주요하게 작용했으며 리그 1일차 높은 팀합으로 교전을 승리하는 모습을 보여줬던 인천과 CNJ를 상대로 거리를 기가 막히게 조절하면서 실수를 유도했던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한편 CNJ는 시야 장악을 통해 혼자 있는 적을 잘라내거나 과감하면서도 정교한 교전으로 킬포인트를 쓸어담으며 1일차의 성공이 요행이 아니었음을 보여줬다. 100Soo의 요한이 앞포지션을 잡았다가 짤려버리거나 O3Cu의 나딘, KCW의 니키가 엇박자로 들어가며 포커싱 실수를 저지르는 등 개선점을 노출했지만 강팀의 면모를 보여주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었던 라운드였다.
3.2. 8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2일차 8라운드
, weather1=쾌청(이리)
, weather2=강풍
, d_1st=all ways INCHEON
, p_1st=all ways INCHEON
, d_2nd=CNJ esports/이터널 리턴
, p_2nd=CNJ esports
, d_wickeline=FN Esports/이터널 리턴
, p_wickeline=FN SEJONG)]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Gyeonggi Innate, team2=FN SEJONG, team3=Seongnam ROX, team4=Busan BeSPA
, team1pic1=칼라, team1pic2=얀, team1pic3=아르다, team2pic1=아르다, team2pic2=칼라, team2pic3=얀
, team3pic1=헤이즈, team3pic2=쇼우, team3pic3=나딘, team4pic1=쇼우, team4pic2=버니스, team4pic3=나딘
, team5=all ways INCHEON, team6=Daejeon AutoArms, team7=Jecheon PhalanX, team8=CNJ esports
, team5pic1=쇼이치, team5pic2=레니, team5pic3=마이, team6pic1=마커스, team6pic2=프리야, team6pic3=리오
, team7pic1=아디나, team7pic2=펠릭스, team7pic3=마이, team8pic1=니키, team8pic2=요한, team8pic3=나딘)]
| |||||||||||||||||
황진우 (Luminal) |
초반부터 2포스코어 주문을 통해 쇼이치를 급성장시키는 전략을 고수한 인천은, 마주치는 팀들을 차례차례 밀어내며 초반 오브젝트들을 안정적으로 가져갔다. 상대 팀들이 인천에 맞서는 전략으로 교전을 피하라는 접근을 택한 것을 의식한 듯, 인천은 먼저 교전을 열지 않고 교전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포착해 기습하는 운영을 선보이며 킬 포인트를 쓸어담았다.
특히 막금구 CNJ와의 교전에서는, 금강이 빠진 니키를 케어하기 위해 요한이 전방으로 위치를 이동한 순간을 잡아내어 포커싱을 통해 요한을 끊어내는 완벽한 호흡을 보여줬다. 이어진 교전에서도 승리하며 라운드 1위를 차지하는데 성공한다.
한편, 부산 베스파는 미친 듯한 공격성을 보여준 Rosner 버니스를 앞세워 대량의 킬 포인트를 확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경기 이네이트는 전 라운드와는 달리 아르다 - 칼라 - 얀 조합에 대한 높은 숙련도를 보여주며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3.3. 9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2일차 9라운드
, weather1=비(이리)
, weather2=벼락
, d_1st=ROX ESPORTS/이터널 리턴
, p_1st=Seongnam ROX
, d_2nd=Jecheon PhalanX
, p_2nd=Jecheon PhalanX
, d_wickeline=Jecheon PhalanX
, p_wickeline=Jecheon PhalanX)]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Gyeonggi Innate, team2=FN SEJONG, team3=Seongnam ROX, team4=Busan BeSPA
, team1pic1=나딘, team1pic2=헤이즈, team1pic3=쇼우, team2pic1=요한, team2pic2=테오도르, team2pic3=니키
, team3pic1=유스티나, team3pic2=에스텔, team3pic3=카티야, team4pic1=수아, team4pic2=시셀라, team4pic3=윌리엄
, team1ban1=칼라, team1ban2=얀, team1ban3=아르다, team1ban4=, team1ban5=, team1ban6=
, team2ban1=칼라, team2ban2=얀, team2ban3=아르다, team2ban4=, team2ban5=, team2ban6=
, team3ban1=헤이즈, team3ban2=쇼우, team3ban3=나딘, team3ban4=, team3ban5=, team3ban6=
, team4ban1=버니스, team4ban2=쇼우, team4ban3=, team4ban4=, team4ban5=, team4ban6=
, team5=all ways INCHEON, team6=Daejeon AutoArms, team7=Jecheon PhalanX, team8=CNJ esports
, team5pic1=타지아, team5pic2=샬럿, team5pic3=니키, team6pic1=니키, team6pic2=자히르, team6pic3=윌리엄
, team7pic1=에키온, team7pic2=제니, team7pic3=레니, team8pic1=피오라, team8pic2=리 다이린, team8pic3=아르다
, team5ban1=쇼이치, team5ban2=마이, team5ban3=레니, team5ban4=, team5ban5=, team5ban6=
, team6ban1=마커스, team6ban2=리오, team6ban3=프리야, team6ban4=, team6ban5=, team6ban6=
, team7ban1=아디나, team7ban2=펠릭스, team7ban3=마이, team7ban4=, team7ban5=, team7ban6=
, team8ban1=니키, team8ban2=요한, team8ban3=나딘, team8ban4=, team8ban5=, team8ban6=)]
| |||||||||||||||||
박종호 (Curry) |
제천은 초반 세종 및 인천과의 교전에서 패배하며 다소 어려운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세종을 상대로 위클라인 스틸과 교전 승리 모두를 가져가며 반등에 성공했고, 막금구 성남과의 치열한 공방 끝에 2위로 라운드를 마무리했다. 특히, 1라운드를 연상케 하는 Cadmus의 에키온 플레이와, 쉼 없이 딜을 퍼붓는 Revolu의 제니 플레이가 인상적인 경기였다.
3.4. 10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2일차 10라운드
, weather1=모래바람(이리)
, weather2=벼락
, d_1st=All ways Incheon
, p_1st=All ways Incheon
, d_2nd=ROX ESPORTS/이터널 리턴
, p_2nd=Seongnam ROX
, d_wickeline=ROX ESPORTS/이터널 리턴
, p_wickeline=Seongnam ROX)]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Gyeonggi Innate, team2=FN SEJONG, team3=Seongnam ROX, team4=Busan BeSPA
, team1pic1=카티야, team1pic2=유스티나, team1pic3=에스텔, team2pic1=카티야, team2pic2=타지아, team2pic3=프리야
, team3pic1=유스티나, team3pic2=에스텔, team3pic3=카티야, team4pic1=수아, team4pic2=시셀라, team4pic3=윌리엄
, team1ban1=칼라, team1ban2=얀, team1ban3=아르다, team1ban4=, team1ban5=, team1ban6=
, team2ban1=칼라, team2ban2=얀, team2ban3=아르다, team2ban4=, team2ban5=, team2ban6=
, team3ban1=헤이즈, team3ban2=쇼우, team3ban3=나딘, team3ban4=, team3ban5=, team3ban6=
, team4ban1=버니스, team4ban2=쇼우, team4ban3=, team4ban4=, team4ban5=, team4ban6=
, team5=all ways INCHEON, team6=Daejeon AutoArms, team7=Jecheon PhalanX, team8=CNJ esports
, team5pic1=타지아, team5pic2=샬럿, team5pic3=니키, team6pic1=피올로, team6pic2=레니, team6pic3=로지
, team7pic1=에키온, team7pic2=제니, team7pic3=레니, team8pic1=피오라, team8pic2=리 다이린, team8pic3=아르다
, team5ban1=쇼이치, team5ban2=마이, team5ban3=레니, team5ban4=, team5ban5=, team5ban6=
, team6ban1=마커스, team6ban2=리오, team6ban3=프리야, team6ban4=, team6ban5=, team6ban6=
, team7ban1=아디나, team7ban2=펠릭스, team7ban3=마이, team7ban4=, team7ban5=, team7ban6=
, team8ban1=니키, team8ban2=요한, team8ban3=나딘, team8ban4=, team8ban5=, team8ban6=)]
| |||||||||||||||||
이준민 (GyeongKwae) |
CNJ는 운영 스타일을 확립한 듯 아르다와 암시야를 활용, 교전 발생 지점을 급습하는 전략을 선보이며 다수의 이득을 챙겼다. 비록 마지막 교전에서 KCW의 피오라가 무리한 추격 끝에 끊기며 3위 탈출로 만족했지만, CNJ에게 C를 당한 팀들에게는 악몽과도 같은 경기로 남았을 것이다.
대전은 피올로 - 로지 - 프리야라는 인파이팅 조합을 꺼내들며 시원시원한 교전력을 자랑했고, 그동안의 점수 갈증을 해소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CNJ의 기습 운영에 흔들리며 큰 타격을 입었고, 결국 4위로 라운드를 마무리하게 된다. 시아 장악력이 다소 미흡했고, 교전에 집중한 나머지 주요 오브젝트들을 연이어 놓친 점은 아쉬움을 남겼지만, 압도적인 교전력만큼은 확실히 인상적이었으며, 라운드 우승팀인 인천을 교전에서 밀어내는 장면은 팀의 가능성을 충분히 입증했다.
3.5. 11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2일차 11라운드
, weather1=흐림
, weather2=강풍
, d_1st=ROX ESPORTS/이터널 리턴
, p_1st=Seongnam ROX
, d_2nd=Jecheon PhalanX
, p_2nd=Jecheon PhalanX
, d_wickeline=ROX ESPORTS/이터널 리턴
, p_wickeline=Seongnam ROX)]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Gyeonggi Innate, team2=FN SEJONG, team3=Seongnam ROX, team4=Busan BeSPA
, team1pic1=카티야, team1pic2=유스티나, team1pic3=에스텔, team2pic1=리오, team2pic2=셀린, team2pic3=샬럿
, team3pic1=혜진, team3pic2=리오, team3pic3=유키, team4pic1=마커스, team4pic2=유스티나, team4pic3=나딘
, team1ban1=칼라, team1ban2=얀, team1ban3=아르다, team1ban4=, team1ban5=, team1ban6=
, team2ban1=칼라, team2ban2=얀, team2ban3=아르다, team2ban4=, team2ban5=, team2ban6=
, team3ban1=헤이즈, team3ban2=쇼우, team3ban3=나딘, team3ban4=유스티나, team3ban5=카티야, team3ban6=에스텔
, team4ban1=버니스, team4ban2=쇼우, team4ban3=시셀라, team4ban4=수아, team4ban5=윌리엄, team4ban6=
, team5=all ways INCHEON, team6=Daejeon AutoArms, team7=Jecheon PhalanX, team8=CNJ esports
, team5pic1=칼라, team5pic2=아르다, team5pic3=알론소, team6pic1=카티야, team6pic2=레온, team6pic3=유스티나
, team7pic1=이슈트반, team7pic2=아르다, team7pic3=캐시, team8pic1=칼라, team8pic2=에스텔, team8pic3=엠마
, team5ban1=쇼이치, team5ban2=마이, team5ban3=레니, team5ban4=타지아, team5ban5=샬럿, team5ban6=니키
, team6ban1=마커스, team6ban2=리오, team6ban3=프리야, team6ban4=, team6ban5=, team6ban6=
, team7ban1=아디나, team7ban2=펠릭스, team7ban3=마이, team7ban4=에키온, team7ban5=제니, team7ban6=레니
, team8ban1=니키, team8ban2=요한, team8ban3=나딘, team8ban4=피오라, team8ban5=리 다이린, team8ban6=아르다)]
| |||||||||||||||||
박종호 (Curry) |
이날 성남은 팀의 시그니처 조합이라 할 수 있는 리오 - 유키 - 혜진 조합을 꺼내들었다. Belzer가 유키로 전방에서 딜을 흡수하는 동안, Curry의 리오와 Saten 혜진의 쌍포 조합이 후방에서 화력을 퍼붓는 구도가 자주 연출되며 상대 팀들을 무너뜨렸다. 비록 리워크 이후 한동안 주춤했던 유키였지만 이번 라운드에서 훌륭하게 소화해내며 여전히 성남의 핵심 조합 파츠임을 입증했다.
한편, 제천은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이슈트반 - 캐시(쌍검) 드랍 조합이라는 조커픽을 들고 나왔다. 초반부터 교전 중심의 공격적인 운영을 통해 킬 스코어를 대량으로 확보했으며, 특히 폭발적인 딜링 능력을 갖춘 이슈트반과 캐시의 조합을 앞세워 매 교전마다 적 주요 실험체를 빠르게 제거하며 전투의 주도권을 잡는 운영을 선보였다. 난이도 높은 조합임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완성도와 효율성을 보여주며 경쟁력을 입증한 경기였다.
3.6. 12라운드
[include(틀:이터널 리턴/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주차 2일차 12라운드
, weather1=쾌청(이리)
, weather2=벼락
, d_1st=Jecheon PhalanX
, p_1st=Jecheon PhalanX
, d_2nd=ROX ESPORTS/이터널 리턴
, p_2nd=Seongnam ROX
, d_wickeline=Jecheon PhalanX
, p_wickeline=Jecheon PhalanX)]
[include(틀:이터널 리턴/밴픽, team1=Gyeonggi Innate, team2=FN SEJONG, team3=Seongnam ROX, team4=Busan BeSPA
, team1pic1=나딘, team1pic2=헤이즈, team1pic3=쇼우, team2pic1=리오, team2pic2=셀린, team2pic3=샬럿
, team3pic1=혜진, team3pic2=리오, team3pic3=유키, team4pic1=마커스, team4pic2=유스티나, team4pic3=카티야
, team1ban1=칼라, team1ban2=얀, team1ban3=아르다, team1ban4=카티야, team1ban5=유스티나, team1ban6=에스텔
, team2ban1=칼라, team2ban2=얀, team2ban3=아르다, team2ban4=, team2ban5=, team2ban6=
, team3ban1=헤이즈, team3ban2=쇼우, team3ban3=나딘, team3ban4=유스티나, team3ban5=카티야, team3ban6=에스텔
, team4ban1=버니스, team4ban2=쇼우, team4ban3=시셀라, team4ban4=수아, team4ban5=윌리엄, team4ban6=나딘
, team5=all ways INCHEON, team6=Daejeon AutoArms, team7=Jecheon PhalanX, team8=CNJ esports
, team5pic1=유스티나, team5pic2=카티야, team5pic3=에스텔, team6pic1=카티야, team6pic2=레온, team6pic3=유스티나
, team7pic1=이슈트반, team7pic2=아르다, team7pic3=캐시, team8pic1=얀, team8pic2=에스텔, team8pic3=엠마
, team5ban1=쇼이치, team5ban2=마이, team5ban3=레니, team5ban4=타지아, team5ban5=샬럿, team5ban6=니키
, team6ban1=마커스, team6ban2=리오, team6ban3=프리야, team6ban4=, team6ban5=, team6ban6=
, team7ban1=아디나, team7ban2=펠릭스, team7ban3=마이, team7ban4=에키온, team7ban5=제니, team7ban6=레니
, team8ban1=니키, team8ban2=요한, team8ban3=나딘, team8ban4=피오라, team8ban5=리 다이린, team8ban6=아르다)]
| |||||||||||||||||
김현우 (Ddushiman) |
지난 라운드에서 드러난 교전 문제점[7]에 대한 피드백이 반영된 듯, 이번 경기에서는 훨씬 정교하고 압도적인 교전력을 선보이며 무난하게 승리를 가져갔다.
특히 Ddushiman은 최고 수준의 대회에서도 통할 만큼 완성도 높은 캐시 플레이를 펼치며 주요 순간마다 임팩트를 남겼으며, 전 라운드에서 패배를 안겼던 성남을 상대로도 2전 2승의 교전 결과를 기록하며, 새로운 메인 조합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4. 1주차 결산
4.1. 메타
1선 탱커 역으로는 리워크 후 엄청난 아이템 가성비와 유지력을 자랑하는 쇼우가 가장 큰 사랑을 받았으며, 이 외엔 나중에 후술할 유스티나와 궁합이 좋은 마커스, 항상 무난하게 사랑받는 에스텔 등이 주로 기용되었다.기존에 매우 높은 인기를 자랑하던 마이의 경우, 제천 팔랑크스의 아디나 - 펠릭스 - 마이 조합이나 올웨이즈 인천의 쇼이치 - 마이 - 레니 조합을 제외하면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스킬 딜러로는 생존, 극딜, 포커싱, 포킹 등 무엇 하나 빠짐없이 완전체로 평가받는 유스티나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으며, 아르다와 함께 드랍시 파괴력이 굉장한 증폭 드론 칼라, 최근 항상 무난한 선택지인 활 나딘, 스킬 딜러의 스테디셀러인 테오도르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헤이즈는 사텐이 한 번 꺼내서 최종생존을 한 것을 제외하곤 절망적인 성적을 보여주며 함정 픽으로 추락하였다.
원거리 딜러로는 카티야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이 외엔 최근 서폿 메타가 진행되는 와중 유일하게 의미있는 DPS를 뽑아낼 수 있는 리오 정도가 사용되었다. 버니스 또한 몇몇 팀의 조합 파츠로 사용되었다.
브루저로 각광받은 픽은 확실한 포커싱 능력과 핑퐁이 가능한 니키가 몇 팀을 제외하면 2회 다 픽해서 소모할 정도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아르다 드랍 픽으로 선택된 다르코, 톤파 얀 등이 등장하였으며[8], 이슈트반의 KEL 데뷔전과 쌍검 캐시의 라운드 우승이 있었다.
5. 팀별 리뷰
FN Esports(前 MIRAEN SEJONG), 부산 베스파(前 BNK FEARX), 경기 이네이트 일명 미부경이라고 부르는 강팀 라인업들이 크게 미끄러지는 경기력을 보여주는 한 주였다.이 외에도 강원과 대구 등 마스터즈 결승에 선착한 팀들도 휘청거리는 모습이 많이 나왔다.
그리고 의외로 마스터즈에서 부진했던 CNJ와 제천이 좋은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재밌는 점으로는 (대)성광인으로 묶이던 팀들 중 광주를 제외하면 모두 좋은 성적을 거두며 2주 2일차 시드를 받았다.
5.1. Seongnam ROX
1위 | 15마스터즈 시즌 7 페이즈 2 우승은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내며 최고의 한 주를 보낸 성남 락스이다.
무려 세 번의 라운드 승리와 100점 클럽을 달성하며 정점의 자리를 지켜냈다.
사텐, 벨져, 향기 모두 좋은 폼을 보였지만, 커리가 압도적인 폼을 자랑하며 유일하게 하루에 라운드 MVP를 2번이나 수상하였다.
5.2. Jecheon PhalanX
2위 | 10이미 검증된 조합인 에키온(블랙맘바) - 제니 - 레니 조합과 아디나 - 펠릭스 - 마이 조합을 완벽하게 소화해 내는 것은 물론, 제천의 출사표에서 독특한 조커픽을 준비했다는 말을 쌍검 캐시와 이슈트반으로 지키며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前 대전 사이버즈 시절과 비교해서 보면 재밌는 점이 많다. 이전까진 디나의 아디나, 이바 등에 가해지는 캐리력 부담이 매우 컸고, 캐리롤을 수행하지 못할 시 고스란히 레볼루의 플레이 스타일에 제약이 걸리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면 지금의 제천은 카드무스의 넓고 독특한 브루저 폭을 적극 기용하며 디나의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레볼루의 높은 고점과 근딜,원딜을 가리지 않는 넓은 험체폭을 200% 활용할 수 있는 개성 넘치는 팀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솔로랭크에서 캐시 장인으로 유명한 뚜쉬맨의 캐시가 아르다와 이슈트반 등 시너지가 잘 맞는 실험체들로 조합이 짜여지자 미쳐 날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첫 시작이 매우 좋은 만큼, 앞으로의 일정 또한 기대되는 제천이다.
5.3. all ways INCHEON
3위 | 8성광인으로 묶여 숱한 조롱을 받아온 인천이 완전히 달라져서 돌아왔다.
총 12라운드 중 5번의 최종 생존을 가져오며 모든 팀들 중 가장 먼저 멤버 전원의 MVP 포즈가 공개되었고, 1일차와 2일차 모두 압도적인 폼을 보여주었다.
주력 조합은 역시 마이 - 레니 - 쇼이치, 그리고 니키 - 샬럿 - 타지아 조합.[9] 타지아 조합같은 경우, 최근 메타상 많은 팀들이 마스터즈 룰에서 니키+서포터 조합이나 타지아 조합을 많이 상대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인지 인천을 상대하는 타팀에서 비교적 대처를 하는 듯 보였으나 쇼이치 조합은 일단 만나자마자 도망치기에 급급한 장면이 많았다. [10]
특히 루미널이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한 듯 도저히 막을 수 없는 폼을 보여주었다. 인천의 조합 특성상 마이가 쇼이치와 타지아 조합 두 곳에 다 들어가는지라 분배가 매우 중요한데, 쇼이치 조합에 마이 두 번을 모두 투자하는 부분에서 팀 내 신뢰가 두텁다는 점을 볼 수 있다.
물론 블라스터의 타지아 조합 또한 미친듯한 파괴력을 보여주었다. 매 교전마다 상대를 사출시키고 전설템을 도배하며 여느 쌍포 조합 부럽지 않은 후반 밸류를 가져와 막금구에서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만 아직 세번째 조합을 완벽하게 가져오지 않아 후반 뒷심이 부족하여 제천에게 2위 자리를 내어준 것이 아쉬운 점.
루미널의 테오도르, 자히르 등, 블라스터의 유스티나, 아델라 등을 주력으로 쓰는 서브 조합들을 완벽하게 깎아오지 않은 것인지 즐겜조합을 연달아 꺼내며 아쉬운 후반을 기록하였다.
5.4. CNJ esports
4위 | 6마스터즈의 부진한 모습은 해프닝이였다는 듯, 눈부신 발전을 보여주며 산뜻한 첫 주를 시작했다.
CNJ가 비상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새로운 조합과 운영의 개선이었다.
기존 리엠얀 원험 팀에서 탈피하여 니키 - 요한 - 활 나딘 이라는 좋은 조합을 발굴하였고, 양손검 피오라 - 글러브 리 다이린 - 아르다와 엠마 - 에스텔 - 톤파 얀 등 기존 선수들이 잘하는 험체폭을 살리되, 단점을 가리고 강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제대로 먹혔다.
또한 운영 역시 개선되었다. 초반에 킬을 몰아먹고 3일차 이후부터 얌전한 일명 클래식 CNJ 초식은 사라지고, 3일차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전설템을 뽑아내며 임시금구와 막금구까지 곧잘 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면서도 특유의 분탕력은 더욱 지능적으로 발전하여 많은 팀들의 간담을 서늘케 하였다. [11]
다만 이렘 - 양손검 재키 - 양손검 유키라는 다소 의아한 조합 초이스와, 조합 내에서 큰 짐을 떠안는 KCW의 칼라 피오라의 숙련도 등 개선할 점은 많이 남았다는 것이 중론.
5.5. Busan BeSPA
5위 | 4여러 조합을 시도한 부산 베스파였으나 안정적으로 점수를 벌어다 줄 수 있는, 소위 말하는 성명절기를 찾지 못하며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등수를 받아왔다.
특유의 교전력과 꼼꼼한 운영으로 점수를 잘 벌어온 덕분에 5위라는 성적을 받아오긴 하였으나, 기존에 메인탱을 담당하던 밥말사 대신 로즈너가 마커스를 하질 않나, 평원딜 담당인 민 대신 로즈너가 버니스를 하는 등 전체적으로 선발과 후보를 전혀 확정하지 못한 모습이었다.
특히 수아와 시셀라의 성능이 예전 BNK FearX 시절과 비교하여 크게 하락한 것이 가장 큰 문제점. 체급은 그때 그 시절이 아닌데 플레이스타일이 바뀌지 않으니 안쓰니만 못한 장면이 많이 나왔다.[12]
5.6. FN SEJONG
6위 | 3작년까지 내셔널 리그의 천외천을 날아다니던 FN 세종의 날개가 크게 꺾였다.
기존 FN의 클래식 조합인 1탱 2원딜이 아닌 여러 조합을 시도하였으나 숙련도, 포커싱, 운영, 교전력 등 여러 부분에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때문에 팬덤에서는 전임자의 빈 자리가 크게 느껴질 수 밖에 없지 않겠냐는 평가도 있었는데[13], 한동그라미는 방송으로 다나나가 그 정도의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았으며, 오더는 각 라운드마다 컨디션이 가장 좋은 사람들이 맡았고 해당 경기에서는 컨디션이 나빴다고 해명하였다.
5.7. Gyeonggi Innate
7위 | 2작년 내셔널 리그 디펜딩 챔피언인 경기였지만 아쉽게 마스터즈의 저점을 씻어내지 못한 채 1주차를 마무리하고 말았다.
5.8. Daejeon AutoArms
8위 | 21일차부터 탈락권이 선명하다 천운이 따라 간신히 2일차로 진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대전 오토암즈는 결국 2일차에 들어 문제가 제대로 터지고 만다.
여담으로, 이번 마스터즈에 들어 태귱과 새드핸드가 패드립을 한다는(...) 음해성 드립이 유행하였는데,#2 긍정적으로 말하면 압도적인 피지컬에 기반한 약자멸시, 부정적으로 말하면 지나친 안일함이 독이 되어 돌아왔다.
대전은 라운드 내내 동물 사이클은 등한시한 채 눈이 마주치면 싸웠고, 승리해야 겨우 본전, 패배시 그 즉시 게임에서 존재감이 사라지는 실수를 반복하였다. 특히 막강한 무력을 주무기로 내세웠던 팀이었기 때문인지 더 강한 무력으로 찍어눌려질 시 그 어떤 장점도 남지 않은 팀이 되어버린 것이 가장 컸다.
그나마 위안 삼을 만한 점이라면, 로컨을 투입한 아르다 - 피올로 - 증폭 드론 칼라 조합을 메인 조합으로 써도 될 정도로 경기력이 좋았으며, 기존에 잘 하던 톤파 레온 - 유스티나 - 카티야 조합은 아직 건재하다는 것이다.
5.9. New Rise Gangwon
9위 | 04위의 악마 강원이 오랜만에 5위로 떨어졌다. 강팀 존중과 정치, 순위 계산 등 노련한 모습들을 많이 보여주긴 하였으나 험체폭 부족으로 말아먹은 라운드가 많다는 점이 뼈아프게 다가왔다.
팀 내 캐리를 담당하는 리우리의 시그니쳐 픽인 아드리아나의 저열한 성능, 노던알의 아쉬운 아르다 숙련도와 상성적으로 불리한 조합을 상대함에도 계속 미련을 갖고 달려들어 자멸하는 판단 등 아직은 미숙한 신생 내셔널 팀의 모습을 여지없이 보여주었다.
그러나 쟁쟁한 팀들이 모인 리그에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둔 만큼, 지금보다 기량이 올라온 이후가 기대되는 강원이다.
5.10. DS Guardians
10위 | 01라운드 초반 사출이 매우 쓰라릴 대구 수성 가디언즈이다. 실제로 2라운드 이후부터 완벽에 가까운 운영과 교전력을 보여주었으나, 상성이 좋지 않은[14] 팀들 상대로 무리한 싸움을 벌이다 인원 손실이 생겨 점수를 크게 벌어가지 못한 점이 패착이였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NCMB가 대회 시작전 캠퍼스 대항전 일정을 뛰었고, 손목 상태가 좋지 않다는 악재도 한몫하였다.
절치부심하여 막금구까지 온 6라운드, 2일차 진출 자리를 경쟁하는 대전과의 막금구 대결에서 하필 역대급 사고가 터지는 바람에 아쉽게 10위로 마무리하게 되었다.[15]
5.11. GJ Slasher
11위 | 01~2라운드, 니지카의 카티야와 어나니머스의 아드리아나를 필두로 한 2원딜 쌍포 조합이 어느 정도 먹히는 듯 했으나, 아직은 쌍포 조합의 숙련도 부족을 보여주며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억지로 입은 듯 11위로 1주차를 마무리했다.
슬래셔의 성명절기 아르다 - 피올로 - 피오라가 단 한 판도 나오지 않은 점에서 시청자들을 의아하게 하였으나, 이 부분은 경기 후 엑스보이가 개인방송에서 해명하였다.[16]
그러나 아피피의 우물에 평생 갖혀 지낼 수 없는 광주인 만큼, 이번 주차의 실패를 교훈삼으며 도약을 노려야 할 것이다.
5.12. Gyeongnam Sparkle
12위 | 0어부지리로 순위 점수를 다수 번 것에 그쳤던 6라운드를 제외하면 매 라운드마다 한 자리의 점수를 벌어들이며 팀 창단 역사상 최대 난제에 빠지고 말았다.
현 경남의 단점은 총체적 난국. 엠마 - 셀린 - 클로에라는 성명절기를 잃은 상황이며,[17] 색다른 조합을 모색하기도 바쁜 현 시점에서 팀합도 아직 맞춰지지 않은 상황이다.
경남 스파클 이스포츠는 이번 시즌에 들어 알토와 펭을 영입하며 전 팀원인 fana의 빈자리 그 이상을 채웠다는 기대를 받았으나, 막상 경기를 시작하니 파이널 우승 탱커 펭을 벤치로 보내고 어정쩡한 3원딜을 시도하거나 송하랑 - 알토 - 펭으로 2원 1탱 조합을 꺼내고 의아한 운영으로 하위권을 전전하는 등 전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심지어 경남은 이번 마스터즈 LCQ로 떨어지며 팀 역사상 오랜만에 대전 진출 실패의 가능성이 농후한 터라, 한시라도 빨리 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KS] [TS] [4] 에키온(블랙맘바) - 레니(또는 샬럿) - 제니[KS] [TS] [7] 이슈트반과 캐시를 드랍한 아르다가 혼자 노출되어 잘리는 점, 한 실험체에게 과도한 스킬을 사용하여 후속 교전에서 어려움을 겪는 점[8] 다만 톤파 얀은 썩 좋은 성적을 보여주지 못했다.[9] 2픽캡 룰 특성상 마이 - 타지아 - 프리야 조합에서 변형을 준 듯하다.[10] 그런 와중에서도 루미널은 2라운드 만에 35점을 벌어들이며 이칠이횽이라는 별명을 쏙 들어가게 만들었다.[11] 대전을 멸망시킨 특유의 스마트한 분탕력이 돋보이는 장면.[12] 특히 로즈너의 수아가 불괴를 채용했음에도 한타 시작과 동시에 녹아 사라지는 장면이 많이 등장하였다.[13] 물론 범이 다양한 실험체 폭이 강점인 선수인 만큼 책임을 묻기보단 새로운 팀, 새로운 조합에 적응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14] 인천의 샬럿 - 타지아 조합, 강원의 아드리아나 조합 등[15] 당시 NCMB의 하트와 지워크의 헤이즈는 각각 혈액샘플 아이템을 두 개나 끼고 있었다.[16] 아-피-피 특성상 피오라의 스킬샷이 매우 중요한데, 엑스보이의 컨디션이 매일 좋을 순 없으니 결국 엑스보이의 차력쇼 없이도 잘 하는 팀이 되어야 한다는 논지.[17] 제니, 칼라, 하트 등등의 대체제를 찾고있지만 결과가 썩 좋지 않았다.